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통계청인 게시물 표시

2020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

이미지
1. 2020년 맞벌이 가구 고용 현황 ① 맞벌이 가구 유배우 가구(1,233만 2천 가구) 중 맞벌이 가구는 559만 3천 가구로 전년대비 6만 9천 가구 감소하였음 전년대비 맞벌이 가구 비중은 45.4%로 0.6%p 하락 가구주 연령별 맞벌이 가구 비중은 40~49세 53.1%, 30~39세 51.3%, 50~64세 49.3% 순으로 높았음 전년대비 30~39세(1.1%p) 등에서 상승한 반면, 40~49세(-1.1%p) 등에서 하락 맞벌이 가구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9.8시간으로 전년대비 1.3시간 감소하였음 ② 동거 맞벌이 가구 동일 산업에 종사하는 가구는 37.2%로 전년대비 0.1%p 하락하였음 농림어업(80.5%), 도소매·숙박음식점업(54.6%) 순으로 높았음 동일 직업에 종사하는 가구는 38.3%로 전년대비 0.6%p 상승하였음 농림·어업숙련종사자(78.9%), 전문가및관련종사자(52.3%) 순으로 높았음 ③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구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유배우 가구(423만 6천 가구) 중 맞벌이 가구는 216만 4천 가구로 전년대비 8만 2천 가구 감소하였음 자녀 연령별 맞벌이 가구 비중은 전년대비 6세 이하에서 0.2%p 상승한 반면,  7~12세, 13~17세에서 각각 0.9%p, 1.1%p 하락하였음 ④ 시·도별 맞벌이 가구 지역별로 보면 제주특별자치도(60.4%), 전라남도(57.7%), 전라북도(54.3%) 순으로 높았음 2. 2020년 1인 가구 고용 현황 ① 1인 가구 1인 가구는 621만 4천 가구로 전년대비 17만 5천 가구 증가하였음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30.4%로 전년대비 0.5%p 상승 1인 취업 가구는 370만 가구로 전년대비 3만 가구 증가하였음 1인 가구 중 취업 가구 비중은 59.6%로 전년대비 1.2%p 하락 ② 1인 취업 가구 성별 가구 비중은 남자 56.7%, 여자 43.3%로 전년과 동일함 연령별 가구 비중은 50~64세 27.7%, 30~39세 22.0%, 40

2018년 소상공인실태조사 잠정결과 사업체 274만개, 종사자 632만명

이미지
▲ 2018년 기준 소상공인실태조사 2018년 기준 한국표준산업분류 상 대분류(19개) 중 11개 주요 업종의 소상공인 사업체 274만개, 종사자 632만명 (사업체 수) 소상공인 사업체 274만개, 이 중 개인사업자는 249만개(90.8%), 법인사업자는 25만개(9.2%) 산업별 소상공인 사업체 수는 도‧소매업(89만개), 숙박‧음식점업(65만개), 제조업(36만개), 수리·기타서비스업(29만개) 순 (종사자 수) 소상공인 종사자 632만명, 이 중 개인사업자 종사자는 534만명(84.5%), 법인사업자 종사자는 98만명(15.5%) 산업별 소상공인 종사자 수는 도‧소매업(183만명), 숙박‧음식점업(155만명), 제조업(118만명), 수리·기타서비스업(44만명) 순 (사업체)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125만개, 수도권 이외 149만개 (종사자)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304만명, 수도권 이외 328만명 * 한국표준산업분류 상 대분류(19개) 중 11개 주요 업종의 소상공인 대상 (사업체 수) 경기(60만개, 21.9%), 서울(52만개, 19.0%), 부산(20만개, 7.2%), 경남(20만개, 7.2%), 경북(16만개, 5.9%), 대구(15만개, 5.4%) 순 (종사자 수) 경기(154만명, 24.4%), 서울(118만명, 18.7%), 부산(45만명, 7.1%), 경남(43만명, 6.9%), 경북(35만명, 5.6%), 대구(33만명, 5.1%) 순 1. 대표자 연령 및 성별 사업체 수 대표자 연령은 50대, 40대, 60대 이상, 30대, 20대 이하 순  여성대표자 비중이 높은 업종은 숙박‧음식점업, 수리·기타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대표자 연령대별 사업체 수는 50대(34.4%), 40대(27.0%), 60대 이상(23.3%), 30대(12.9%), 20대이하(2.4%) 순 도·소매업의 대표자 연령대는 50대(32.0%), 40대(26.5%), 60대 이상(25.7%) 순

