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경제인 게시물 표시

2020년 11월 1~2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2020년 11월 1~20일 수출 313억 달러, 수입 28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11.1%(31.2억 달러↑) 증가, 수입 1.3%(3.6억 달러↑) 증가  (연간누계) 수출 4,469억 달러, 수입 4,106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7.0%(337.6억 달러↓) 감소, 수입 △8.1%(359.6억 달러↓) 감소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21.9%), 승용차(11.9%), 무선통신기기(36.2%)등 증가, 석유제품(△48.2%), 컴퓨터주변기기(△1.9%), 가전제품(△3.1%)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7.2%), 미국(15.4%), EU(31.4%) 등은 증가, 일본(△7.2%), 중동(△21.8%), 호주(△15.2%) 등은 감소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26.4%), 기계류(11.7%), 정밀기기(15.3%) 등 증가, 원유(△46.9%), 무선통신기기(△0.2%), 가스(△30.2%)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16.7%), EU(31.7%), 일본(16.7%) 등은 증가, 미국(△19.5%), 중동(△43.5%), 베트남(△7.9%)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1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0년 3/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이미지
1. 소득 동향 2020년 3/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30만 5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6% 증가(실질소득 0.9% 증가) 경상소득은 1.2% 증가 근로소득, 사업소득은 각각 1.1%, 1.0% 감소 이전소득은 17.1% 증가 공적이전소득은 29.5% 증가, 사적이전소득은 4.3% 감소 비경상소득은 33.3% 증가 * 경조소득 및 실비보험 탄 금액 등 비경상적 수입 2. 소비지출 동향 2020년 3/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4만 5천원으로 전년 동분기대비 1.4% 감소(실질소비지출 2.0% 감소) 식료품·비주류음료(18.7%), 가정용품가사서비스(19.8%), 보건(12.8%) 등은 증가 의류·신발(-13.6%), 교통(-12.4%), 오락·문화(-28.1%), 교육(-13.6%) 등은 감소 1) 식료품․비주류음료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49만 9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8.7% 증가 채소, 육류 등의 가격 인상과 소비 증가로 인해 육류(31.9%), 신선수산동물(25.3%), 채소 및 채소가공품(35.4%) 등에서 지출 증가 2) 주류․담배 주류‧담배 지출은 4만 3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0.7% 증가 주류 및 담배 지출은 각각 13.7%, 8.4% 증가 3) 의류․신발 의류‧신발 지출은 11만 8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3.6% 감소 직물 및 외의, 신발 지출은 각각 16.2%, 14.5% 감소 4) 주거․수도․광열 주거‧수도‧광열 지출은 28만 1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6.7% 증가 월세 등 실제주거비, 주택유지 및 수선 지출에서 각각 1.6%, 31.1% 증가 5) 가정용품․가사서비스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지출은 16만 3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9.8% 증가 가구 및 조명, 가전·가정용기기 지출에서 각각 15.9%, 34.4% 증가 6) 보건 보건 지출은 25만 7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2.8% 증가 영양보조제, 마스크 등 구입 증가로 의약품, 의료용소모품 지출이 각각 9.4%, 177.4% 증가 7) 교통 교통 지출은 33만

