라벨이 무역인 게시물 표시

2023년 6월 1~20일 수출 329억달러 5.3%↑, 수입 345억 11.2%↓

이미지
2023년 6월1 ~ 20일 수출 329억 달러, 수입 345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5.3%(16.4억 달러↑) 증가, 수입 △11.2%(43.5억 달러↓) 감소 * 1~20일 수출실적 2022.8월 이후 10개월 만 증가 전환 (연간누계) 수출 2,860억 달러, 수입 3,15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11.8%(381.3억 달러↓) 감소, 수입 △7.4%(251.4억 달러↓) 감소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승용차(110.1%), 선박(148.7%), 자동차 부품(15.1%) 등 증가, 반도체(△23.5%), 석유제품(△36.0%) 등 감소 (주요국가) 미국(18.4%), 유럽연합(26.4%), 일본(2.9%) 등 증가, 중국(△12.5%), 베트남(△2.8%), 싱가포르(△16.1%) 등 감소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기계류(5.0%), 반도체 제조장비(22.9%) 등 증가, 원유(△34.0%), 반도체(△18.4%), 가스(△8.8%) 등 감소 (주요국가) 유럽연합(19.8%), 베트남(7.8%) 등 증가, 중국(△12.9%), 미국(△17.2%), 사우디아라비아(△42.1%) 등 감소 ※ 조업일수[(2022)13.5일,(2023)14.5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22.6.)23.1,(2023.6.)22.7억 달러] △2.0%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4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2년도 농수산식품 수출액(잠정), 전년보다 5.3% 증가 약 120억 불 달성

이미지
농림축산식품부 와 해양수산부 는 2022년도 농수산식품 수출액(잠정)이 2년 연속 100억 불을 돌파했으며, 전년보다 5.3% 증가하여 약 120억 불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 농식품 수출액(억 불): (2020년) 75.6 → (2021년) 85.6 → (2022년) 88.3(3.2%↑) * 수산식품 수출액(억 불): (2020년) 23.1 → (2021년) 28.3 → (2022년) 31.6(11.8%↑) 농식품 분야에서는 2022년 한 해 동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전 세계적 물류난 등 어려운 수출 여건에도 불구하고, 쌀가공식품을 비롯한 가정간편식 및 배, 유자 등의 수출 증가로 위기를 극복하며 역대 최고 수출액을 달성하였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쌀가공식품ㆍ라면 등 가정간편식과 유자차ㆍ배 등이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 쌀가공식품 (180.6백만 불, 10.1%↑), 라면 (765.5, 13.5↑), 유자(차) (56.4, 6.6↑), 배 (74.3, 3.5↑) 쌀가공식품의 경우, 코로나19 이후 건강에 관한 관심 증가로 한국 식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떡볶이, 즉석밥 등의 인기가 특히 높았던 것이 수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라면과 음료 등 가공식품의 성장세도 두드러졌는데, 간편식 선호와 한류 효과, 적극적인 우수성 홍보에 힘입어 각국에서 수요가 증가하였다. 배의 경우, 수출 최대 시장인 미국으로 전용선복(전용 선적 공간)을 확대 운영하고, 한국산 배의 우수성 홍보를 통해 북미와 아세안에서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비타민 등 효능이 해외로 알려지며, 유자에 대한 인기도 높아졌다. ■ 주요 농식품의 국가별 수출실적 ① 쌀가공식품: 미국 86.4백만 불(28.2%↑), 유럽연합·영국 10.5(19.6↑) ② 라면: 중국 188.9백만 불(26.0%↑), 유럽연합·영국 89.1(25.8↑), 러시아 12.0(23.3↑) ③ 음료: 일본 21.1백만 불(43.2%↑), 아세안 173.3(15.8↑),

