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수입현황인 게시물 표시

2024 대한민국 드론 박람회, 5월 9일부터 11일까지 송도컨벤시아 개최

이미지
2024년 5월 9일부터 11일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2024 대한민국 드론 박람회'가 개최됩니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국내·외 최첨단 드론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드론 관련 정부 정책 및 사업, 드론 교육 및 자격 관리, K-드론 배송상용화 사업 등을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드론 산업에 관심 있는 분들의 참여를 적극 권장합니다! 드론 기술, 미래를 날다! 최근 드론 기술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드론은 물류, 의료, 농업, 건설, 안전, 여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율성을 높이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는 K-드론 배송상용화 사업을 추진하며 드론 산업 선도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드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국내 드론 산업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2024 대한민국 드론 박람회'가 개최되어 국내·외 최첨단 드론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최고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 2024 대한민국 드론 박람회 개요 주요 정보 주제: 드론으로 실현하는 세상, Drones Come True! 기간: 2024년 5월 9일 (목) ~ 11일 (토) 장소: 인천 송도컨벤시아 주최: 국토교통부, 인천광역시, 한국교통안전공단(TS) 등 주요 내용 국내·외 최첨단 드론 기술 전시 드론 관련 정부 정책 및 사업 소개 드론 교육 및 자격 관리 홍보 K-드론 배송상용화 사업 소개 드론 관련 학술 컨퍼런스 및 세미나 개최 주요 행사 및 전시 내용 TS 홍보관: 드론 기체신고, 드론조종자자격, 드론 사용사업 관리 등 TS 주요 사업 소개, 드론정보통합시스템, 전문인력 양성, 국가 R&D, 드론 보험협의체 등 소개 드론인프라관: TS 화성·김천 드론 자격센터, 시흥 드론교육센터 소개, 국민 대상 드론교육 및 드론자격관리 업무 소개 K-드론배송특별관: K-드론 배송상용화 사업 개요 및 주요 내용 소개, TS 드론상황관리센터 및 드론 배

2020년 3월1~10일 수출입 현황

이미지
1. 총 괄 (3.1.~3.10.) 수출 133억 달러, 수입 133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1.9%(24.0억 달러↑) 증가, 수입 14.2%(16.6억 달러↑) 증가 조업일수[(2019)6일,(2020)7.5일]기준 일평균수출액[(2019.3.)18.2,(2020.3.)17.8억 달러]은 2.5% 감소 2.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22.0%), 석유제품(30.6%), 승용차(11.8%), 무선통신기기(17.3%) 등은 증가, 선박(△63.2%), 액정디바이스(△12.9%) 등은 감소 (주요국가) 중국(14.8%), 미국(45.4%), 베트남(27.2%), 일본(22.7%), 중동(51.0%) 등은 증가, EU(△0.4%)는 감소 3.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25.9%), 기계류(3.7%), 석유제품(85.3%) 등은 증가, 원유(△8.6%), 석탄(△16.9%), 승용차(△0.1%) 등은 감소 (주요국가) 중국(12.1%), 미국(4.5%), EU(24.1%), 일본(14.8%), 베트남(36.7%) 등은 증가, 호주(△4.7%), 캐나다(△17.1%)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1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0년 2월 수출입 현황

이미지
2020년 2월 수출 413억 달러, 수입 371억 달러, 무역수지 41억 달러 흑자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4.5%(17.8억 달러↑) 증가, 수입 1.4%(5.0억 달러↑) 증가 (무역수지 97개월 연속 흑자) ※조업일수[(2019)19일,(2020)22.5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19.2.)20.8,(2020.2.)18.3억 달러]] 11.7% 감소 출처:  관세청

2020년 2월 1 ~ 20일 수출입 현황

이미지
2020년 2월 1 ~ 20일 수출 263억 달러, 수입 256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12.4%(29.1억 달러↑) 증가, 수입 4.7%(11.6억 달러↑) 증가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15.4%), 자동차 부품(40.6%), 무선통신기기(8.2%) 등은 증가, 석유제품(△4.1%), 승용차(△0.1%), 선박(△29.0%) 등은 감소 (주요국가) 미국(24.2%), 베트남(19.8%), EU(12.8%), 일본(7.1%) 등은 증가, 중국(△3.7%), 싱가포르(△26.7%) 등은 감소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가스(5.0%), 석유제품(52.1%), 승용차(56.9%) 등은 증가, 원유(△1.9%), 기계류(△4.5%), 석탄(△32.7%) 등은 감소 (주요국가) 미국(38.6%), EU(19.8%), 일본(2.6%), 베트남(8.2%) 등은 증가, 중동(△6.5%), 중국(△18.9%), 호주(△10.5%) 등은 감소 출처:  관세청