2020년 11월 1~1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2020년 11월 1∼10일 수출 141억 달러, 수입 133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0.1%(23.5억 달러↑) 증가, 수입 7.8%(9.7억 달러↑) 증가  (연간누계) 수출 4,297억 달러, 수입 3,95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7.4%(345.4억 달러↓) 감소, 수입 △8.2%(353.5억 달러↓) 감소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31.9%), 승용차(8.3%), 무선통신기기(33.3%) 등 증가, 석유제품(△24.1%), 컴퓨터 주변기기(△3.1%)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14.5%), 미국(23.5%), EU(40.5%), 베트남(15.8%) 등은 증가, 일본(△7.4%), 중동(△4.5%) 등은 감소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42.0%), 기계류(24.6%), 정밀기기(25.3%) 등 증가, 원유(△57.9%), 가스(△27.8%), 무선통신기기(△7.9%)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34.8%), EU(37.4%), 일본(24.6%) 등은 증가, 미국(△5.1%), 중동(△59.3%), 캐나다(△11.1%)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1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0년 3/4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이미지
1. 시·도 서비스업생산 2020년 3/4분기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서울은 증가하였으나, 15개 시․도에서는 감소 인천(-11.6%), 제주(-8.7%), 강원(-5.6%) 등은 운수·창고, 숙박·음식점, 예술·스포츠·여가, 도소매 등에서 부진하여 감소 (인천) 운수‧창고(-39.3%), 숙박·음식점(-20.5%), 교육(-7.0%), 도소매(-4.2%), 예술·스포츠·여가(-33.8%) 등에서 감소 (제주) 도소매(-14.8%), 운수‧창고(-21.5%), 예술‧스포츠‧여가(-42.3%), 숙박·음식점(-13.8%), 교육(-6.7%) 등에서 감소 (강원) 예술·스포츠·여가(-45.7%), 숙박·음식점(-19.5%), 운수·창고(-12.6%), 교육(-3.4%), 도소매(-1.8%) 등에서 감소 서울(2.2%)은 금융·보험(27.6%), 부동산(16.2%)에서 호조를 보여 증가 2. 시·도 소매판매 2020년 3/4분기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8개 시·도에서 증가하였으나, 8개 지역에서는 감소 전남(3.4%), 충남(1.7%), 경남(1.3%) 등은 승용차·연료소매점, 슈퍼·잡화·편의점 등에서 판매가 늘어 증가 제주(-30.4%), 인천(-9.4%), 서울(-7.8%), 부산(-2.5%), 광주(-1.7%) 등은 백화점, 면세점, 전문소매점 등에서 판매가 줄어 감소 (제주) 면세점(-79.4%), 전문소매점(-16.8%)에서 주로 감소 (인천) 면세점(-89.5%), 전문소매점(-2.8%)에서 주로 감소 (서울) 전문소매점(-13.6%), 면세점(-17.3%), 백화점(-4.8%)에서 주로 감소 (부산) 면세점(-72.7%), 전문소매점(-5.9%)에서 주로 감소 (광주) 전문소매점(-5.4%), 백화점(-12.8%)에서 주로 감소 첨부파일 출처:  통계청

2020년 10월 수출 449.8억달러(3.6%) 증가, 수입 390.0억달러(5.8%) 감소

이미지
< 1. 10월 수출입 개요 (수출) 10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3.6% 증가한 449.8억달러 * 수출 증감률(%):(2019.10)△15.0→(11)△14.5→(12)△5.3→(2020.1)△6.6→(2)+3.6→(3)△1.7→(4)△25.6→(5)△23.8→(6)△10.9→(7)△7.1→(8)△10.2→(9)+7.6→(10)△3.6 조업일수가 △2.0일 부족해 총 수출은 감소했으나, 조업일 영향을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5.6% 증가한 21.4억달러를 기록 * 일평균 수출 증감률(%):(2019.10)△15.0→(11)△12.6→(12)△7.3→(2020.1)+4.2→(2)△12.5→(3)△7.8→(4)△18.8→(5)△18.4→(6)△18.5→(7)△7.1→(8)△4.1→(9)△4.1→(10)+5.6 (수입) 10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5.8% 감소한 390.0억달러 지난달 플러스에 이어, 이번 달은 한 자릿수대로 감소하며(조업일수 영향)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증감률로 복귀 * 수입 증감률(%):(2019.10)△14.6→(11)△13.0→(12)△0.8→(2020.1)△5.4→(2)1.0→(3)△0.4→(4)△15.9→(5)△20.9→(6)△11.2→(7)△11.6→(8)△15.8→(9)1.6→(10)△5.8 (무역수지) 10월 무역수지는 59.8억달러 흑자 (6개월 연속 증가) (품목) 15대 주요 품목 중 7개 품목이(반도체·자동차·디스플레이·바이오헬스·이차전지·컴퓨터·가전) 플러스를 기록 반도체·자동차 등 6개 품목은 지난달에 이어 플러스를 이어갔으며, 디스플레이는 2018.8월 이후 26개월 만에 첫 플러스로 전환 * 연속 플러스 : 바이오헬스(14개월)·컴퓨터(13개월), 반도체·가전(4개월), 자동차·이차전지(2개월) * 디스플레이 : 최근 TV·노트북·태블릿 등의 수요증가에 따른 LCD 수출단가 상승과 모바일용 OLED의 선전 등으로 플러스 전환 마이너스 품목 중, 철강은 일평균 기준으로는 플러스를 기록 (일평균 기준, 총 8개