2022년 9월 수출입 동향

이미지
2022년 9월 수출은 전년동월(559억 달러)비 +2.8% 증가한 574.6억달러 수입은 전년동월(516억 달러)비 +18.6% 증가한 612.3억달러 무역수지는 △37.7억달러 적자 (품목) 자동차·석유제품·이차전지 등 5대 주요 품목은 수출이 증가 (증가 품목) 5개 품목 중 4개는 두 자릿수대 증가하며 상승세 지속 (감소 품목) 반도체·석유화학·디스플레이·무선통신 등의 품목 수출은 글로벌 수요둔화 등 영향으로 감소 (지역) 9대 주요지역 가운데 中·중남미 등을 제외한 5개 지역 수출 증가 (증가 지역) 아세안·미국 등 주요 수출시장과 인도로의 수출은 증가세 계속 對미국 수출은 25개월 연속, 對아세안·인도는 19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를 이어감 (감소 지역)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긴축정책 등에 따른 경제성장 둔화 영향으로 중국·EU·중남미·CIS 수출은 감소 2022년 9월 수출입 동향.hwp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2021년 11월1~2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2021년 11월1~20일 수출 399억 달러, 수입 39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7.6%(86.1억 달러↑) 증가, 수입 41.9%(117.5억 달러↑) 증가 (연간누계) 수출 5,632억 달러, 수입 5,36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6.1%(1,165.4억 달러↑) 증가, 수입 30.4%(1,250.1억 달러↑) 증가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32.5%), 선박(252.2%), 석유제품(113.6%), 컴퓨터 주변기기(51.4%) 등 증가, 승용차(△1.9%)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24.2%), 미국(8.9%), 베트남(17.1%), 유럽연합(13.1%), 일본(25.2%), 대만(41.4%) 등 증가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원유(118.1%), 반도체(31.0%), 가스(167.7%), 기계류(7.3%) 등 증가, 승용차(△25.0%)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29.4%), 미국(72.0%), 일본(18.0%), 호주(95.7%), 사우디아라비아(139.3%) 등 증가, 유럽연합(△3.7%) 등 감소 ※ 조업일수[(2020)16일,(2021)16.5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20.11.)19.5,(2021.11.)24.2억 달러] 23.7% 증가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2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2021년 11월1~20일 수출입 현황.hwp 출처:  관세청

2021년도 3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

이미지
중소벤처기업부 (이하 중기부)는 10월 26일(화), 2021년도 3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을 발표했다. ■ 총괄 : 3분기 기준 역대 최고인 288억달러(전년동기대비 13.2%↑) 2021년 3분기 중소기업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3.2% 증가한 288억달러로 3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2010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 * 역대 3분기 수출액(억달러) : (1위) 288(2021.3Q), (2위) 269(2017.3Q), (3위) 261(2012.3Q) 1분기와 2분기에도 분기별 수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데 이어 3분기도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올해 중소기업 수출은 신기록을 이어가는 기록적인 성과를 보였다. * 역대 1분기 수출액(억달러) : (1위) 270(2021.1Q), (2위) 252(2018.1Q), (3위) 245(2012.1Q) * 역대 2분기 수출액(억달러) : (1위) 295(2021.2Q), (2위) 272(2018.2Q), (3위) 264(2014.2Q) 월별 수출실적도 2020.11월부터 11개월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 수출증감률(%) : (2020.11)12.0→(2021.1)14.5→(4)26.5→(7)18.7→(8)19.8→(9)2.8 ■ 품목별:20대 품목 중 반도체(48.2%↑)·반도체제조용장비(47.7%↑)·철강판(44.6%↑)· 합성수지(44.4%↑)가 큰폭으로 성장(증가율순) ① (반도체 : 8.7억달러) 반도체 수출단가의 가파른 상승세, 중화권수주 급증 등으로 7, 8월 수출이 나란히 역대 1,2위 기록(48.2%↑) * 월별 반도체 수출액(억달러) : (2021.7월)3.0 → (8월)3.0 → (9월)2.7 ② (반도체제조용장비 : 10.9억달러) 반도체시장 호황으로 글로벌기업(대만, 미국 등)의 공격적인 공장 투자 증설에 따라 장비 수요가 급증했고, 역대 최초로 분기 수출 10억달러 돌파(47.7%↑) * 월별 반도체제조용장비 수출액(억달러) : (2021.7월)3.6 → (8월)3.8 → (9월