2020년 1월 월간 수출입 현황(확정치)

이미지
▲ 2020년 1월 월간 수출입 현황 확정치 2020년 1월 월간 수출입 집계 결과,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6.3% 감소한 433억 달러, 수입은 5.4% 감소한 427억 달러로, 무역흑자 5억 달러를 기록하여 2012.2월 이후 96개월 연속 흑자 달성 1. 수 출 (품목별) 주요 수출품목 중에 선박(61.1%)은 증가, 반도체(△3.8%)․석유제품(△3.8%)․승용차(△22.1%)․무선통신기기(△13.6%)․가전제품(△26.9%)․액정디바이스(△45.3%)는 감소 * 말레이시아(16.1억 달러), 라이베리아(5.7억 달러)에 대형 해양플랜트(FPSO), LNG 선박 등 수출 증가 (국가별)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베트남(1.5%)은 증가, 중국(△10.7%), 미국(△7.2%), EU(△16.2%), 일본(△6.7%), 중동(△9.6%) 등은 감소 2. 수 입 (품목별) 주요 수입품목 중에 원유(12.1%)․정밀기기(1.3%)․조제식품(1.2%)은 증가, 가스(△7.2%)․기계류(△14.3%)․의류(△8.1%)는 감소 (소비재 : 8.9% 감소) 조제식품(1.2%)․시계(6.5%) 등은 증가, 의류(△8.1%)․가전제품(△23.3%)․승용차(△23.6%) 등은 감소 (원자재 : 3.5% 감소) 원유(12.1%)․석유제품(59.3%) 등은 증가, 가스(△7.2%)․석탄(△34.0%)․알루미늄(△15.6%) 등은 감소 (자본재 : 6.6% 감소) 정밀기기(1.3%)․컴퓨터 주변기기(5.5%) 등은 증가, 기계류(△14.3%)․메모리 반도체(△13.9%) 등은 감소 (국가별) 주요 수입대상국 미국(5.4%), 대만(4.0%) 등 증가, 중국(△9.6%), 중동(△0.8%), EU(△11.0%), 일본(△21.8%) 등 감소 3. 수출입 특이사항 1월 수출은 조업일수 감소(△2.5일)로 6.3% 감소하였으나, 일평균 수출은 2018년 11월 이후 14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 수출중량(순중량)은 석유제품, 승용차를

2020년 2월 1일∼10일 수출입 현황

이미지
1. 총 괄 (2.1.~2.10.) 수출 107억 달러, 수입 12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69.4%(43.8억 달러↑) 증가, 수입 24.0%(23.2억 달러↑) 증가 조업일수[(2019.2)4일,(’20.2)7일]를 기준으로 한 일평균수출액[(2019.2.)15.8,(’20.2.)15.3억 달러]은 3.2% 감소 2.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37.8%), 석유제품(26.2%), 승용차(114.5%), 무선통신기기(34.8%), 선박(138.6%) 등은 증가, 액정디바이스(△39.5%)는 감소 (주요국가) 중국(36.0%), 미국(68.1%), 베트남(59.8%), EU(170.4%), 일본(28.9%), 홍콩(130.1%), 중동(63.0%) 등 주요 국가 대부분 증가 3.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기계류(48.7%), 정보통신기기(22.3%), 승용차(108.4%) 등은 증가, 원유(△13.3%), 가스(△1.8%), 석탄(△23.9%) 등은 감소 (주요국가) 미국(82.8%), EU(86.8%), 일본(42.9%), 베트남(37.5%) 등은 증가, 중동(△14.4%), 중국(△7.5%), 호주(△2.7%)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1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20년 1월 수·출입 현황(잠정치)

이미지
2020년 1월 설날명절 조업일수 감소(-2.5일)로 수출은 433억 달러, 수입은 427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수출은 △6.1%(조업일수 고려한 일평균수출액은 4.8% 증가), 수입은 △5.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무역수지 96개월 연속 흑자). * 조업일수(2019)24일,(2020)21.5일로 2.5일 감소 * 일평균수출액[(2019.1.)19.2,(2020.1.)20.2억달러] 출처:  관세청

