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수출입인 게시물 표시

2019년 수출입 실적 및 평가, 3년 연속 무역 1조달러

이미지
▲ 2019년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1. 2019년 수출입 동향  2019년 수출은 5,424.1억달러(△10.3%), 수입은 5,032.3억달러(△6.0%), 무역수지는 391.9억달러로 11년 연속 흑자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 3년 연속 무역 1조불 달성하여 흔들리지 않는 무역 강국의 입지 구축 ①美·中 무역 분쟁, 日 수출규제, 브렉시트, 홍콩사태 등 어려운 대외 여건과 ②반도체·석유화학·석유제품 업황 부진 가운데 달성한 성과 19개월 연속 수출 감소였던 2015, 2016년은 1조달러 달성에 미달했으나, 올해는 12개월 연속 감소에도 불구 무역 1조달러 돌파 2. 2019년 수출 주요 특징 1) 어려운 대외 여건에도 불구하고, 3년 연속 무역 1조달러 돌파 역대 무역 1조달러 달성국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10개국이며, 특히 3년 연속 1조달러를 달성한 국가는 9개국에 불과(이탈리아 제외) * ①중국, ②미국, ③독일, ④일본, ⑤네덜란드, ⑥프랑스, ⑦영국, ⑧홍콩, ⑨한국, ⑩이탈리아 올해 전체 무역액은 1조456억달러이며, 무역규모 순위는 2013년 이후 7년 연속 9위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 韓 무역 순위 : (2008)11위→(2009)10위→(2010~2011)9위→(2012)8위→(2013~2018)9위→(2019e)9위 또한, 무역수지 측면에서 3년 연속 무역 1조달러 달성국 중 제조업 기반의 무역 흑자국은 중국·독일·우리나라 3개 나라뿐이며, 최근 10년간 무역규모 증가 속도 측면에서도 무역 10대국 중 중국·홍콩·미국에 이어 4번째로 빠른 성장세를 나타냄 * 무역액 연평균 증가율(2009→2019e,%):①위(중국)7.3, ②위(홍콩)4.8, ③위(미국)4.7, ④위(한국)4.3,⑤위(네덜란드)3.5. ⑥위(독일)2.9, ⑦위(영국)2.7, ⑧위(일본)2.3, ⑨위(이태리)2.0 ⑩위(프랑스)1.5 2) 연간 수출 감소에도 불구 전체 수출 물량은 견조한 증가세 + 주요

2019년 11월 수출입 동향, 전년 전월 대비 수출 14.3% 감소, 수입 13.0% 감소

이미지
▲ 2019년 11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1. 11월 수출입 동향 개요 (실적) 11월 전체 수출은 △14.3% 감소한 441.0억달러, 수입은 △13.0% 감소한 407.3억달러, 무역수지는 33.7억달러로 94개월 연속 흑자 * 수출 증감률(%) : (2019.1)△6.2→(2)△11.3→(3)△8.4→(4)△2.1→(5)△9.8→(6)△13.8→(7)△11.1→(8)△14.0→(9)△11.7→(10)△14.8→(11)△14.3 (부진 요인) ①미중 분쟁·세계 경기 둔화 등 대외 불확실성 지속과 함께 ②반도체·석유화학·석유제품 단가 회복 지연, ③대형 해양플랜트 인도 취소(7.2억달러), ④조업일수 감소(△0.5일) 등 영향으로 11월 수출 감소 * 반도체(△30.8), 석유화학(△19.0), 석유제품(△11.9), 선박(△62.1) 제외시 △5.1% 다만, 일본 수출 규제가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까지는 제한적으로 보임 < 주요 특징 > 1) 10월 수출을 저점으로 감소세는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이며,  내년 1분기에는 플러스로 전환될 전망 ①반도체·선박·車·석유제품 등 수급 개선, ②미중 무역분쟁에 대한 완화 가능성, ③기술적 반등효과로 내년 1분기 수출은 플러스 전환 전망 2) 11월 반도체·석유화학·석유제품·자동차 수출은 감소하였으나, 물량은 모두 증가 → 총 20개 품목 중 14개 증가(올해 가장 많은 품목 물량 증가) * 11월 주요 품목 물량 증감률(%) : 반도체(22.2), 석유화학(1.8), 석유제품(2.3), 자동차(0.9),가전(2.5), 철강(5.9), 바이오헬스(50.9), 로봇(19.1), 화장품(6.1), 농수산식품(1.2) 등 1∼11월 누적 수출 물량이 0.3% 증가하여 물량은 견조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20개 품목 중 13개 증가 3) 우리의 최대 수출국(비중:27.0%)인 對중국 수출 감소율은 지난 4월(△4.6%) 이후 최저 감

