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용 인감증명서, 2024년 9월 30일부터 온라인 무료 발급

이미지
1914년 도입된 인감증명제도는 이제 110년이라는 세월을 맞이했습니다. 그동안 인감증명서 발급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이 필수였지만, 이제는 시대에 맞춰 온라인 발급 시스템이 도입되었습니다. 정부는 '국민이 편리한 원스톱 행정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제7차 민생토론회에서 일반용 인감증명서의 온라인 발급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국민들은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인감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인감증명서 온라인 발급 시스템 도입 온라인 발급 대상 일반용 인감증명서 중 법원이나 금융기관에 제출하지 않는 경우 온라인 발급 가능 예) 면허 신청, 경력 증명, 보조사업 신청 등 발급 절차 정부24 접속 및 로그인 인감증명서(전자민원창구용) 발급 선택 및 본인 확인 발급용도 및 제출처 입력 인증서 암호 입력 및 휴대전화 인증 인감증명서(전자민원창구용) 발급 및 저장 발급 사실 확인 (휴대전화 문자 등) 진위 확인 방법 정부24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16자리 문서확인번호 입력 정부24 앱 또는 스캐너용 문서확인 프로그램으로 3단 분할 바코드 스캔 주요 기대 효과 국민 편의 증진: 방문 불필요, 시간 절약, 24시간 발급 가능 행정 서비스 효율성 제고: 발급 업무 간소화, 비용 절감 위변조 방지: 위변조 검증장치 도입으로 보안 강화 행정안전부 장관의 말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인감증명서 온라인 발급 시스템 도입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디지털플랫폼정부의 핵심은 국민이 원하는 방식으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110년 만에 인감증명서를 온라인으로 발급받을 수 있게 되어 국민 여러분의 소중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국민 누구나 더 편리하게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출처: 행정안전부

2021년 2월 수출입 물동량 14개월 만에 증가

▲ 2021년 2월 전국 무역항 및 주요 항만별 물동량

해양수산부는 2021년 2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억 1,830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2,111만 톤) 대비 2.3%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2020.11) 13,078만 톤(2.8%↓), (2020.12) 12,781만 톤(14.0%↓), (2021.1) 12,895만 톤(1.6%↓)


수출입 물동량은 이산화탄소 저감 정책에 따라 석유가스 물동량이 증가하고 스포츠형 다목적차량(SUV) 및 친환경차 수출 증가로 자동차 물동량이 증가하여 2019년 12월 이후 14개월 만에 전년 동월(1억 235만 톤) 대비 0.4% 소폭 증가한 총 1억 278만 톤으로 집계되었다.


* (2020.11) 11,095만 톤(3.0%↓), (2020.12) 10,803만 톤(16.0%↓), (2021.1) 11,118만 톤(1.0%↓)


컨테이너 물동량은 설 연휴로 인한 수출입 기업의 조업일수 감소 및 터미널 운영일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월(223만 TEU) 대비  소폭 감소(0.9%)한 221만 TEU를 기록하였다.


* 2020년에는 설날이 1월(1. 24.~26.)이었으나 2021년에는 설날이 2월(2. 11.~13.)이었으며, 2021년 2월은 28일로 윤년인 2020년 2월(29일)에 비해 터미널 운영일수 1일이 부족


연안 물동량은 수송량 비중이 높은 유류, 광석, 시멘트 등의 수요 감소 영향으로 전년 동월(1,876만 톤) 대비 17.2% 감소한 총 1,552만 톤을 처리하였다.


항만별로 보면 부산항과 인천항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4%, 9.4% 증가하였고 광양항과 울산항은 전년 동월 대비 1.0%, 16.3% 감소하였다.


1. 컨테이너 화물


2021년 2월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환적물량과 수출입 물동량의 감소로 인해 전체적으로는 전년 동월(223만 TEU) 대비 0.9% 감소한 221만 TEU를 기록하였다.


* (2020.11) 258만 TEU(5.9%↑), (2020.12) 249만 TEU(0.0%), (2021.1) 247만 TEU(3.8%↑)


수출입은 전년 동월(127만 TEU) 대비 0.6% 감소한 126만 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이 65만 TEU(4.0%↓), 수입이 62만 TEU(3.1%↑)로 수입 물동량의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국가별로는 주요 교역상대국인 대중(對中) 수출입 증가세(24.3%↑)가 두드러졌다.


* (2020.11) 142만 TEU(1.8%↑), (2020.12) 140만 TEU(3.0%↓), (2021.1) 142만 TEU(8.9%↑)


환적은 전년 동월(94만 TEU) 대비 1.0% 감소한 93만 TEU를 기록하였다.


* (2020.11) 114만 TEU(12.0%↑), (2020.12) 107만 TEU(4.0%↑), (2021.1) 102만 TEU(2.4%↓)


부산항은 전년 동월(173.7만 TEU) 대비 3.4% 감소한 167.7만 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입물량을 중심으로 물동량이 감소하였다.