통신 모바일 빅데이터 기반 ‘유동인구 지도’ 시범 서비스

이미지
▲ 통계빅데이터센터 홈페이지[ data.kostat.go.kr ] 통계청 과 SK텔레콤 은 2019년 12월 9일(월)부터 모바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유동인구 지도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 정부 혁신의 일환으로 공공과 민간의 협업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양 기관간 업무협약(MOU) 체결(2019.5.16.) 이후 최초의 성과 이번 서비스는 전국 시군구별로 인구 유입과 유출 현황 등 인구 이동 정보를 주말과 주중, 월별로 지도상에서 3차원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여 보여준다. 교통, 관광 등 인구 이동과 관련된 정책을 수립·평가하거나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데도 폭 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통계청과 SK텔레콤은 앞으로도 이번 지도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공공데이터와 민간 모바일 빅데이터 활용을 확대하여 보다 다양한 통계 등을 제공하는데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 * 읍면동 단위로 지역을 세분화하고 모바일 서비스도 추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주요 관광지와 명절 등 특정 지역과 시기별의 인구 유출입 분석 등도 추진 출처:  통계청

경기도 부천시 거주 청년들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 발표

이미지
▲ 전국 시도별 청년수 ▲ 청년인구 전출입현황 ▲ 청년소비금액 및 건수 ▲ 시군별 국민연금 가입 비율 경기도 부천시에 거주하는 청년들이 가장 많은 소비를 하는 곳은 편의점으로 전체건수 중 24%를 차지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3일 경기도 데이터정책담당관실이 2017년 7월부터 2018년 6월까지 부천시내 만 18세에서 34세 청년의 신용카드 매출집계정보 약 1천만 건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월평균 편의점 지출건수는 총 137만5,254건으로 전체 월평균 지출건수 579만7,392건의 24%를 차지했다. 두 번째는 슈퍼마켓이 62만4,032건(11%), 외식업체 49만1,022건(8%), 일반한식점 39만7,847건(7%), 커피숍/음료 28만4,705건(5%)순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도는 행정안전부와 통계청 인구통계정보를 분석한 자료도 공개했다. 이 분석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연평균 약 4만 명의 청년이 매년 경기도로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2013년에는 3만8,157명, 2014년 3만1,715명 2015년 3만9,248명, 2016년 4만9,680명, 2017년 3만9,970명, 2018년 5만1,398명이다. 2018년 말 기준 경기도내 청년 인구는 291만8,148명으로 도 전체인구 1,307만7,153명 중 22%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군별로 살펴보면 청년인구가 가장 많은 시군은 수원시로 30만5,871명이었으며 뒤를 이어 고양시 23만6,218명, 성남시 22만4,658명, 용인시 21만4,361명, 부천시 20만0,870명 순이었다. 청년인구수 대비 국민연금 가입비율은 2018년 12월 기준 도 전체 청년인구 291만8,148명 가운데 123만5,538명으로 42%를 기록했다. 화성시는 전체 청년 16만5,036명 중 52% 수준인 8만5,263명이 국민연금에 가입돼 있었다. 청년이 대표인 사업장도 화성시가 총 1,688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응