2020년 9월 1~1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2020년 10월 1~20일 수출 252억 달러, 수입 24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5.8%(15.6억 달러↓) 감소, 수입 △2.8%(7.0억 달러↓) 감소  ※조업일수[(2019)13.5일,(2020)12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19.10.)19.8,(2020.10.)21.0억 달러] 5.9% 증가 (연간누계) 수출 3,961억 달러, 수입 3,68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8.4%(364.7억 달러↓) 감소, 수입 △8.7%(348.8억 달러↓) 감소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12.1%), 정밀기기(1.9%), 컴퓨터 주변기기(10.5%)등 증가, 승용차(△7.6%), 무선통신기기(△1.7%), 석유제품(△42.1%)등 감소 (주요국가) 베트남(0.7%), EU(13.8%), 캐나다(38.8%) 등은 증가, 중국(△4.6%), 미국(△2.3%), 일본(△17.0%) 등은 감소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28.5%), 기계류(15.9%), 정밀기기(9.8%) 등 증가, 원유(△32.7%), 가스(△17.4%), 승용차(△11.0%)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3.7%), EU(17.3%), 미국(2.5%), 일본(6.3%) 등은 증가, 중동(△37.6%), 베트남(△6.4%), 호주(△6.2%)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1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0년도 3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

이미지
중소벤처기업부 (이하 중기부)는 10월 20일(화), 2020년도 3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과 함께 코로나19 이후 상대적으로 선전하고 있는 중소기업 수출의 특징을 별도 분석한 ‘최근 중소기업 수출 동향 및 코로나19 영향 분석’ 자료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2020년 3분기 기준 중소기업 수출은 256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0% 증가했다. 미·중을 비롯해 상위 5개국 대부분의 수출이 증가세로 전환되고 화장품, 기타정밀화학제품 등 상위 20개 품목 중 13개 품목이 증가세를 보이며 2분기 13.6% 급감한 수출이 빠르게 회복됐다. 특히, 9월 수출의 경우 전년동기대비 19.6% 증가하면서 조업일수 효과를 제외하더라도 일평균 6.6% 증가로 올해 최고 실적을 기록하며 3분기 플러스 수출을 견인했다. 코로나19 이후 지속적으로 수출 호조를 보인 K-방역제품, 비대면 트렌드 유망품목은 물론 그동안 부진했던 자동차부품·플라스틱제품·합성수지·철강판 등 주력 수출 품목이 모두 증가로 전환되는 등 긍정적 신호를 보였다. 3분기 중소기업 수출을 품목별로 보면 코로나19 이후의 각 국의 경기 부양과 제조업 회복세에 따라 반도체 제조용 장비, 계측제어분석기 등 장비류 수출이 증가했고 소비경기 회복세로 인한 화장품, 가전제품 등의 수출도 증가세를 보였다. K-방역제품에 대한 글로벌 수요는 더욱 크게 확대되며 진단키트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2,042%(2분기 1,130% 증가) 증가하는 등 3분기 큰 폭의 성장을 지속했고 비대면 트렌드에 따라 디지털장비·가공식품·취미오락기구 등 비대면 유망품목의 수출 증가세도 이어졌다. 중소기업 수출(4.0%)은 전체 수출(△3.2%) 또는 대기업(△5.6%) 및 중견기업(△1.9%) 수출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선전하면서 코로나19로 어려운 우리 수출의 버팀목 역할을 하는 등 고무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에 따라, 중기부는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중소기업 수출 동향과 특징을 별도 분석한 ‘최근 중소기업 수출 동향 및 코로나 19 영향 분석’ 자료도

2020년 10월 1~1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2020년 10월 1~10일 추석명절 조업일수 감소(-2일)로 수출은 93억 달러, 수입은 111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수출은 △28.8%(조업일수 고려시 2.8% 증가), 수입은 △19.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조업일수[(2019)6.5일,(2020)4.5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19.10.)20.1,(2020.10.)20.7억 달러]  2.8%  증가 (연간누계) 수출 3,803억 달러, 수입 3,54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9.2%(386.8억 달러↓) 감소, 수입 △9.4%(368.6억 달러↓) 감소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11.2%) 등 증가, 무선통신기기(△16.5%), 승용차(△36.0%), 석유제품(△58.4%)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20.9%), 베트남(△15.6%), 미국(△33.5%), EU(△27.2%), 일본(△36.8%), 중동(△53.7%) 등 감소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7.3%), 기계류(0.7%), 반도체 제조용 장비(19.6%) 등 증가, 원유(△30.2%), 가스(△36.6%), 정밀기기(△14.1%)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12.1%), 미국(△9.2%), EU(△1.9%), 중동(△41.4%), 일본(△19.5%), 베트남(△17.1%) 등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1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0년 9월 수출 480.5억달러(7.7%), 수입 391.7억달러(1.1%) 각각 증가