2019년 10월 수출입 동향, 수출 14.7% 감소, 수입 14.6% 감소

이미지
▲ 2019년 10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1. 10월 수출입 동향 개요 (실적) 10월 전체 수출은 △14.7% 감소한 467.8억달러, 수입은 △14.6% 감소한 413.9억달러, 무역수지는 53.9억달러로 93개월 연속 흑자 (부진 요인) 미중 분쟁 등 대외 불확실성 지속, 반도체 업황 부진 및 유가 하락 등 글로벌 경기 둔화, 작년 10월 수출의 기저효과 등으로 10월 수출 감소 다만, 일본 수출 규제가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까지는 제한적으로 보임 주요 특징 1) 10월 수출은 2018.10월 기저효과 영향으로 감소하였으나, 수출액 467.8억달러는 올해 3번째로 높은 수준 * 2018.10월 수출액은 548.6억달러로 ‘56년 무역통계 작성 이래 역대 수출 실적 2위이며, 기계(49.9억달러)·석유화학(44.6억달러) 역대 최대 수출, 반도체(115.8억달러)수출 역대 2위 11월부터 감소폭이 점차 개선되는 흐름을 보일것으로 예상 ①반도체 가격 회복, ②미중 무역분쟁의 1단계 협상 타결 가능성, ③선박·車·석유品 등 수출 증가로 내년 1분기 수출은 플러스 전환 전망 * 10.15일 추가관세 부과 연기는 ‘20.1Q, 2Q 실질 GDP 성장률의 0.1~0.2%p 상승 기대(UBS) ** 선박(내년 1분기 인도선 증가), 車(친환경차·SUV 신차출시), 석유品(IMO 2020 발효) 2) 세계 경기를 이끌고 있는 미국·중국·독일의 경기 부진에 따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10대 수출국도 동반 감소 추세 무역 긴장 고조, 세계 경제 둔화, 노딜 브렉시트 관련 불확실성 등 영향으로 8월 수출은 주요 10개국 모두 마이너스 * 제조업 PMI 지수(9월) : (독일)41.7, (일본)48.9, (이탈리아)47.8, (영국)48.3, (홍콩)41.5 다만, 우리 수출 감소폭이 더 큰 이유는 對中 수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크고, 반도체 등 특정 품목 의존도가 높은데 기인 * 201

2019년 9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158.1억불, 전년 동월 대비 22.0% 감소