2018년 10월 소비자물가 동향

이미지
2018년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5.42(2015=100)로 전월대비 0.2% 하락 전년동월대비로는 2.0% 상승하여 전월보다 0.1%p 상승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1.1% 각각 상승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0.9% 각각 상승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3% 하락, 전년동월대비 2.4% 상승 식품은 전월대비 1.6% 하락, 전년동월대비 3.5% 상승 식품이외는 전월대비 0.5%, 전년동월대비 1.8% 각각 상승 전월세포함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2% 하락, 전년동월대비 2.1% 상승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7.5% 하락, 전년동월대비 10.5% 상승 신선어개는 전월대비 1.5%, 전년동월대비 3.7% 각각 상승 신선채소는 전월대비 17.4% 하락, 전년동월대비 13.8% 상승 신선과실은 전월대비 0.7% 하락, 전년동월대비 11.4% 상승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전월대비 0.1% 하락, 전년동월대비 1.7% 상승 전월대비 교통(1.5%), 주택․수도․전기․연료(0.3%), 가정용품·가사서비스(0.4%), 음식․숙박(0.2%), 교육(0.1%)은 상승, 주류·담배, 의류․신발, 통신은 변동 없으며 보건(-0.1%), 기타 상품․서비스(-0.2%), 오락․문화(-0.5%), 식료품·비주류음료(-2.5%)는 하락 전년동월대비로는 식료품·비주류음료(5.6%), 교통(4.6%)등 10개 부문은 상승, 보건(-0.4%), 통신(-1.8%)은 하락 상품은 전월대비 0.5% 하락, 전년동월대비 2.8% 상승 농축수산물은 전월대비 4.1% 하락, 전년동월대비 8.1% 상승 공업제품은 전월대비 0.5%, 전년동월대비 2.0% 각각 상승 전기·수도·가스는 전월대비 변동 없으며, 전년동월대비 1.9% 하락 서비스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1.3% 각각 상승 집세는 전월대비 변동 없으며, 전년동월대비 0.5% 상승 공공서비

통계청, 2018년 9월 소비자물가 동향

이미지
1. 소비자물가지수 동향 2018년 9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5.60(2015=100)으로 전월대비 0.7% 상승 전년동월대비로는 1.9% 상승하여 전월보다 0.5%p 상승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1.2% 각각 상승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1% 하락, 전년동월대비 1.0% 상승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1.2%, 전년동월대비 2.2% 각각 상승 식품은 전월대비 1.7%, 전년동월대비 3.1% 각각 상승 식품이외는 전월대비 0.8%, 전년동월대비 1.7% 각각 상승 전월세포함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1.0%, 전년동월대비 2.0% 각각 상승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7.5%, 전년동월대비 8.6% 각각 상승 신선어개는 전월대비 0.7% 하락, 전년동월대비 4.5% 상승 신선채소는 전월대비 14.6%, 전년동월대비 12.5% 각각 상승 신선과실은 전월대비 4.6%, 전년동월대비 6.4% 각각 상승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전월대비 0.5%, 전년동월대비 1.7% 각각 상승 2. 소비자물가지수 부문별 동향 ① 지출목적별 동향 전월대비 식료품·비주류음료(3.1%), 주택·수도·전기·연료(1.6%), 교통(0.1%), 교육(0.1%), 기타 상품·서비스(0.1%)는 상승, 의류·신발, 보건은 변동 없으며, 주류·담배(-0.1%), 통신(-0.1%), 오락·문화(-0.3%), 가정용품· 가사서비스(-0.5%), 음식·숙박(-0.3%)은 하락 전년동월대비로는 식료품·비주류음료(5.2%), 교통(4.1%)등 9개 부문은 상승, 주류·담배는 변동 없으며, 보건(-0.5%), 통신(-1.7%)은 하락 ② 품목성질별 동향 상품은 전월대비 1.7%, 전년동월대비 2.6% 각각 상승 농축수산물은 전월대비 4.8%, 전년동월대비 7.1% 각각 상승 공업제품은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1.9% 각각 상승 전기·수도·가스는 전월대비 7.8% 상승, 전년동월대비 1

2018년 8월 온라인쇼핑 동향

이미지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9조 571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9.6% 증가, 온라인쇼핑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5조 7,197억원으로 29.7% 증가 전월대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4.5%,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3.5% 각각 감소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은 63.2% 차지 상품군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음식서비스(82.5%), 가전·전자·통신기기(29.1%), 여행 및 교통서비스(15.6%) 등에서 증가 전월대비 가전·전자·통신기기(-18.6%), 의복(-17.0%) 등에서 감소 취급상품범위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종합몰 17.6%, 전문몰 23.8% 각각 증가 전월대비 종합몰은 6.0%, 전문몰은 1.4% 각각 감소 운영형태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온라인몰 19.6%, 온·오프라인병행몰 19.5% 각각 증가 전월대비 온라인몰 6.4%, 온·오프라인병행몰 0.7% 각각 감소 출처: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