이미지
1. 9월 수출입 개요 (수출) 9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7.7% 증가한 480.5억달러 * 수출 증감률(%):(2019.9)△11.9→(10)△15.0→(11)△14.5→(12)△5.3→(2020.1)△6.6→(2)+3.6→(3)△1.7→(4)△25.6→(5)△23.8→(6)△10.9→(7)△7.1→(8)△10.1→(9)+7.7 조업일수 효과를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4.0% 감소 (수입) 9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1.1% 증가한 391.7억달러 에너지 가격 회복세로 원유(△27.8%)·LNG(△38.8%) 등 에너지 수입 감소폭이 크게 축소된 반면,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자본재 수입은 8개월 연속 증가하며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플러스를 기록 * 원유(8월△44.5%→△27.8%), LNG(8월△63.8%→△38.8), 반도체제조장비(9월+59.5%) (무역수지) 9월 무역수지는 88.8억달러 흑자, 5개월 연속 흑자 5월 흑자 전환 이후, 흑자규모는 증가 추세 지속 (품목) 15대 주요 품목 중 10개 품목이(반도체·일반기계·자동차·차부품· 철강·컴퓨터·바이오헬스·이차전지·섬유·가전) 플러스를 기록 반도체는 3개월 연속 플러스를 이어가며, 올해 최대실적 달성 자동차·차부품·기계·철강·섬유는 코로나19 이후 첫 플러스 전환 * 자동차·차부품은 6개월 만에, 기계·섬유는 7개월 만에, 철강은 9개월만에 플러스로 전환 컴퓨터(12개월 연속 +)·바이오헬스(13개월)은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는 반면, 석유제품(21개월 연속 -)과 석유화학(22개월)은 저유가로 부진 지속 (지역) 中·美·EU·아세안 등 4대 주력시장으로의 수출이 모두 플러스 중국·미국·EU으로의 수출은 3개 지역 모두 지난달 일평균 수출이 플러스를 기록한 데 이어, 이번 달은 총수출도 모두 플러스를 기록 아세안은 코로나19 이후 두 자릿수대 감소를 지속하다, 이번 달은 7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 * 對아세안 월별 수출 증감률(%) : (2020.2월)+5.6→(3월)△4.1→(4월)△33.

2020년 9월 1~1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2020년 9월 1~10일 수출 150억 달러, 수입 13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0.2%(0.3억 달러↓) 감소, 수입 △7.6%(10.8억 달러↓) 감소  (연간누계) 수출 3,380억 달러, 수입 3,17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10.2%(382.9억 달러↓) 감소, 수입 △10.2%(359.1억 달러↓) 감소 ※ 조업일수[(2019)7.5일,(2020)8.5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19.9.)20.0,(2020.9.)17.6억 달러]△11.9% 감소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43.2%), 승용차(8.4%), 정밀기기(14.2%) 등 증가, 무선통신기기(△14.9%), 석유제품(△47.0%), 자동차 부품(△7.9%)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9.7%), 미국(5.2%), 베트남(7.2%) 등은 증가, EU(△0.8%), 일본(△21.1%), 중동(△22.4%) 등은 감소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12.8%), 기계류(5.1%), 정밀기기(7.8%) 등 증가, 원유(△11.9%), 가스(△41.7%), 무선통신기기(△22.2%)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0.6%), EU(4.3%) 등은 증가, 미국(△14.9%), 일본(△15.6%), 중동(△37.1%), 베트남(△16.1%)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1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0년 8월 수출 396.6억달러(9.9%), 수입 355.4억달러(16.3%) 각각 감소