이미지
▲ ICT 산업 및 전체 산업 수출입 동향 1. 총괄 및 특징 2019년 9월 정보통신기술(이하 ‘ICT’) 수출액은 158.1억불, 수입액은 87.7억불, 수지는 70.4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 ICT 수출은 휴대폰 부분품 수출 확대로 휴대폰(2.8%↑)은 증가하였지만, 반도체·디스플레이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22.0% 감소 ※ ICT 수출 증감률 추이(전년 동월대비, %) : (2019.4월) △10.8→(5월) △22.7→(6월) △22.5→(7월) △21.8→(8월) △24.5→(9월) △22.0 주요 품목별로는 반도체(85.8억불, △31.5%)의 경우, 시스템 반도체(24.4억불, 6.6%↑)는 파운드리 수출 호조세로 역대 최고 수출액을 기록하였지만, 메모리반도체 단가 하락과 수요 둔화 등으로 감소 지속 * D램 현물가격(4Gb, $):(2019.5월)2.10 → (6월)1.82 → (7월)1.91 → (8월)2.00 → (9월)1.91 디스플레이(20.5억불, △20.0%)는 OLED 패널은 증가하였지만, 중국발 공급과잉에 따른 LCD 패널 생산량 조정으로감소세 지속 2차 전지(6.1억불, 7.2%↑), TV(2.1억불, 79.3%↑, 부분품 포함), 컴퓨터(1.5억불, 39.3%↑, 주변기기 제외) 등은 증가세 지속 중소기업 ICT 수출(14.6억불, 1.4%↑)은 반도체(2.4억불, 17.7%↑), 휴대폰(0.7억불, 1.7%↑)은 증가, 컴퓨터 및 주변기기(1.2억불, △32.9%) 등은 감소 지역별로는 ICT 최대 수출국인 중국(홍콩포함, 77.8억불, △33.1%)을 비롯하여, 미국(14.9억불, △13.5%), EU(9.3억불, △7.1%)는 감소, 베트남(26.4억불, 7.1%↑)은 증가 ICT수지는 70.4억불로 흑자 기조 지속 2. 수출 현황 ① 품목별 실적 및 특징 (반도체 : 85.8억불, △31.5%) 시스템반도체는 파운드리 수출 호조세로 최고 수출액을 기록하였으나,

2019년 10월 최근 경제동향

이미지
▲ 최근 경제동향 표지 최근 경제동향 2019년 10월호입니다. *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경제동향"은 정부간행물 판매센터(서울 중구 태평125 ☏ 02)394-0337)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장기간 정기구독도 가능하오니 많이 애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경제동향 관련 문의 연락처 고용관련 문의(044-215-2812) 물가관련 문의(044-215-2771~4) 재정관련 문의(044-215-5741~7) 부동산관련 문의(044-215-2851~3) 금융외환시장관련 문의(044-215-2831~4) 한국 GDP(044-215-2713) 소비, 투자, 세계경제 등(044-215-2731~6) 자세한 내뇽은 링크를 참조바랍니다.  첨부파일 출처:  기획재정부

2019년 8월 수출입 동향, 수출 13.6% 감소, 수입 4.2% 감소

이미지
▲ 2019년 8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1. 2019년 8월 수출입 동향 개요 8월 수출은 △13.6% 감소한 442.0억달러, 수입은 △4.2% 감소한 424.8억달러, 무역수지는 17.2억달러로 91개월 연속 흑자 ① 미중 무역분쟁 심화·일본 수출 규제 등 대외 여건 악화, ②기저효과(2018.8월(511.8억달러) : 반도체 역대 3위, 석유화학 역대 2위 수출), ③조업일 감소(△0.5일) 등 영향으로 8월 수출 감소 * 반도체 제외시 △8.7%, 반도체(△30.7%)·석화(△19.2%)·석유品(△14.1%) 제외시 △6.5% 다만, 일본 수출 규제가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까지는 제한적으로 보임 ①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일본 수출규제 등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 확대에도 불구, 올해 최대 감소를 보였던 6월 수출(△13.8%)보다 다소 개선 * 증감률:(‘19.1)△6.2→(2)△11.3→(3)△8.4→(4)△2.1→(5)△9.8→(6)△13.8→(7)△11.0→(8)△13.6 미중 무역분쟁 심화로 세계 경기 둔화, 세계 교역 위축, 제조업 경기 부진의 악순환 → 수출 상위 10개국 모두 수출 감소(6월 기준) - IMF는 2019년 세계 경제성장률 및 교역증가율을 당초 전망보다 큰 폭으로 하향 조정 * 2019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IMF, %) : (2018.4)4.7→(10)4.0→(2019.4)3.4→(7)2.5 * 2019년 세계 교역증가율 전망(IMF, %) : (2018.4)3.9→(10)3.7→(2019.4)3.3→(7)3.2 - 美·中·獨 등 상위 수출국 모두 제조업경기지수(PMI)가 50 이하를 기록하였으며, 특히 미국은 2009.9월 이후 최초 50 이하 * 주요국 PMI지수(2019.8) : EU(47.0), 獨(43.6), 美(49.9), 中(49.5), 日(49.5) ② 8월 수출 물량이 전월에 2개월 연속 증가(+0.1%)하였으며, 1∼8월 누적 수출 물

