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고용동향인 게시물 표시

2019년 9월 고용동향 전년동월대비 고용률 0.3%p 상승, 실업률 0.5%p 하락

이미지
▲ 2019년 9월 고용동향 1. 15세이상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① 15세이상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2019년 9월 15세이상인구는 4,457만 3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3만 5천명(0.8%) 증가하였음. 경제활동인구는 2,828만 8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0만 8천명(0.7%) 증가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1,608만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만 2천명(0.2%) 증가하였고, 여자는 1,220만 7천명으로 17만 6천명(1.5%) 증가하였음. ② 경제활동참가율 경제활동참가율은 63.5%로 전년동월과 동일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73.3%로 전년동월대비 0.6%p 하락하였으나, 여자는 53.9%로 0.4%p 상승하였음. 연령계층별로 보면 60세이상(1.2%p), 50대(0.5%p), 30대(0.3%p)에서 상승하였으나, 40대(-1.2%p), 20대(-0.5%p)에서 하락하였음. 2. 취업자 동향 ① 취업자 및 고용률 2019년 9월 취업자는 2,740만 4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4만 8천명(1.3%) 증가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1,553만 9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9만 5천명(0.6%) 증가하였고, 여자는 1,186만 5천명으로 25만 3천명(2.2%) 증가하였음. 15~64세 고용률(OECD비교기준)은 67.1%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75.7%로 전년동월대비 0.3%p 하락하였으나, 여자는 58.3%로 0.8%p 상승하였음. ② 연령계층별 취업자 및 고용률 연령계층별 취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60세이상에서 38만명, 50대에서 11만 9천명, 20대에서 6만 4천명 각각 증가하였으나, 40대에서 17만 9천명, 30대에서 1만 3천명 각각 감소하였음. 고용률은 60세이상, 30대, 50대, 20대에서 전년동월대비 상승하였으나, 40대에서는 하락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20대, 60세이상에서 상승하였고, 여자는 30대, 60세이상

2019년 8월 고용동향, 취업자 전년동월대비 45.2만명 증가, 실업률 1.0% 하락

이미지
▲ 고용률 관련 지표 1. 취업자 및 실업자 8월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45.2만명 증가 (2019.1~8월 평균 +24.9만명 증가) * 취업자 증감(전년비, 만명): (2018연간)9.7 (2019.1/4)17.7 (2/4)23.7 (6)28.1 (7)29.9 (8)45.2 * 2019.8월 취업자 증가폭(+45.2만명)은 2017.3월(+46.3만명) 이후 29개월만에 최대 증가폭이며, 8월 기준으로는 2014년(+67.0만명) 이후로 최고치 (제조업) 조선업․자동차 회복세 등에 힘입어 감소폭 둔화 * 제조업 취업자(전년비, 만명): (2019.1/4)△14.3 (2/4)△6.4 (6)△6.6 (7)△9.4 (8)△2.4 * 2019.1~8월 全세계 선박 수주(억불): (韓, 1위)113 (中, 2위)109 (日, 3위)30 * 자동차 수출(전년비, %): (2018연간)△1.9  (2019.1/4)4.7  (5월)13.6  (6월)8.1 (7월)21.6 (8월)4.6 (건설업) 취업자 증가세 지속되고 증가폭 소폭 확대 * 건설업 취업자(전년비, 만명): (2019.1/4)△0.7 (2/4)△0.1 (6)2.2 (7)1.2 (8)2.5 (서비스업) 취업자가 11개월 연속 증가, 증가폭도 확대 * 서비스업 취업자(전년비, 만명): (2019.1/4)24.0 (2/4)29.5 (6)31.1 (7)33.8 (8)39.9 외국인 관광객 증가 등에 힘입어 숙박음식업이 2개월 연속 10만명대 증가세를 보이고, 도소매업 감소폭도 축소 * 외국인 관광객(만명): (2019.3)153.6 (4)163.5 (5)148.6 (6)147.6 (7)144.8 (전년동월비 +19.3만)-중국인 관광객(만명): (2019.3)48.8 (4)49.3 (5)50.0 (6)47.5 (7)51.9 (전년동월비 +10.9만) * 숙박음식 취업자(전년비, 만명): (2019.1/4)△0.5 (2/4)5.6 (6)6.6 (7)10.1 (8)