2021년 9월1~2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2021년 9월 1~20일 수출 361억 달러, 수입 35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2.9%(67.1억 달러↑) 증가, 수입 38.8%(97.7억 달러↑) 증가  (연간누계) 수출 4,479억 달러, 수입 4,255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7.2%(958.0억 달러↑) 증가, 수입 29.0%(957.7억 달러↑) 증가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7.7%), 석유제품(95.0%), 승용차(9.4%), 무선통신기기(19.6%), 자동차 부품(13.1%) 등 증가, 선박(△54.1%)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19.7%), 미국(24.9%), 유럽연합(34.2%), 베트남(8.2%), 일본(33.6%), 대만(52.6%) 등 증가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원유(85.3%), 반도체(15.8%), 석유제품(241.8%), 가스(170.3%) 등 증가, 무선통신기기(△1.7%), 승용차(△19.2%)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25.0%), 미국(27.5%), 유럽연합(18.8%), 일본(27.3%), 호주(128.4%) 등 증가, 베트남(△5.9%) 등 감소 ※ 조업일수[(2020)15.5일,(2021)14.5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20.9.)18.9,(2021.9.)24.9억 달러] 31.3% 증가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2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1년 8월1~1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202년 8월 1~10일 수출 127억 달러, 수입 17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46.4%(40.4억 달러↑) 증가, 수입 63.1%(67.4억 달러↑) 증가  (연간누계) 수출 3,714억 달러, 수입 3,563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7.2%(793.8억 달러↑) 증가, 수입 27.5%(769.1억 달러↑) 증가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44.6%), 석유제품(33.0%), 무선통신기기(75.7%), 자동차 부품(99.2%) 등 증가, 승용차(△39.0%)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42.7%), 미국(55.8%), 베트남(23.5%), 유럽연합(39.9%), 대만(83.0%), 일본(46.5%) 등 증가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원유(100.8%), 반도체(17.9%), 가스(279.7%), 석유제품(279.2%), 기계류(35.3%) 등 증가 (주요국가) 중국(57.3%), 미국(78.1%), 유럽연합(73.1%), 일본(35.5%), 호주(146.5%), 사우디아라비아(82.0%) 등 증가 ※ 조업일수[(2020)7일,(2021)7.5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20.8.)12.4,(2021.8.)17.0억 달러] 36.7% 증가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2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1년 7월 수출입 동향

이미지
2021년 7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29.6% 증가한 554.4억달러 * 수출 증감률(%):(2020.7)△7.1→(8)△10.3→(9)+7.1→(10)△3.9→(11)+3.9→(12)+12.4→(2021.1)+11.4→(2)+9.3→(3)+16.4→(4)+41.2→(5)+45.6→(6)+39.8→(7)+29.6 일평균 수출은 +32.2% 증가한 22.6억달러(조업일수는 전년 대비 △0.5일) * 일평균 수출 증감률(%):(2020.7)△7.1→(8)△4.2→(9)△4.5→(10)+5.2→(11)+6.1→(12)+7.7→(2021.1)+6.4→(2)+26.1→(3)+16.4→(4)+29.5→(5)+49.1→(6)+36.8→(7)+32.2 (수입) 7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38.2% 증가한 536.7억달러 8개월 연속 증가한 가운데, 최근 내수회복과 수출경기 호조 등으로 6개월 연속으로 두 자릿수 증가 * 수입 증감률(%):(2020.7)△11.2→(8)△15.6→(9)+1.7→(10)△5.6→(11)△1.9→(12)+2.2→(2021.1)+3.8→(2)+14.2→(3)+18.7→(4)+33.9→(5)+37.9→(6)+40.7→(7)+38.2 (무역수지) 7월 무역수지는 17.6억달러 흑자 (15개월 연속 흑자) (품목) 15대 주력 품목의 수출이 모두 플러스 * 15대 품목 : 반도체·일반기계·자동차·석유화학·석유제품·철강·선박·무선통신기기·차부품·섬유·디스플레이·바이오헬스·이차전지·가전·컴퓨터 15개 모든 품목이 6월에 이어 2개월 이상 연속 증가 * 연속 증가 기간 : 반도체·가전(13개월), 이차전지(11개월),무통기기·차부품(9개월), 자동차·석유화학·철강(7개월), 일반기계·석유제품·섬유·컴퓨터(5개월), 디스플레이(4개월), 바이오헬스(3개월), 선박(2개월) (지역) 9대 주요 지역으로의 수출이 모두 증가 對美·EU 수출은 11개월 연속, 對中·중남미 수출은 9개월 연속 증가 對아세안·인도·CIS는 5개월 연속, 對일본·중동은 4개월 연속 증가

