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사망인 게시물 표시

작년 첫 인구감소 이후, 올해도 3개월 연속 감소세 지속

이미지
행정안전부 는 2021년 3월 말(2021.3.31.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인구는 51,705,905명으로, 2020년(51,829,023명/2020.12.31. 기준)에 비해 123,118명이 줄어들어(거주불명자 직권말소를 제외하면, 순수 자연적 요인(출생-사망)에 의한 감소는 10,370명임) 2020년에 사상 첫 인구가 감소한 이후 올해도 3개월 연속 인구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주민등록법」개정에 따라 ‘거주불명자에 대한 사실조사’ 근거가 마련되어 5년 이상 거주지를 등록하지 않은 장기 거주불명자에 대한 사상 첫 사실조사가 전국 읍·면·동에서 동시에 추진되었으며, 장기 거주불명자 116,177명이 직권말소(2021.3.31. 기준)되어, 2021년 3월말 주민등록 인구통계 집계에서 제외되었다. *「주민등록법」제20조의2 및 제20조의3(2019. 12. 3. 신설, 2020. 12. 4. 시행) * 건강보험, 기초연금 등 20여종 행정서비스 이용 내역조사 및 시·군·구 사실조사 (※ 이용내역이 없는 경우 직권말소 조치하고, 향후 거주 확인시 주민등록 거주자 등록) 2021년 1분기(2021.3.31. 기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 3개월 연속 주민등록 인구감소 ▴세대수 지속 증가 ▴아동·청소년·청년 인구 감소 ▴고령 인구 비중 증가 ▴자연적 요인(출생등록자수-사망말소자수)에 의한 감소 지속 ▴세종·경기를 제외한 나머지 자치단체의 인구감소 등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전체 세대수는 작년에 이어 증가(64,277세대, 0.28%↑)하였으며, 2021년 3월 말 23,157,385세대를 기록하였다. 올해 1분기 동안 평균 세대원수는 사상 최저치인 2.23명으로 감소하였고, 꾸준히 감소세를 보이던 4인 세대 이상이 처음으로 20% 아래로 떨어져 역대 최저치(19.6%)를 기록하였다. 1인 세대는 910만 세대(9,139,287세대, 39.5%)를 돌파하여 전체 세대를 통틀어 40%를 눈앞에 두고 있다. * 1, 2인세대가 전체의 63.1%

2019년 3월 인구동향...출생 27,100명 전년동월 대비 9.7% 감소

이미지
▲ 인구동태 건수 추이 1. 출생 2019년 3월 출생아 수는 2만 7천 1백 명, 전년동월보다 2천 9백 명(-9.7%) 감소 시도별 출생아 수는 전년동월에 비해 세종은 증가, 그 외 모든 시도가 유사 및 감소함. 2019년 1분기 출생아 수는 8만 3천 1백 명, 전년동기보다 6천 8백 명(-7.6%) 감소 2019년 1분기 합계출산율은 1.01명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0.07명 감소 모(母)의 연령별 출산율은 전년동기에 비해 25-29세는 6.5명, 30-34세는 6.2명  각각 감소함. 출산순위별 출생아수 구성비는 첫째아 1.1%p, 셋째아 이상 0.4%p 전년동기보다 증가 부모의 평균 결혼생활기간은 3.57년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0.08년 증가 첫째아 출산시 평균 결혼생활기간은 2.26년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0.15년 증가함. 시도별 합계출산율은 전년동기에 비해 모든 시도에서 감소함. 2. 사망 2019년 3월 사망자 수는 2만 4천 9백 명, 전년동월보다 4백 명(-1.6%) 감소 시도별 사망자 수는 전년동월에 비해 서울, 인천 등 6개 시도는 감소, 부산, 대구 등 8개 시도는 유사, 전남, 경북 제주는 증가함. 2019년 1분기 사망자 수는 7만 5천 1백 명, 전년동기보다 6천 7백 명(-8.2%) 감소 2019년 1분기 조사망률(인구 1천 명당)은 5.9명으로 전년동기보다 0.5명 감소 전년동기보다 모든 연령대에서 감소하였으며, 85세 이상에서는 남자 28.9명, 여자 29.4명 감소함. 사망자의 연령별 구성비는 전년동기보다 65세 이상에서 남자는 0.3%p, 여자는 0.7%p 감소 시도별 조사망률은 전년동기보다 서울, 인천 등 17개 시도 모두 감소함. 3. 혼인 2019년 3월 혼인 건수는 1만 9천 6백 건, 전년동월보다 3천 2백건(-14.0%) 감소 시도별 혼인 건수는 전년동월에 비해 서울, 부산, 대구 등 12개 시도는 감소, 그 외 5개 시도는 유사함.

2016년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

이미지
1. 출생아 수 40만 6천 3백 명으로 전년보다 3만 2천 1백 명(-7.3%) 감소 출생아 수는 40만 6천 3백 명으로 전년(43만 8천 4백 명)보다 3만 2천 1백 명(-7.3%) 감소 조(粗)출생률(인구 1천 명당 출생아 수)은 7.9명으로 전년보다 8.1% 감소 합계출산율은 1.17명으로 전년(1.24명)보다 0.07명(-5.6%) 감소 전년대비 35세 미만의 출산율은 감소, 35세 이상 출산율은 증가 모(母)의 평균 출산연령은 32.4세, 고령산모(35세 이상) 출산이 26.3% 차지 전체 출생성비(여아 1백 명당 남아 수)는 105.0명, 셋째아 이상 성비는 107.4명 시도별 합계출산율은 세종(1.82명), 전남(1.47명), 제주(1.43명)가 높고, 서울(0.94명)과 부산(1.10명)이 낮음. 2. 사망자 수 28만 1천 명으로 전년보다 5천 1백 명(1.8%) 증가 사망자 수 28만 1천 명으로 사망원인통계 작성(1983년) 이래 최대치 조(粗)사망률(인구 1천 명당 사망자 수)은 5.5명으로 전년보다 1.5% 증가 전년대비 연령별 사망자 수는 주로 80세 이상 고령층에서 증가 시도별 연령표준화사망률(표준인구 1천 명당 사망자 수)은 충북(3.7명), 강원(3.7명)이 높고, 서울(3.0명)과 경기(3.2명)가 낮음. 3. 자연증가(출생 - 사망) 12만 5천 3백 명으로 전년보다 3만 7천 2백 명(-22.9%) 감소 자연증가 수는 12만 5천 3백 명으로 통계 작성(‘70년) 이래 최저 시도별 자연증가 수는 경기와 서울이 많고, 전남과 전북이 적음. 출처 :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