2019년 7월 고용동향, 취업자(2,738만) 역대 최고, 실업자(110만) 1999년 이후 최고

이미지
▲ 고용률, 인구 및 취업자 증감, 경활 및 비경활인구 증감, 경제활동참가율  1. 취업자 및 실업자 7월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29.9만명 증가 (2019.1~7월 평균 +22.0만명 증가) * 취업자 증감(전년비,만명): (2018연간)9.7 (2019.1/4)17.7 (2/4)23.7 (5)25.9 (6)28.1 (7)29.9 (제조업) 주요품목 수출 부진 등으로 감소 지속 * 제조업 취업자(전년비,만명): (2019.1/4)△14.3 (2/4)△6.4 (5)△7.3 (6) △6.6 (7) △9.4 * 수출 증감율(전년비, %)   : (2019.1/4) △8.5 (2/4)△8.5 (5)△9.7 (6)△13.7 (7)△11.0 (건설업) 기상여건 악화 등으로 증가폭 축소 * 건설업 취업자(전년비,만명): (2019.1/4)△0.7 (2/4)△0.1 (5)0.6 (6)2.2 (7)1.2 * 7월 고용동향 조사주간 강수일수(주요도시 평균): (2018)0.0일 → (2019)4.0일 (서비스업) 취업자가 10개월 연속 증가하며, 증가폭도 확대 * 서비스업 취업자(전년비,만명):(2019.1/4)24.0 (2/4)29.5 (5)32.0 (6)31.1 (7)33.8 보건복지업 증가가 계속되는 가운데. 외국인 관광객 회복세 등에 힘입어 숙박음식업 증가세가 확대 * 보건복지 취업자(전년비, 만명): (2019.1/4)19.6 (2/4)12.6 (5)12.4 (6)12.5 (7)14.6 * 숙박음식 취업자(전년비, 만명): (2019.1/4)△0.5 (2/4)5.6 (5)6.0 (6)6.6 (7)10.1- 숙박음식업 취업자는 2016.12월 이후 처음으로 10만명 이상 증가 * 외국인 관광객(만명,): (2019.2)120.2 (3)153.6 (4)163.5 (5)148.6 (6)147.6 (전년동월비 +19.4만)-중국인 관광객(만명): (2019.2)45.3 (3)48.8 (4)49.3 (5)50.0 (6)47.

통계청, 2019년 1월 고용동향 발표

이미지
15~64세 고용률(OECD비교기준)은 20대에서 상승하였으나, 40대, 30대, 50대에서 하락하여 전년동월대비 0.3%p 하락 실업률은 30대에서 하락하였으나, 60세이상, 50대, 40대 등에서 상승하여 전년동월대비 0.8%p 상승 1. 취업자 산업별로는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17만 9천명, 9.8%), 농림어업(10만 7천명, 10.9%), 정보통신업(9만 4천명, 11.9%) 등에서 증가 제조업(-17만명, -3.7%),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및임대서비스업(-7만 6천명, -5.7%), 도매및소매업(-6만 7천명, -1.8%) 등에서 감소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가 27만 9천명, 일용근로자는 2만 5천명 각각 증가하였으나, 임시근로자는 21만 2천명 감소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4만 9천명, 무급가족종사자,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만 2천명 각각 감소 2. 실업자 30대에서 감소하였으나, 60세이상, 50대, 40대 등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20만 4천명 증가 3. 비경제활동인구 재학․수강 등(-15만 8천명, -4.0%), 가사(-6만 5천명, -1.0%)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쉬었음(13만 3천명, 6.6%), 연로(2만 2천명, 0.9%) 등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2만 3천명 증가 ※ 구직단념자는 60만 5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5만 2천명 증가 출처: 통계청