이미지
1. 8월 수출입 개요 (수출) 8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9.9% 감소한 396.6억달러 * 수출 증감률(%):(2019.8)△14.0→(9)△11.9→(10)△15.0→(11)△14.5→(12)△5.3→(2020.1)△6.6→(2)+3.6→(3)△1.7→(4)△25.6→(5)△23.8→(6)△10.8→(7)△7.1→(8)△9.9 조업일수 효과를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3.8% 감소 (수입) 8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16.3% 감소한 355.4억달러 원유(△44.5%)·유연탄(△50.4%)·LNG(△63.8%) 등 에너지 수입의 감소가 8월 전체 수입 하락을 주도 하였으나,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장비 등 설비투자를 위한 자본재 수입은 7개월 연속 증가 * 8월 수입 증감률(%) : (반도체제조장비)53.0, (디스플레이 제조장비)1169.8 (무역수지) 8월 무역수지는 41.2억달러 흑자, 4개월 연속 흑자 5월 흑자 전환 이후, 흑자규모는 증가 추세 지속 (품목) 15대 품목 중 4개가(반도체, 가전, 바이오헬스, 컴퓨터) 플러스를 기록했으며, 일평균 기준으로는 5개 품목이(4개 품목+이차전지) 플러스 반도체는 2개월 연속 증가하며, 2020년 누계 기준(1~8월) 플러스로 전환됨(누계기준 전년동기 대비 +0.1% 증가) 컴퓨터(11개월), 바이오헬스(12개월)는 호조세 지속, 가전은 홈코노미 특수로 냉장고․세탁기 등이 선전하면서 2개월 연속 플러스 기록 감소를 기록한 11개 품목들도 대부분 코로나19 이후 개선 추세 (대부분 품목이 4~5월 이후, 일평균 수출 감소율이 둔화되고 있는 추세) (지역) 조업일수 부족 영향 등으로 대부분 지역으로의 수출이 감소하며, 지난달 플러스였던 中․美도 소폭하락하며 한 자릿수 초반대 감소 다만, 일평균 기준으로는 중국(4개월 연속)과 미국(2개월 연속)에 이어, EU도 코로나19 이후 첫 플러스로 전환되며 주요 3대 시장의 일평균 수출이 23개월 만에 모두 플러스를 기록 그 밖의 지역들은 8월 전체실적과 일평균 실적이

2020년 8월1~2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2020년 8월 1~20일 수출 231억 달러, 수입 233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7.0%(17.4억 달러↓) 감소, 수입 △12.8%(34.4억 달러↓) 감소 ※조업일수[(2019)14.5일,(2020)14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19.8.)17.1,(2020.8.)16.5억 달러]△3.7% 감소 (연간누계) 수출 3,065억 달러, 수입 2,916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10.4%(355.1억 달러↓) 감소, 수입 △9.7%(314.9억 달러↓) 감소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2.9%), 컴퓨터 주변기기(99.4%)등 증가, 석유제품(△39.0%), 승용차(△10.1%), 무선통신기기(△29.3%)등 감소 (주요국가) 미국(6.2%), 캐나다(25.4%) 등은 증가, 중국(△0.2%), 베트남(△6.4%), EU(△1.8%), 일본(△9.7%) 등은 감소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14.7%), 기계류(4.0%), 반도체 제조용 장비(37.9%) 등 증가, 원유(△37.8%), 정밀기기(△5.6%), 승용차(△11.2%)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3.8%), 대만(11.5%) 등은 증가, EU(△10.3%), 미국(△2.5%), 중동(△44.6%), 일본(△7.8%)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1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0년 7월 월간 수출입 현황(확정치)

이미지
  2020년 7월 월간 수출입 집계 결과,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7.1% 감소한 428억 달러, 수입은 11.6% 감소한 387억 달러로, 무역흑자 41억 달러를 기록하여 3개월 연속 흑자 1. 수출 (품목별) 주요 수출품목 중에 반도체(5.5%)․선박(18.8%) 등 증가, 승용차(△1.8%)․석유제품(△42.7%)․무선통신기기(△8.9%)․자동차 부품(△26.7%)․가전제품(△8.7%) 등 감소 (국가별)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중국(2.5%), 미국(7.7%)은 증가, 베트남(△0.6%), EU(△11.2%), 일본(△21.6%), 중동(△24.7%) 등은 감소 2. 수입 (품목별) 주요 수입품목 중에 기계류(4.5%)․제조용장비(186.9%)․조제식품(0.6%)은 증가, 원유(△41.5%)․메모리 반도체(△14.7%)․의류(△18.3%)는 감소 (소비재 : 7.6% 감소) 조제식품(0.6%)․사료(14.0%) 등은 증가, 의류(△18.3%)․가전제품(△9.5%) 등은 감소 (원자재 : 25.6% 감소) 고무제품(1.4%)․식물성 유지(35.9%) 등은 증가, 원유(△41.5%)․가스(△35.0%)․석유제품(△35.7%) 등은 감소 (자본재 : 7.2% 증가) 기계류(4.5%)․제조용 장비(186.9%) 등은 증가, 메모리 반도체(△14.7%)․정밀기기(△1.1%) 등은 감소 (국가별) 주요 수입대상국 대만(18.8%), 싱가포르(28.3%) 등 증가, 중국(△2.3%), EU(△6.3%), 미국(△17.5%), 일본(△8.2%), 중동(△33.3%) 등 감소 3. 수출입 특이사항 7월 수출액은 코로나19 영향이 지속되며 전년 동월 대비 △7.1% 감소한 가운데, 감소폭은 한자리로 축소 * 수출(%): (2020.2) 3.6 → (3)△1.7 → (4)△25.6 → (5)△23.8 → (6)△10.8 → (7)△7.1 수출 중량(순중량)은 석유제품, 승용차를 중심으로 전년 동월 대비 △5.4% 감소 * 수출중량(%): (2020.2)6.8 → (3)13