2019년 7월 수출입 동향, 수출 11.0% 감소, 수입 2.7% 감소

이미지
▲ 2019년 7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1. 2019년 7월 수출입 동향 개요 (실적) 7월 수출은 △11.0% 감소한 461.4억달러, 수입은 △2.7% 감소한 437.0억달러, 무역수지는 24.4억달러로 90개월 연속 흑자 (부진 요인) ➀미중 무역분쟁 장기화 및 일본 수출 규제 등 대외 여건 악화, ②반도체 업황부진 및 단가 하락, ③국제유가 회복 지연에 따른 석유화학·석유제품 부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 다만, 일본 수출 규제가 7월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으로 보임 ①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일본 수출규제 등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올해 최대 감소를 보였던 6월 수출(△13.7%)보다 개선 * 수출 증감률 : (2019.1)△6.2→(2)△11.3→(3)△8.4→(4)△2.1→(5)△9.7→(6)△13.7→(7)△11.0 ② 7월 수출 물량이 지난달 감소에서 증가(+2.9%)로 전환, 누적 수출 물량도 증가(+0.8%)하는 등 전체 물량 증가세 기조 유지 * 물량 증감률 : (2019.1)8.0→(2)△3.4→(3)△0.9→(4)2.2→(5)0.6→(6)△5.1→(7)2.9→(1~7)0.8 반도체·석유화학·석유제품도 수출 감소에도 불구 물량은 증가 * 주요 품목 단가 증감률(%) : 반도체(△37.7), 석유화학(△20.4), 석유제품(△12.8) 주요 품목 물량 증감률(%) : 반도체(+14.9), 석유화학(+11.9), 석유제품(+8.9) 20대 품목 중 자동차·반도체·이차전지 등 12개(60%) 수출 물량 증가 ③ 단가 하락으로 반도체(△28.1%)·석유화학(△12.4%)·석유제품(△10.5%)의 수출은 부진하였으나, * 주요 품목 단가 증감률(%) : 반도체(△37.7), 석유화학(△20.4), 석유제품(△12.8) 자동차(21.6%)·차부품(1.9%)·가전(2.2%) 등 주력품목과 바이오헬스(10.1%)·화장품(0.5%)·농수산식품(8.7%) 등 新수출동력품

2019년 6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148.3억불, 전년 동월 대비 22.4% 감소

이미지
▲ 연도별 6월 ICT 수출액(억불) 1. 총괄 및 특징 2019.6월 정보통신기술(이하 ’ICT‘) 수출액은 148.3억불, 수입액은 85.5억불, 수지는 62.8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  ICT 수출은 반도체·디스플레이·휴대폰 등 3大 주력품목 부진으로 전년 동월 대비 22.4% 감소 ※ ICT 수출 증감률 추이(전년 동월대비, %) : (2019.1월) △18.4→(2월) △19.2→(3월) △16.4→(4월) △10.8→(5월) △22.6→(6월) △22.4  주요 품목별로는 반도체(84.1억불, △25.3%)가 메모리반도체의 단가하락과 시스템반도체(20.0억불, △4.8%) 수요 둔화 등으로 감소세 지속 * D램 현물가격(4Gb, $):(2019.2월) 2.89 → (3월) 2.56 → (4월) 2.25 → (5월) 2.10 → (6월) 1.82 디스플레이(15.9억불, △26.6%)는 LCD 패널 경쟁 심화 및 OLED 패널 물량 축소 등으로 감소세 지속 2차전지(5.8억불, 0.8%↑), 컴퓨터(1.5억불, 31.4%↑, 주변기기 제외) 등은 상대적으로 증가세 지속 중소기업 ICT 수출은 반도체(2.5억불, 11.7%↑)는 증가하였지만, 휴대폰(0.6억불, △18.4%), 컴퓨터 및 주변기기(1.1억불, △18.4%) 등 부진으로 감소 전환 지역별로는 ICT 최대 수출국인 중국(홍콩포함, 74.1억불, △31.8%), 미국(15.4억불, △19.0%), EU(9.1억불, △12.0%)는 감소, 베트남(20.2억불, 7.7%↑)은 증가 ICT수지는 62.8억불로 흑자 기조 지속 2. 수출 현황 ① 품목별 실적 및 특징 (반도체 : 84.1억불, △25.3%) 반도체 수요(서버 및 모바일 등) 감소 및 단가 하락 등으로 감소세 지속 ※ 수출 증감률(%) : (2019.2월)△24.9→(3월)△16.9→(4월)△13.5→(5월)△30.0→(6월)△25.3 * D램 현물가격(4Gb, $):(2