2021년 7월1~2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2021년 7월1~20일 수출 326억 달러, 수입 365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32.8%(80.4억 달러↑) 증가, 수입 46.1%(115.1억 달러↑) 증가 (연간누계) 수출 3,358억 달러, 수입 3,21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6.7%(707.4억 달러↑) 증가, 수입 26.2%(668.0억 달러↑) 증가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33.9%), 승용차(28.4%), 석유제품(69.1%), 무선통신기기(33.8%), 정밀기기(15.1%) 등 증가, 컴퓨터 주변기기(△7.8%)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18.6%), 미국(38.9%), 유럽연합(51.7%), 베트남(18.8%), 일본(30.5%), 중동(51.6%) 등 증가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29.9%), 원유(83.6%), 가스(146.7%),  석유제품(123.3%), 승용차(176.8%) 등 증가, 무선통신기기(△10.2%)는 감소 (주요국가) 중국(30.3%), 미국(51.2%), 유럽연합(42.0%), 중동(38.7%), 일본(21.5%), 호주(131.4%) 등 증가 ※ 조업일수[(2020)15.5일,(2021)15.5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20.7.)15.8,(2021.7.)21.0억 달러] 32.8% 증가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2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1년 7월1~1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2021년 7월1~10일 수출 151억 달러, 수입 19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14.1%(18.7억 달러↑) 증가, 수입 33.3%(47.5억 달러↑) 증가  (연간누계) 수출 3,183억 달러, 수입 3,042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5.4%(645.7억 달러↑) 증가, 수입 24.6%(600.3억 달러↑) 증가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15.6%), 석유제품(54.2%), 승용차(19.3%), 무선통신기기(31.1%), 자동차 부품(45.3%) 등 증가, 컴퓨터 주변기기(△31.5%)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1.6%), 미국(32.2%), 유럽연합(26.9%), 베트남(4.6%), 일본(12.2%), 중동(17.8%) 등 증가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원유(85.7%), 반도체(19.1%), 가스(80.6%), 기계류(2.1%), 승용차(165.7%) 등 증가, 무선통신기기(△23.9%)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11.8%), 유럽연합(49.6%), 미국(48.8%), 중동(23.5%), 일본(8.9%), 호주(86.7%) 등 증가 ※조업일수[(2020)8.5일,(2021)8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20.7.)15.5,(2021.7.)18.9억 달러] 21.2% 증가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2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1년 6월 1~2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2021년 6월 1~20일 수출 324억 달러, 수입 32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9.5%(73.8억 달러↑) 증가, 수입 29.1%(72.3억 달러↑) 증가 (연간누계) 수출 2,808억 달러, 수입 2,66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4.1%(545.1억 달러↑) 증가, 수입 21.9%(478.9억 달러↑) 증가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28.5%), 승용차(62.2%), 석유제품(58.6%), 무선통신기기(15.8%) 등 증가, 선박(△27.7%), 컴퓨터 주변기기(△4.2%)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7.9%), 미국(41.3%), 유럽연합(48.8%), 베트남(34.8%), 일본(33.0%), 중동(17.9%) 등 증가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원유(124.6%), 반도체(13.1%), 기계류(2.6%), 석유제품(99.1%), 승용차(87.8%) 등 증가, 무선통신기기(△26.6%)는 감소 (주요국가) 중국(19.0), 미국(25.6%), 유럽연합(13.5%), 중동(57.1%), 일본(17.2%), 호주(44.8%) 등 증가 ※ 조업일수[2020)16일,(2021)15.5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20.6.)15.6,(2021.6.)20.9억 달러] 33.7% 증가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2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1년 6월 1~1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2021년 6월 1~10일 수출 173억 달러, 수입 17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40.9%(50.2억 달러↑) 증가, 수입 31.0%(42.3억 달러↑) 증가 (연간누계) 수출 2,657억 달러, 수입 2,526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4.4%(521.5억 달러↑) 증가, 수입 21.6%(448.9억 달러↑) 증가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37.5%), 승용차(136.9%), 석유제품(70.2%), 무선통신기기(18.9%) 등 증가, 선박(△29.5%), 액정디바이스(△16.1%)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14.2%), 미국(63.4%), 유럽연합(85.0%), 베트남(41.5%), 일본(39.3%), 중동(39.6%) 등 증가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원유(163.9%), 반도체(19.3%), 기계류(4.9%), 승용차(79.2%) 등 증가, 반도체 제조용 장비(△13.1%), 무선통신기기(△19.7%)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23.9%), 미국(8.6%), 유럽연합(20.8%), 일본(16.8%), 중동(65.9%), 호주(49.9%) 등 증가 ※조업일수[(2020)8일,(2021)8.5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20.6.)15.3,(2021.6.) 20.3억 달러] 32.6% 증가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2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1년 5월 1~2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2021년 5월 1일 ~ 5월 20일 수출 311억 달러, 수입 315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53.3%(108.1억 달러↑) 증가, 수입 36.0%(83.3억 달러↑) 증가 (연간누계) 수출 2,288억 달러, 수입 2,183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2.5%(420.3억 달러↑) 증가, 수입 19.6%(357.9억 달러↑) 증가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26.0%), 승용차(146.0%), 석유제품(149.7%), 무선통신기기(64.0%), 자동차 부품(221.9%), 정밀기기(42.6%) 등 증가 (주요국가) 중국(25.2%), 미국(87.3%), 유럽연합(78.1), 베트남(61.1%), 일본(30.6%) 등은 증가, 중동(△14.0%)은 감소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원유(198.8%), 반도체(17.8%), 기계류(15.5%), 승용차(59.4%) 등 증가, 무선통신기기(△11.2%), 석탄(△6.0%)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13.1%), 미국(47.0%), 유럽연합(15.7%), 중동(146.8%), 일본(25.2%), 호주(32.8%), 베트남(20.5%) 등 증가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2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1년 5월 1~1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2021년 5월 1 ~ 10일 수출 125억 달러, 수입 146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81.2%(55.9억 달러↑) 증가, 수입 51.5%(49.8억 달러↑) 증가 (연간누계) 수출 2,101억 달러, 수입 2,015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1.2%(368.1억 달러↑) 증가, 수입 19.2%(324.3억 달러↑) 증가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51.9%), 승용차(358.4%), 석유제품(128.2%), 무선통신기기(97.2%), 자동차 부품(316.6%), 정밀기기(64.1%) 등 증가 (주요국가) 중국(45.5%), 미국(139.2%), 유럽연합(123.2%), 베트남(87.2%), 일본(51.1%), 중동(5.9%) 등 증가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원유(202.0%), 반도체(24.1%), 석유제품(184.7%), 승용차(209.9%) 등 증가, 무선통신기기(△3.2%), 석탄(△19.3%)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23.7%), 미국(116.0%), 중동(142.0%), 유럽연합(10.2%), 일본(51.3%), 호주(18.8%) 등 증가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2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1년 4월 수출 511.9억달러(41.1%) 증가, 수입 508.0억달러(33.9%) 증가