2020년 7월 수출 428.3억달러(7.0%), 수입 385.6억달러(11.9%) 각각 감소

이미지
1. 수출입 개요 (수출) 7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7.0% 감소한 428.3억달러 * 수출 증감률(%):(2019.7)△11.1→(8)△14.0→(9)△11.9→(10)△15.0→(11)△14.5→(12)△5.3→(2020.1)△6.6→(2)+3.5→(3)△1.6→(4)△25.5→(5)△23.7→(6)△10.9→(7)△7.0 (수입) 7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11.9% 감소한 385.6억달러 원유(△41.5%)·유연탄(△35.8%)·LNG(△38.4%) 등 에너지 수입의 감소가 7월 전체 수입 하락을 주도 하였으나,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장비 등 설비투자를 위한 자본재 수입은 지속 증가 * 7월 수입 증감률(%) : (반도체제조장비)294.3, (디스플레이 제조장비)287.8 (무역수지) 7월 무역수지는 42.7억달러 흑자 → 3개월 연속 흑자 5월 수지 흑자 전환 이후, 흑자규모는 지속 증가하여 3개월 연속 흑자 (품목) 15대 품목 중 6개 품목이 플러스를 기록 * (2019.7월)4개→(8월)3개→(9월)7개→(10월)3개→(11월)2개→(12월)8개→(2020.1월)3개→(2월)10개→(3월)5개→(4월)2개→(5월)4개→(6월)3개→(7월)6개 ㉮ 플러스 전환품목 ▸비대면 경제, 홈코노미 활성화에 따라 무선통신기기(4개월만)·가전(5개월만) 수출이 플러스로 전환 ㉯ 호조세 지속품목 ▸컴퓨터(10개월 연속)·바이오헬스(11개월 연속)는 금년 들어 두 자릿수대 증가율을 지속하며 가파른 성장세 ㉰ 견조한 주력품목 ▸반도체는 2개월만에 플러스로 전환하며 코로나19 이후에도 견조한 펀더멘탈 유지 (1~7월 누계 △0.3%) ▸선박은 두 자릿수대 증가(18.0%)하며, 금년들어 4번 플러스 기록 9개의 품목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가운데 자동차(△4.2%)와 이차전지(△3.6%)는 한 자릿수대 감소하며 상대적으로 선전했으나, 석유제품은 저유가 영향으로 부진이 지속(△43.2%) (지역) 중국·미국·EU 주요 3대 시장으로의 수출은 회복되고 있으나, 나머지 지역

2020년 7월1~20일 수출입 현황

이미지
2020년 7월1~20일 수출 246억 달러, 수입 24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12.8%(36.0억 달러↓) 감소, 수입 △13.7%(39.3억 달러↓) 감소 ※조업일수[(2019)16.5일,(2020)15.5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19.7.)17.1,(2020.7.)15.9억 달러]△7.1% 감소 (연간누계) 수출 2,653억 달러, 수입 2,546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11.4%(341.1억 달러↓) 감소, 수입 △9.5%(266.6억 달러↓) 감소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선박(48.1%), 컴퓨터 주변기기(56.9%) 등은 증가, 반도체(△1.7%), 승용차(△14.0%), 석유제품(△41.6%) 등은 감소 (주요국가) 중국(△0.8%), 미국(△2.4%), 베트남(△9.9%), EU(△11.9%), 일본(△21.9%), 중동(△40.0%) 등 감소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2.2%), 반도체 제조용 장비(131.6%), 무선통신기기(14.3%) 등은 증가, 원유(△43.9%), 기계류(△5.6%), 정밀기기(△4.5%) 등은 감소 (주요국가) 중국(△4.4%), EU(△4.0%), 미국(△21.1%), 일본(△11.8%), 중동(△34.5%), 베트남(△1.0%)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1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0년 7월1~10일 수출입 현황