2019년 5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143.1억불 전년 동월 대비 22.6% 감소

이미지
▲ 연도별 5월 ICT 수출액(억불) 2019.5월 정보통신기술(이하 ‘ICT’) 수출액은 143.1억불, 수입액은 96.8억불, 수지는 46.3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 ICT 수출은 반도체·디스플레이·휴대폰 등 3大 주력품목 부진으로 전년 동월 대비 22.6% 감소되어 7개월 연속 감소세 ※ ICT 수출 증감률 추이(전년 동월대비, %) : (2018.12월) △10.1→(2019.1월) △18.4→(2월) △19.2→(3월) △16.4→(4월) △10.7→(5월) △22.6 주요 품목별로는 반도체(76.6억불, △30.0%)가 메모리반도체의 단가하락*과 시스템반도체(18.4억불, △13.1%) 수요 둔화 등으로 감소세 지속 * D램 현물가격(4Gb, $):(2019.1월) 3.02 → (2월) 2.89 → (3월) 2.56 → (4월) 2.25 → (5월) 2.10 디스플레이(16.3억불, △21.5%)는 LCD 패널 경쟁 심화 등으로 감소세 지속 OLED 패널(6.2억불, 3.7%↑), 2차전지(6.2억불, 5.2%↑), 컴퓨터(1.7억불, 78.8%↑, 주변기기 제외) 등은 상대적으로 호조세 지속 중소기업 ICT 수출은 반도체(3.0억불, 28.8%↑), 2차전지 등 전기장비(2.0억불, 26.2%↑)의 수출 호조세로 2개월 연속 증가세 지역별로는 ICT 최대 수출국인 중국(홍콩포함, 71.2억불, △31.5%), 미국(14.8억불, △15.5%), EU(8.5억불, △16.0%)는 감소, 베트남(19.1억불, 1.6%↑)은 증가 ICT수지는 46.3억불로 흑자 기조 지속 1. 수출 현황 ① 품목별 실적 및 특징 (반도체 : 76.6억불, △30.0%) 반도체 수요(서버 및 모바일 등) 감소 및 단가 하락* 등으로 6개월 연속 감소세 ※ 수출 증감률(%) : (2019.1월)△23.5→(2월)△24.9→(3월)△16.9→(4월)△13.5→(5월)△30.0 * D램 현물가격(4Gb, $):(2019