이미지
2021년 4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41.1% 증가한 511.9억달러 * 수출 증감률(%):(2020.4)△25.6→(5)△23.7→(6)△10.9→(7)△7.1→(8)△10.3→(9)+7.1→(10)△3.9→(11)+3.9→(12)+12.4→(2021.1)+11.4→(2)+9.2→(3)+16.5→(4)+41.1 일평균 수출은 +29.4% 증가한 21.3억달러(전년 대비 조업일수는 +2일) * 일평균 수출 증감률(%):(2020.4)△18.9→(5)△18.4→(6)△18.5→(7)△7.1→(8)△4.2→(9)△4.5→(10)+5.2→(11)+6.1→(12)+7.7→(2021.1)+6.4→(2)+26.0→(3)+16.5→(4)+29.4 (수입) 4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33.9% 증가한 508.0억달러 5개월 연속 증가한 가운데, 3개월 연속으로 두 자리 증가 * 수입 증감률(%):(2020.4)△15.8→(5)△20.5→(6)△10.7→(7)△11.2→(8)△15.6→(9)+1.7→(10)△5.6→(11)△1.9→(12)+2.2→(2021.1)+3.6→(2)+14.1→(3)+18.8→(4)+33.9 (무역수지) 4월 무역수지는 3.9억달러 흑자 (12개월 연속 증가) (품목) 15대 주력 품목이 모두 증가 * 15대 품목 : 반도체·일반기계·자동차·석유화학·석유제품·철강·선박·무선통신기기·차부품·섬유·디스플레이·바이오헬스·이차전지·가전·컴퓨터 14개는 2개월 이상 연속 증가했고, 지난 달 소폭 감소했던(△1.1%) 디스플레이는 2개월 만에 이번 달 플러스 전환 * 14개 품목의 연속 증가 기간 : 바이오헬스(20개월), 반도체·가전(10개월), 이차전지(8개월),선박·무통기기·차부품(6개월), 자동차·석유화학·철강(4개월), 일반기계·석유제품·섬유·컴퓨터(2개월) (지역) 9대 지역으로의 수출이 모두 증가 4대 시장(중국·미국·EU·아세안)으로의 수출은 모두 30% 이상 증가하였으며, 일본, 중동으로 향하는 수출도 이번 달 플러스 기록 * 중국, 미국, E