이미지
2020년 7월1~10일 수출 133억 달러, 수입 14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1.7%(2.3억 달러↓) 감소, 수입 △9.1%(14.2억 달러↓) 감소 (연간누계) 수출 2,539억 달러, 수입 2,44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10.8%(307.4억 달러↓) 감소, 수입 △9.0%(241.4억 달러↓) 감소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7.7%), 승용차(7.3%), 선박(307.0%) 등 증가, 석유제품(△42.2%), 무선통신기기(△9.7%), 자동차 부품(△34.0%) 등 감소 (주요국가) 중국(9.4%), 미국(7.3%), 베트남(4.1%) 등은 증가, 일본(△20.8%), 홍콩(△6.9%), 중동(△32.0%) 등은 감소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6.9%), 반도체 제조용 장비(85.1%), 무선통신기기(29.9%) 등 증가, 원유(△32.6%), 기계류(△12.9%), 가스(△3.2%) 등 감소 (주요국가) 대만(22.4%), 베트남(0.7%) 등은 증가, 중국(△1.3%), EU(△11.9%), 중동(△18.5%), 미국(△12.9%)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1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0년 6월 수출 392.1억달러(10.9%), 수입 355.5억달러(11.4%) 각각 감소

이미지
(수출) 6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0.9% 감소한 392.1억달러로 전월 감소폭(△23.6%)보다 개선되며, 3개월만에 △10%대로 진입 * 수출 증감률(%):(2019.6)△13.8→(7)△11.1→(8)△14.0→(9)△11.9→(10)△15.0→(11)△14.5→(12)△5.3→(2020.1)△6.6→(2)+3.5→(3)△1.6→(4)△25.5→(5)△23.6→(6)△10.9 (수입) 6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11.4% 감소한 355.5억달러 원유(△65.8%)·유연탄(△41.3%)·액화천연가스(△19.6%) 등 에너지 수입의 감소가 6월 전체 수입 하락을 주도 하였으나, 반도체 제조장비 등 설비투자를 위한 자본재 수입은 지속 증가 * 6월 수입 증감률(%) : (반도체제조장비)139.5, (정지형 변환기)7.8 (무역수지) 6월 무역수지는 36.7억달러 흑자 → 2개월 연속 흑자 수지 흑자가 4.5억달러였던 지난달과 비교시, 수출(+43.1억달러)에 비해 수입(+10.9억달러) 규모가 상대적으로 적게 줄면서 흑자 규모 증가 (지역) 지난 4월 이후 코로나19 여파가 지속되는 가운데, 우리의 최대 수출 지역인 대(對)중국 수출은 6개월만에 증가로 전환 * 對中 수출(억달러, %):(2020.4)101.6(△18.2)→(5)107.5(△2.4)→(6)114.2(9.5) * 6.1~25일 對中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반도체)28.9(14.1), (석유화학)12.1(21.5), (일반기계)7.6(1.2), (석유제품)5.6(19.5) 중국 외 주요 수출 시장인 미국(△8.3%)·유럽연합(△17.0%)·아세안(△10.8%) 등은 지난달 △30%이상 감소하였으나, 6월에는 △10%대로 축소 (품목) 대부분의 품목들이 전년대비해서는 감소하였으나, 지난달과 비교시에는 수출 실적이 개선 특히, 지난달 △30%이상 감소했던 경기민감 품목(자동차·차부품·섬유)과 가격민감 품목(석유제품·석유화학)의 실적이 개선되며 회복세 일반기계·가전·디스플레이 등의 품목도