2019년 5월 수출 459.1억 달러 9.4% 감소, 수입 436.4억 달러1.9% 감소

이미지
▲ 2019년 5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5월 수출 459.1억달러(△9.4%), 수입 436.4억달러(△1.9%) 1. 5월 수출입 동향 개요 (실적) 5월 수출은 △9.4% 감소한 459.1억 달러, 수입은 △1.9% 감소한 436.4억 달러, 무역수지는 22.7억 달러로 88개월 연속 흑자 (감소 요인) ① 美·中 무역분쟁 심화, ② 반도체 업황 부진(△30.5%), ③ 중국 경기 둔화에 따른 수출 하락세(△20.1%)가 5월 수출 감소의 主요인 2월부터 수출 감소세가 둔화되었으나, 美·中 무역분쟁 심화 등으로 최근 수출 개선 추세에 부정적 영향 2. 주요 특징 5월 물량은 4월에 이어 증가세 ⇒ 수출 부진은 단가 하락이 主요인 ① 美·中 무역분쟁 심화, ② 반도체 업황 부진(△30.5%), ③ 중국 경기 둔화에 따른 수출 하락세(△20.1%)가 5월 수출 감소의 핵심 요인 자동차·선박 등 주력 품목이 두 자릿수 증가율로 선전하였으며, 新수출성장동력 품목 호조도 유지 중 반도체·석유화학 등 감소에도 불구하고, 자동차(+13.6%, 두 자릿수 증가 + 2개월 연속 증가)·선박(+44.5%, 3개월 연속)·일반기계(+5.0%, 2개월 연속)등 주력품목 선전과 이차전지(+5.2%, 32개월 연속)·전기차(+58.0%, 28개월 연속)·OLED(+3.7%, 2개월 연속) 등 新수출동력 품목의 호조세는 지속 중 9개 주요 지역 중 미국·CIS 등 4개 지역 증가 중국(△20.1%), EU(△12.6%)는 감소하였으나, 미국(6.0%, 8개월 연속 증가)·CIS(38.8%, 11개월 연속 증가)·인도(3.6%, 9개월 연속 증가), 일본(2.1%, 수출 증가로 전환) 수출 증가 3. 5월 수출 주요 감소 요인 < 품목별 분석 > ① (반도체:△30.5%) ①단가 하락세 지속, ②글로벌 IT기업 데이터센터 재고조정 지속, ③스마트폰 수요 정체, ⑤기저효과(2018.5월, +44.4%)

2019년 4월 수출 488.6억달러 2.0% 감소, 수입 447.4억달러 2.4% 증가

이미지
▲ 2019년 4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실적) 4월 수출은 △2.0% 감소한 488.6억 달러, 수입은 2.4% 증가한 447.4억 달러, 무역수지는 41.2억 달러로 87개월 연속 흑자 (감소 요인) 4월 전체 수출 물량 증가(+2.5%)에도 불구하고, 반도체·석유화학 수출단가 하락, 중국 경기 둔화 등 경기적 요인이 지속되고 있어 4월 수출이 감소세를 기록 ①美·中 무역분쟁 지속, 全 세계 교역 부진 등 대외 리스크가 지속되고 있는 것도 수출 부진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 3월에 이어 수출 감소율이 한 자릿수(△2.0%)로 유지되었으며, 2개월 연속하여 수출 감소폭이 둔화 전체 수출 규모도 올해 2월부터 다소 증가 4월 전체 수출 물량은 +2.5% 증가로 반등한 반면, 최근 수출 단가는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 자동차·석유제품 등 20대 주요 품목 중 13개(65%) 수출 물량 증가 반도체 제외 시 4월 수출 증가 4월 수출은 반도체(△13.5%)를 제외할 경우 +0.8% 증가, 중국 제외 시는 △1.1% 감소 ⇒ 반도체와 중국 수출 부진이 4월 수출 감소의 주요 요인 20대 주요 품목 중 9개 증가 자동차(+5.8%)·선박(+53.6%)·일반기계(+0.3%)등 주력품목의 선전과 이차전지(+13.4%)·바이오헬스(+23.3%) 등 新수출동력의 호조세는 지속 美·中을 제외한 세계 수출 10대국 수출도 부진 지속 2월까지 美·中을 제외한 세계 수출 10대국도 감소 추세에 있으며, 3월의 경우 일본(△7.0%)·싱가포르(△5.8%)·대만(△4.4%) 등 하락 상저하고(上底下高) 흐름 속에 반도체 수요 회복, 자동차·선박 등 호조세 유지 및 수출대책 효과 등이 예상되는 하반기에 수출 개선 전망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2019년 3월 수출 471.1억 달러 8.2% 감소, 수입 418.9억 달러 6.7% 감소