2021년도 1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

이미지
▲ 2021년 1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   중소벤처기업부 (이하 중기부)는 4월 22일(목) 진단키트, 반도체 장비 등의 높은 수출 증가에 힘입어 중소기업 수출 호조가 지속·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2021년 1분기 중소기업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12.1% 증가한 270억 달러로 역대 최대 1분기 수출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 역대 1분기 수출액(억 달러) : (1위) 270(2021.1Q), (2위) 252(2018.1Q), (3위) 245(2012.1Q) 1분기 중소기업 수출은 1, 3월 역대 최대 해당월 수출액을 기록하는 등 높은 증가세를 보였으며 조업일수 효과를 제외한 일평균 수출액도 2~3월 두자릿수 증가를 기록했다. * 역대 1월 수출액(억 달러) : (1위) 85.2(2021.1) (2위)82.8(2018.1), (3위)82.2(2019.1)역대 3월 수출액(억 달러) : (1위) 103.1(2021.3) (2위)94.7(2018.3), (3위)90.4(2017.3) * 월별 수출 증감률(%) : (2020.10)△2.5→ (11)12.0→ (12)13.7→ (2021.1)14.5→ (2)4.1→ (3)17.1일평균 수출액 증감률(%) : (2020.11)14.4→ (12)9.0→ (2021.1)9.4→ (2)20.1→ (3)17.1 품목별로는 상위 20대 품목(수출비중 51.7%) 중 18개 품목에서 호조세를 보인 가운데 반도체(32.9%↑)와 반도체 제조용장비(26.1%↑)의 수출이 선전했고, 화장품, 합성수지 등도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유럽과 남미 등 코로나19 확산국으로의 진단키트 수출 급증에 따라 의약품(462.1%↑), 기타정밀화학제품(181.0%↑) 수출이 가파르게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수출 상위 5개국가 중 일본을 제외한 4개국 수출이 증가했다. 해당국 경제회복에 따라 중국, 미국, 베트남에서는 플라스틱·화장품·반도체 장비 수출이 확대됐고, 독일은 의약품·의료위생용품 등 케이(K)-방역 수출이 급증하면서 수출 상위 5개국으로 진입(

