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오징어인 게시물 표시

고등어, 오징어야! 우리가 지켜줄게

이미지
해양수산부 는 수산자원 보호와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4월부터 우리나라의 대표 수산자원인 고등어와 살오징어의 금어기가 시작된다고 밝혔다. * 우리나라의 최근 3년간 평균 연근해 어획량(2017∼2019)을 기준으로 어종별 어획량은 고등어가 2위, 살오징어가 3위를 차지함 금어기는 「수산자원관리법」에 따라 해당 수산물을 포획하거나 채취할 수 없는 기간으로, 어린 물고기나 산란기의 물고기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이다. 금어기에는 어업인뿐만 아니라 낚시객 등 일반 국민도 해당 수산물을 포획하거나 채취할 수 없다. 올해 고등어의 금어기는 양력 날짜를 기준으로 4월 7일부터 5월 7일까지 한 달간이다. 고등어는 봄∼여름에는 난류를 따라 북쪽으로 이동하여 먹이를 섭취하고, 가을∼겨울에는 월동을 위해 남쪽으로 이동하는 습성을 지닌다. 산란은 3~6월에 제주도 주변 해역과 동중국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양수산부는 산란기에 더욱 효과적으로 고등어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매년 음력 3월 15일부터 4월 15일까지를 고등어 금어기로 지정하고 있다. * 소형선망어업과 제주정치망 어업은 매년 양력 4. 1.∼4. 30. 적용 고등어를 가장 많이 어획하는 대형선망어업(2019년 기준 86.5%)은 금어기 1개월을 포함하여 올해 총 3개월(2020. 4. 7.∼7. 9.)의 자율적 휴어기를 가지게 된다. 자율적 휴어기는 대형선망어업이 지속가능한 수산업을 위해 시행하는 자구 노력의 일환이다. 살오징어의 금어기는 양력 날짜를 기준으로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두 달간이다. 살오징어는 단년생 회유성어종으로 가을∼겨울에 주로 산란하고 봄이 되면 성장을 위해 북쪽으로 회유하기 때문에, 어린 살오징어가 무사히 성장하여 산란할 수 있도록 봄철에 금어기를 정하고 있다. * 근해채낚기어업과 연안복합어업은 4. 1.∼4. 30. 적용, 정치망어업은 금어기 적용 제외 금어기와 별도로 어린 고등어와 살오징어를 보호하기 위한 금지체장은 연중 적용되며, 전체 길이 21cm

해수부, 올해부터 살오징어·주꾸미도 회복대상종으로 추가

이미지
해양수산부는 올해부터 살오징어와 주꾸미를 회복대상종에 추가하여 과학적인 자원 조사를 통해 자원회복방안을 마련할 계획임을 밝혔다. * 우리나라 전 연안에 서식하는 가장 대표적인 오징어 종류 해양수산부(국립수산과학원)는 2006년부터 자원 회복 및 관리가 필요한 어종을 회복대상종으로 선정하여 생태 조사, 어획량 조사 등 연구를 추진하는 수산자원회복사업을 실시해오고 있다. 작년까지는 도루묵 등 16종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올해부터는 2종을 추가하여 총 18종에 대해 사업을 추진한다. * 대상품종 : 살오징어, 주꾸미, 도루묵, 꽃게, 낙지, 오분자기, 대구, 참조기, 참홍어, 기름가자미, 말쥐치, 개조개, 갈치, 갯장어, 고등어, 대문어, 옥돔, 명태 살오징어는 기후변화, 과도한 어획, 불법조업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어획량이 줄어들었으며, 특히 최근 2년간 어획량이 급감*하는 추세를 보여 회복대상종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 (1990년대∼2000년대 중반) 20만톤 내외 → (2016) 12만톤 → (2017) 8.6만톤 또한, 주꾸미는 산란기인 봄철에 맛이 좋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일명 ‘알배기 주꾸미’의 어획량이 늘어나는 한편, 최근 해양레저 인구 증가와 맞물려 초심자도 접근하기 쉬운 주꾸미 낚시가 인기를 끌면서 자원 관리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 (1990년대∼2000년대 평균) 4,680톤 → (2010년대 평균) 2,697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는 살오징어와 주꾸미를 포함한 총 18종을 올해 수산자원 회복대상종으로 선정 관리하고, 추후 자원회복 목표량을 달성하였거나 연안종으로서 지자체의 관리가 필요한 어종은 관리종(5종)으로 구분하여 효과적으로 사업을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특히, 최근 어획량이 급감한 살오징어 자원 회복을 위한 △ 미성어 포획 감소 방안 △ 포획금지체장(現 외투장 기준 12cm) 상향 조정 △ 금어기(4.1~5.31) 확대 등을 위한 과학적 조사·연구를 집중 추진한다. 최완현 해양수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