* (2020.11) 193만 TEU(5.9%↑), (2020.12) 187만 TEU(0.2%↑), (2021.1) 184만 TEU(1.9%↑)


수출입은 부산항의 물동량 기준 상위 10개국 가운데 중국(12.5%↑)을 제외한 일본(18.6%↓)?미국(7.1%↓) 등 9개국의 물동량이 감소함에 따라 전년 동월(84.3만 TEU) 대비 7.9% 감소한 77.7만 TEU를 처리했다.

* (2020.11) 85만 TEU(1.0%↓), (2020.12) 84만 TEU(4.1%↓), (2021.1) 85만 TEU(7.6%↑)


환적은 전년 동월(89.3만 TEU) 대비 0.7% 증가한 90.0만 TEU를 처리하였는데, 이는 주요국가(중국 27.5만(39.7%↑)의 환적물량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2020.11) 108만 TEU(12.1%↑), (2020.12) 103만 TEU(3.9%↑), (2021.1) 99만 TEU(2.5%↓)


인천항은 전년 동월(18.0만 TEU) 대비 36.4% 증가한 24.6만 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입은 2020년 2월, 7월에 각각 개설된 베트남?중국 신규항로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17.6만 TEU) 대비 36.1% 증가한 24.0만 TEU, 환적은 전년 동월(3천 TEU) 대비 소폭 증가한 5천 TEU를 처리하였다.


* (2020.11) 30만 TEU(9.4%↑), (2020.12) 28만 TEU(4.1%↑), (2021.1) 31만 TEU(15.7%↑)


광양항은 전년 동월(18.7만 TEU) 대비 15.5% 감소한 15.8만 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입 감소(전년동월(15.0만 TEU)대비 6.5% 감소한 14.0만 TEU)와 더불어 해운동맹 재편에 따른 항로 통폐합으로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월(3.8만 TEU) 대비 51.4% 감소한 1.8만 TEU에 그쳐 전체 물동량은 감소했다.


* (2020.11) 18만 TEU(4.3%↓), (2020.12) 17만 TEU(10.6%↓), (2021.1) 16만 TEU(1.8%↓)


※ HMM의 디얼라이언스(THE Alliance) 가입(2020.4)에 따른 항로 통폐합으로 중동노선 폐지


2. 비컨테이너 화물


전국 항만의 2021년 2월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7,959만 톤으로 전년 동월(8,414만 톤) 대비 5.4% 감소하였고, 개별항만으로 보면 광양항, 인천항, 평택당진항, 대산항은 소폭 증가한 반면 울산항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 (2020.11) 8,445만 톤(4.9%↓), (2020.12) 8,383만 톤(13.8%↓), (2021.1) 8,540만 톤(4.5%↓)


광양항은 석유정제품 등 석유화학제품의 수요가 부진하였으나, 제철 관련 제품(광석, 유연탄 등)의 물동량 회복으로 전년 동월(1,888만 톤) 대비 0.5% 증가한 1,898만 톤을 기록하였다.


울산항은 전 세계 자동차 수요 회복에 따라 자동차 수출 물동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유류 수출입 및 유연탄 수입 감소 등으로 전년 동월(1,532만 톤) 대비 16.0% 감소한 1,287만 톤을 기록하였다.


인천항은 광석 및 철제 관련 물동량이 증가하여 전년(917만 톤) 대비 1.2% 증가한 928만 톤을 기록하였다.


평택·당진항은 유가 상승세에 따른 계약 물량 증가로 유류 물동량이 크게 증가하여 전년(853만 톤) 대비 2.5% 증가한 874만 톤을 기록하였다.


품목별로 보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류(원유, 석유정제품, 석유가스 등)와 광석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5.0%, 5.0% 감소하였고, 유연탄과 자동차는 전년 동월 대비 각각 0.2%, 20.2% 증가하였다.


유류는 광양항과 울산항의 원유 및 석유정제품 수출입 물동량 감소 및 내수 수요 감소에 따른 연안 수송량 감소로 전년 동월(4,083만톤) 대비 5.0% 감소한 3,880만 톤을 기록하였다.


광석은 철강제품 주요 생산기지가 있는 광양항, 평택·당진항의 철광석 수입 물동량은 증가하였으나, 포항항 수입 물동량이 크게 감소하여 전년 동월(1,059만톤) 대비 5.0% 감소한 1,006만 톤을 기록하였다.


유연탄은 광양항 제철용 원료탄 수입 물동량 증가와 화력발전소가 소재한 일부 항만(보령항, 하동항 등)의 유연탄 수입 증가로 전년 동월(885만 톤) 대비 0.2% 증가한 887만 톤을 기록하였다.


자동차는 전 세계 자동차의 수요 회복세 및 자동차부품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502만 톤) 대비 20.2% 크게 증가한 604만 톤을 기록하였다.


박영호 해양수산부 항만물류기획과장은 “항만 수출입 물동량이 14개월 만에 증가한 것은 긍정적”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항만 물동량 흐름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선사 및 터미널 운영사 등과의 비대면 마케팅 등 온라인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고 항만별로 다양한 물동량 유인책을 병행하여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출처: 해양수산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양소 섭취기준을 통해 보는 한국인 영양소 섭취 현황

봄철에는 영양소가 풍부한 ‘숭어’와 ‘해조류’를 맛보세요

도로교통공단, 2023년 하반기 체험형 청년인턴 공개 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