2021년 4월 1~2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2021년 4월 1~20일 수출 310억 달러, 수입 33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45.4%(96.8억 달러↑) 증가, 수입 31.3%(78.7억 달러↑) 증가 (연간누계) 수출 1,775억 달러, 수입 1,69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17.2%(259.8억 달러↑) 증가, 수입 15.3%(224.7억 달러↑) 증가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38.2%), 승용차(54.9%), 석유제품(81.6%),  무선통신기기(68.0%), 자동차 부품(81.6%), 정밀기기(35.0%)등 증가 (주요국가) 중국(35.8%), 미국(39.4%), 유럽연합(63.0%), 베트남(63.8%), 일본(21.3%) 등은 증가, 중동(△3.2%)은 감소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원유(80.2%), 반도체(17.3%), 기계류(10.4%), 석유제품(126.2%), 정밀기기(16.7%) 등 증가, 가스(△7.5%)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17.3%), 미국(32.9%), 유럽연합(23.7%), 중동(54.4%), 일본(24.1%), 호주(45.5%), 베트남(31.8%) 등은 증가 ※ 조업일수[(2020)14.5일,(2021)15.5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20.4.)14.7,(2021.4.)20.0억 달러] 36.0% 증가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2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1년 3월 수출입현황 및 무역수지(확정치)

이미지
1. 수출 현황 전년 동월 대비 16.5% 증가한 538억 달러 기록 반도체(8.3%)․승용차(14.7%)․석유제품(17.4%)․선박(67.3%)․자동차 부품(12.1%)․무선통신기기(8.5%)․가전제품(2.4%) 등 증가, 액정디바이스(△22.8%)는 감소 중국(26.0%)․미국(9.2%)․유럽연합(36.7%)․베트남(5.4%)․대만(51.3%) 등은 증가, 일본(△2.6%)․중동(△17.5%) 등은 감소 (수출중량) 전년 동월 대비 8.2% 감소한 1,626만 톤 (주요품목별) 석유제품․가전제품․무선통신기기․반도체․승용차․자동차 부품․선박 등은 증가, 액정디바이스는 감소 (석유제품) 전년 동월 대비 17.4% 증가한 27억 6천만 달러 (철강제품) 전년 동월 대비 14.8% 증가한 41억 9천만 달러 (가전제품) 전년 동월 대비 2.4% 증가한 7억 1천만 달러 (유선통신기기) 전년 동월 대비 20.0% 증가한 9천만 달러 (무선통신기기) 전년 동월 대비 8.5% 증가한 19억 1천만 달러 * 베트남(14.3%), 중국(21.7%), 영국(1247.3%), 독일(636.5%) 등으로 수출 증가 (반도체) 전년 동월 대비 8.3% 증가한 97억 1천만 달러 * 중국(37.4%), 베트남(10.3%), 대만(8.1%), 미국(7.3%) 등의 비중으로 수출 (액정디바이스) 전년 동월 대비 22.8% 감소한 2억 9천만 달러 (승용차) 전년 동월 대비 14.7% 증가한 42억 달러 * 최대 수출국인 미국(비중44.5%) 수출이 15.3% 증가하였으며, 캐나다(21.0%), 호주(5.5%), 러시아(40.2%), 독일(15.5%), 영국(13.7%) 등으로 수출 증가 (자동차부품) 전년 동월 대비 12.1% 증가한 21억 달러 (선박) 전년 동월 대비 67.3% 증가한 23억 3천만 달러 (주요 지역별) 중국․미국․유럽연합․베트남 증가, 일본․중동 감소 (중국) 전년 동월 대비 26.0% 증가한 134억 1천만 달러 메모리 반도체(5.9)․석유제품(95.6)․정밀기