이미지
▲ 2019년 3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실적) 3월 수출은 △8.2% 감소한 471.1억 달러, 수입은 △6.7% 감소한 418.9억 달러, 무역수지는 52.2억 달러로 86개월 연속 흑자 (감소 요인) 미·중 무역분쟁, 글로벌 경기 둔화,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대외 위험과 반도체 단가 하락 등 경기적 요인이 복합 작용 또한, 조업일수 감소(△1.0일)와 전년도 기저효과 등이 크게 영향 * 2018.3월 수출 : 513.1억 달러(+5.5%)로 역대 3월 중 최대치 기록 역대 3월 일평균(억 달러) : (1위)21.8(2018.3), (2위)21.3(2014.3), (3위)21.0(2013.3), (4위)20.9(2019.3) 반도체를 제외한 3월 수출은 5.9% 감소하여 2월(△8.0%)보다 감소율이 개선되었으며, 반도체 제외 일평균 수출 감소율도 전월보다 둔화 중국을 제외한 3월 수출은 5.5% 감소하여 2월(△9.4%)보다 감소율이 개선되었으며, 중국 제외 일평균 수출 감소율도 전월보다 둔화 세계 수출 상위국도 감소 추세이며, 중국은 2월 △20.7% 큰 폭 감소, 러시아·싱가포르·대만·인도네시아 등도 연속 하락 수출 감소율이 한 자릿수로 둔화되었으며, 4월에도 개선될 전망 * 월별 수출 증감률 : (2018.11)3.6→(12)△1.7→(2019.1)△6.2→(2019.2)△11.4→(2019.3)△8.2 조업일수 영향을 배제한 3월 일평균 수출은 총수출 감소율의 절반 수준이며, 1월부터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 * 3월 전체 수출 비교(억 달러) : (2018.3)513.1 → (2019.3)471.1(△8.2) * 일평균 수출 비교(억 달러) : (2018.3)21.8→(2019.1)19.2→(2)20.8→(3)20.9(△4.1) 3월 수출 물량은 소폭 감소(△0.9%)하였으나, 1분기 수출 물량은 전년대비 1.5% 증가하여 2분기 연속 상승 * 월별 수출 물량 증감률(%) : (2

2019년 2월 수출 395.6억달러, 수입 364.7억달러

이미지
▲ 연간 수출입액 및 수출입 증감률 추이 1. 2월 수출입 동향 개요 (금액) 2월 수출 395.6억달러(△11.1%), 수입 364.7억달러(△12.6%) 2월 수출 감소 불구, 무역수지는 31.0억 달러로 85개월 연속 흑자 ① 반도체 시장은 상저하고 흐름속에 하반기부터 안정화 전망 반도체 메모리 단가 하락 및 수요부진의 지속에 따라 반도체 수출은 연속 감소 ⇒ 상저하고(上低下高) 흐름속에서 하반기에 안정화 전망 * D램價(8Gb,$):(2018.2)9.3→(2019.2)5.9(△36.8%) * 낸드價(128Gb,$):(2018.2)6.7→(2019.2)5.0(△25.2%) * 2019년 공급초과율 전망(1Q→3Q)(가트너, 2019.1) : (D램)1.8%→△2.5%, (낸드)2.1%→△1.0% ② 자동차 등 주력 품목 및 新수출성장동력품목 호조세 지속 자동차(+2.7%)·일반기계(+2.7%)·철강(+1.3%) 등 주력 품목 호조세 유지 + 新수출성장동력인 바이오헬스(+24.5%), 이차전지(+10.7%), OLED(+7.9%), 전기차(+92.4%), 농수산식품(+2.9%) 등 新수출성장동력 견조한 성장세 * 13대 주력 vs 非13대 비중 : (2018.2)78.4%vs21.6%→(2019.2월)75.6%vs24.4% ③ 금년 1월 대비 2월 일평균 수출은 증가 1월보다 2월 수출 감소율이 확대(△5.9%→△11.1%)되었으나, 조업일 영향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7.9% 상승하였는바, 이를 통해 볼 때 연초 급속한 수출악화로 보기 곤란 * 일평균 수출 : (2019.1월)19.3억 달러 → (2019.2월)20.8억 달러(+7.9%) ④ 전년 2월 기저효과로 금년 2월 수출 감소폭 확대 금년 2월 일평균 수출액은 역대 2월 중 3위에도 불구하고, 전년 2월 일평균 수출액(22.8억 달러, +16.4%)이 역대 2월중 최대 실적 기록⇒ 기저효과 영향으로 일평균 수출 감소 * 역대 2월 일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