2020년 6월1∼20일 수출입 현황

이미지
(6.1.∼6.10.) 수출 123억 달러, 수입 136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0.2%(20.7억 달러↑) 증가, 수입 8.5%(10.7억 달러↑) 증가  ※ 조업일수[(2019)6일,(2020)8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19.6.)17.0,(2020.6.)15.4억 달러] △9.8% 감소 (연간누계) 수출 2,138억 달러, 수입 2,08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9.9%(235.7억 달러↓) 감소, 수입 △7.5%(169.7억 달러↓) 감소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22.6%), 무선통신기기(35.8%), 의약품(136.7%) 등은 증가, 석유제품(△32.8%), 승용차(△37.0%), 자동차 부품(△30.2%) 등은 감소 (주요국가) 중국(35.7%), 미국(15.1%), 베트남(7.7%), EU(22.2%), 일본(10.0%) 등 증가, 중동(△7.3%), 호주(△29.5%) 등 감소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21.8%), 기계류(20.3%), 승용차(27.7%) 등은 증가, 원유(△62.8%), 가스(△1.2%) 등은 감소 (주요국가) 중국(25.7%), 미국(27.2%), EU(31.3%), 일본(19.5%), 베트남(22.3%) 등은 증가, 중동(△42.0%), 호주(△10.9%)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1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0년 5월 월간 수출입 현황(확정치)

이미지
2020년 5월 월간 수출입 집계 결과,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23.6% 감소한 349억 달러, 수입은 21.0% 감소한 345억 달러로, 무역흑자 4억 달러를 기록하여 1개월 만에 흑자 전환 1. 수출 (품목별) 주요 수출품목 중에 반도체(6.5%) 선박(37.0%) 등 증가, 승용차(△53.1%) 무선통신기기(△15.2%) 석유제품(△67.7%) 자동차 부품(△66.4%) 가전제품(△39.2%) 등 감소 * 중국(33.0%), 미국(30.8%), 대만(36.2%) 등 수출 증가 (국가별)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중국(△2.4%), 미국(△29.2%), EU(△22.5%), 베트남(△20.1%), 일본(△29.0%), 중동(△25.4%) 등은 감소 2. 수입 (품목별) 주요 수입품목 중에 제조용 장비(132.1%) 승용차(21.9%) 컴퓨터(56.4%)는 증가, 원유(△68.4%) 기계류(△14.0%) 가전제품(△16.3%)은 감소 (소비재 : 10.0% 감소) 승용차(21.9%) 소고기(6.0%) 등은 증가, 가전제품(△16.3%) 조제식품(△4.5%) 의류(△20.5%) 등은 감소 (원자재 : 36.4% 감소) 폴리에틸렌(3.3%) 화학비료(16.2%) 등은 증가, 원유(△68.4%) 가스(△9.1%) 석탄(△36.0%) 등은 감소 (자본재 : 3.9% 감소) 제조용 장비(132.1%) 컴퓨터 주변기기(25.3%) 등은 증가, 기계류(△14.0%) 메모리 반도체(△26.9%) 등은 감소 (국가별) 주요 수입대상국 EU(3.5%), 베트남(8.7%) 등 증가, 중국(△9.6%), 미국(△22.2%), 일본(△16.5%), 중동(△65.9%) 등 감소 3. 수출입 특이사항 5월 수출액은 코로나19 영향 , 조업일수 감소(△1.5일), 국제유가 급락으로 전년 동월 대비 23.6% 감소, 일평균 수출은 18.3% 감소를 기록 * 수출(%): (2020.1)△6.6 → (2) 3.5 → (3)△1.6 → (4)△25.5 → (5)△23.6 5월 수출 중량(순중량)

2020년 6월1일~10일 수출입 현황

이미지
(6.1.∼6.10.) 수출 123억 달러, 수입 136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0.2%(20.7억 달러↑) 증가, 수입 8.5%(10.7억 달러↑) 증가  ※ 조업일수[(2019)6일,(2020)8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19.6.)17.0,(2020.6.)15.4억 달러] △9.8% 감소 (연간누계) 수출 2,138억 달러, 수입 2,08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9.9%(235.7억 달러↓) 감소, 수입 △7.5%(169.7억 달러↓) 감소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22.6%), 무선통신기기(35.8%), 의약품(136.7%) 등은 증가, 석유제품(△32.8%), 승용차(△37.0%), 자동차 부품(△30.2%) 등은 감소 (주요국가) 중국(35.7%), 미국(15.1%), 베트남(7.7%), EU(22.2%), 일본(10.0%) 등 증가, 중동(△7.3%), 호주(△29.5%) 등 감소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21.8%), 기계류(20.3%), 승용차(27.7%) 등은 증가, 원유(△62.8%), 가스(△1.2%) 등은 감소 (주요국가) 중국(25.7%), 미국(27.2%), EU(31.3%), 일본(19.5%), 베트남(22.3%) 등은 증가, 중동(△42.0%), 호주(△10.9%)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1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