2018년 10월 고용 동향, 고용률 66.8%로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

이미지
15~64세 고용률(OECD비교기준)은 66.8%로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2.9%로 전년동월대비 1.1%p 상승. 실업률은 3.5%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8.4%로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 취업자는 2,709만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만 4천명 증가. 15~64세 고용률(OECD비교기준)은 20대, 30대에서 상승하였으나, 40대, 50대 등에서 하락하여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 실업률은 20대에서 하락하였으나, 40대, 50대, 30대 등에서 상승하여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 산업별로는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15만 9천명, 8.0%), 정보통신업(8만 1천명, 10.4%), 건설업(6만명, 3.0%) 등에서 증가. 도매및소매업(-10만명, -2.6%), 숙박및음식점업(-9만 7천명, -4.2%),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및임대서비스업(-8만 9천명, -6.5%) 등에서 감소.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가 35만명 증가하였으나, 임시근로자는 13만 8천명, 일용근로자는 1만 3천명 각각 감소.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0만 1천명, 무급가족종사자는 3만명,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4천명 각각 감소. 실업자는 20대에서 감소하였으나, 40대, 50대, 30대 등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7만 9천명 증가. 재학·수강 등(-19만 3천명, -4.7%), 육아(-7만 1천명, -5.7%)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가사(13만명, 2.3%), 쉬었음(9만명, 5.3%) 등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10만 5천명 증가. ※ 구직단념자는 52만 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만 7천명 증가. 출처: 통계청

2018년 6월 현재, 실업률 3.7%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

이미지
15~64세 고용률(OECD비교기준)은 67.0%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2.9%로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 실업률은 3.7%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9.0%로 전년동월대비 1.4%p 하락 취업자는 2,712만 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0만 6천명 증가 15~64세 고용률(OECD비교기준)은 30대, 50대에서 상승하였으나, 40대, 20대에서 하락하여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 실업률은 30대, 40대, 50대 등에서 상승하였으나, 20대에서 하락하여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 산업별로는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16만 2천명, 8.3%), 공공행정·국방및사회보장행정(9만 4천명, 8.8%), 금융및보험업(6만 6천명, 8.4%), 협회및단체·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4만 5천명, 3.7%) 등에서 증가 제조업(-12만 6천명, -2.7%), 교육서비스업(-10만 7천명, -5.5%),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및임대서비스업(-4만 6천명, -3.3%) 등에서 감소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가 증가하였으나,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는 감소 비임금근로자 중 자영업자는 감소하였으나, 무급가족종사자는 증가 실업자는 30대, 50대, 40대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20대에서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2만 6천명 감소 비경제활동인구는 육아(-7만 5천명, -6.0%), 재학․수강 등(-7만 4천명, -1.9%), 심신장애(-1만 1천명, -2.6%)에서 감소하였으나, 쉬었음(12만 9천명, 7.9%), 가사(9만 2천명, 1.6%) 등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15만 6천명 증가 ※ 구직단념자는 51만 1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만 6천명 증가 출처: 통계청

2016년 11월 고용동향

이미지
▣ 2016년 11월 고용률은 61.1%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 o 취업자는 26,59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39천명(1.3%) 증가 ▣ 실업률은 3.1%로 전년동월과 동일 o 실업자는 854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5천명(3.0%) 증가 o 청년층 실업률은 8.2%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 o 계절조정 실업률은 3.6%로 전월대비 0.1%p 하락 ▣ 경제활동참가율은 63.0%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 출처 : 통계청

2016년 2월 고용동향

이미지
2016년 2월 고용률은 58.7%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 취업자는 25,418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23천명(0.9%) 증가 실업률은 4.9%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 실업자는 1,317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14천명(9.5%) 증가 청년층 실업률은 12.5%로 전년동월대비 1.4%p 상승 계절조정 실업률은 4.1%로 전월대비 0.6%p 상승 경제활동참가율 61.8%로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 출처 :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