2021년 3월 수출 538.3억달러(16.6%) 증가, 수입 496.5억달러(18.8%) 증가

이미지
1. 3월 수출입 개요 (수출) 3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6.6% 증가한 538.3억달러 * 수출 증감률(%):(2020.3)△1.8→(4)△25.6→(5)△23.7→(6)△10.9→(7)△7.1→(8)△10.3→(9)+7.1→(10)△3.9→(11)+3.9→(12)+12.4→(2021.1)+11.4→(2)+9.5→(3)+16.6 일평균 수출은 +16.6% 증가한 22.4억달러(전년 대비 조업일수는 동일) * 일평균 수출 증감률(%):(2020.3)△7.9→(4)△18.9→(5)△18.4→(6)△18.5→(7)△7.1→(8)△4.2→(9)△4.5→(10)+5.2→(11)+6.1→(12)+7.7→(2021.1)+6.4→(2)+26.4→(3)+16.6 (수입) 3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18.8% 증가한 496.5억달러 4개월 연속 증가, 소비재·중간재·자본재 모두 고르게 증가하며 2018.10월(+28.1%) 이후 가장 큰 증가율을 기록 * 수입 증감률(%):(2020.3)△0.4→(4)△15.8→(5)△20.5→(6)△10.7→(7)△11.2→(8)△15.6→(9)+1.7→(10)△5.6→(11)△1.9→(12)+2.2→(2021.1)+3.6→(2)+14.1→(3)+18.8 (무역수지) 3월 무역수지는 41.7억달러 흑자 (11개월 연속 증가) (품목) 15대 주력 품목 중 14개 품목이 증가 * 증가 품목 : 반도체·일반기계·자동차·석유화학·석유제품·철강·선박·무선통신기기·차부품·섬유·컴퓨터·바이오헬스·이차전지·가전 (증가 품목) 14개 중 10개는 3개월 이상 연속 증가하며 상승세 지속 * 10개 품목의 연속 증가 기간 : 바이오헬스(19개월), 반도체·가전(9개월), 이차전지(7개월),선박·무선통신기기·차부품(5개월), 자동차·석유화학·철강(3개월) 일반기계, 석유제품, 섬유, 컴퓨터 등 4개 품목은 이번 달 플러스 전환 (감소 품목) 15대 품목 중 디스플레이만이 소폭 감소(△1.1%) (지역) 9대 지역 중 7개 지역으로의 수출이 증가 (증가 지역

2021년 2월 수출입 물동량 14개월 만에 증가

이미지
해양수산부 는 2021년 2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억 1,830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2,111만 톤) 대비 2.3%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2020.11) 13,078만 톤(2.8%↓), (2020.12) 12,781만 톤(14.0%↓), (2021.1) 12,895만 톤(1.6%↓) 수출입 물동량은 이산화탄소 저감 정책에 따라 석유가스 물동량이 증가하고 스포츠형 다목적차량(SUV) 및 친환경차 수출 증가로 자동차 물동량이 증가하여 2019년 12월 이후 14개월 만에 전년 동월(1억 235만 톤) 대비 0.4% 소폭 증가한 총 1억 278만 톤으로 집계되었다. * (2020.11) 11,095만 톤(3.0%↓), (2020.12) 10,803만 톤(16.0%↓), (2021.1) 11,118만 톤(1.0%↓) 컨테이너 물동량은 설 연휴로 인한 수출입 기업의 조업일수 감소 및 터미널 운영일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월(223만 TEU) 대비  소폭 감소(0.9%)한 221만 TEU를 기록하였다. * 2020년에는 설날이 1월(1. 24.~26.)이었으나 2021년에는 설날이 2월(2. 11.~13.)이었으며, 2021년 2월은 28일로 윤년인 2020년 2월(29일)에 비해 터미널 운영일수 1일이 부족 연안 물동량은 수송량 비중이 높은 유류, 광석, 시멘트 등의 수요 감소 영향으로 전년 동월(1,876만 톤) 대비 17.2% 감소한 총 1,552만 톤을 처리하였다. 항만별로 보면 부산항과 인천항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4%, 9.4% 증가하였고 광양항과 울산항은 전년 동월 대비 1.0%, 16.3% 감소하였다. 1. 컨테이너 화물 2021년 2월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환적물량과 수출입 물동량의 감소로 인해 전체적으로는 전년 동월(223만 TEU) 대비 0.9% 감소한 221만 TEU를 기록하였다. * (2020.11) 258만 TEU(5.9%↑), (2020.12) 249만 TEU(0.0%),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