2020년 1월(1일∼20일) 수출입실적(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1. 총 괄 (1.1.~1.20.) 수출 257억 달러, 수입 28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0.2%(0.4억 달러↓) 감소, 수입 3.0%(8.3억 달러↑) 증가 2.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8.7%), 석유제품(19.3%) 등은 증가, 승용차(△6.8%), 무선통신기기(△6.2%), 선박(△42.1%) 등은 감소 (주요국가) 베트남(6.7%), 일본(5.6%), 홍콩(9.9%), 중동(35.0%) 등은 증가, 중국(△4.7%), 미국(△4.9%), EU(△4.3%), 싱가포르(△15.8%) 등은 감소 3.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원유(14.7%), 석유제품(49.0%), 기계류(1.0%) 등은 증가, 가스(△2.7%), 석탄(△34.7%), 승용차(△19.7%) 등은 감소 (주요국가) 중국(6.1%), 중동(1.7%), 미국(16.9%) 베트남(7.7%) 등은 증가, EU(△2.7%), 일본(△15.2%), 호주(△2.4%)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1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19년 12월 수출입현황, 전년동기대비 수출 5.2% 감소, 수입 0.7% 각각 감소

이미지
1. 2019년 연간 수출입 실적 수출 전년대비 △10.3% 감소한 5,424억 달러, 수입 △6.0% 감소한 5,032억 달러, 무역수지 392억 달러 흑자 ▲ 최근 7년 수출입 현황 2. 2019년 12월 수출입 실적 (2019.12월) 수출 457억 달러, 수입 437억 달러, 무역수지 20억 달러 흑자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5.2%(24.9억 달러↓) 감소, 수입 △0.7%(3.3억 달러↓) 감소 (무역수지 95개월 연속 흑자) 전월대비로는 수출 3.8%(16.6억 달러↑) 증가, 수입 7.3%(29.8억 달러↑) 증가 ▲ 2019년 12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출처:  관세청

2019년 12월1일~20일 수출입현황, 전월대비 수출 8.1% 증가, 수입 9.1% 증가

이미지
▲ 2019년 12월(1일∼20일) 수출입실적(통관기준 잠정치) 1. 총 괄 2019년 12월1일~12월20일 수출 304억 달러, 수입 30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0%(6.2억 달러↓) 감소, 수입 △0.5%(1.4억 달러↓) 감소 전월대비로는 수출 8.1%(22.8억 달러↑) 증가, 수입 9.1%(25.0억 달러↑) 증가 2.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승용차(2.7%), 무선통신기기(3.0%) 등은 증가, 반도체(△16.7%), 석유제품(△0.4%), 선박(△51.2%), 가전제품(△1.0%) 등은 감소 (주요국가) 중국(5.3%), 일본(6.2%), 중동(46.8%) 등은 증가, 미국(△3.4%), EU(△7.1%), 베트남(△6.1%) 등은 감소 3.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기계류(16.1%), 석유제품(27.6%), 승용차(9.5%) 등은 증가, 원유(△3.1%), 가스(△14.7%), 정보통신기기(△6.5%) 등은 감소 (주요국가) 중동(0.6%), 미국(7.9%), 호주(11.2%) 등은 증가, 중국(△6.3%), EU(△5.0%), 일본(△6.2%), 베트남(△4.6%)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0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19년 11월 수출입 현황, 전년동월대비 수출 14.4% , 수입 13.0% 각각 감소

이미지
▲ 2019년 11월 수출입 현황 1. 수출 현황 (총 괄) 전년 동월 대비 14.4% 감소한 441억 달러 기록 승용차(0.4%)․가전제품(4.4%) 등은 증가, 반도체(△30.9%)․석유제품(△12.2%)․무선통신기기(△4.6)․자동차 부품(△9.4%)․선박(△63.0%)․액정디바이스(△52.2%) 등은 감소 중동(1.3%)은 증가, 중국(△12.3%)․미국(△8.3%)․베트남(△10.4%)․EU(△21.9%)․일본(△11.0%) 등은 감소 (수출중량) 전년 동월 대비 2.7% 감소한 1,647만 톤 (주요품목별)가전제품․승용차 등은 증가, 석유제품․철강제품․무선통신기기․반도체․액정디바이스․선박 등은 감소 (석유제품) 전년 동월 대비 12.2% 감소한 34억 9천만 달러 (철강제품) 전년 동월 대비 9.4% 감소한 34억 5천만 달러 (가전제품) 전년 동월 대비 4.4% 증가한 6억 4천만 달러 * 미국(21.0%), 베트남(15.6%), 중국(13.0%), 멕시코(7.9%) 등의 비중으로 수출 (유선통신기기) 전년 동월 대비 25.0% 감소한 8천만 달러 (무선통신기기) 전년 동월 대비 4.6% 감소한 19억 달러 * 베트남(36.7%), 중국(31.1%), 미국(10.7%), 콜롬비아(3.9%) 등의 비중으로 수출 (반도체) 전년 동월 대비 30.9% 감소한 75억 9천만 달러 (액정디바이스) 전년 동월 대비 52.2% 감소한 3억 4천만 달러 (승용차) 전년 동월 대비 0.4% 증가한 37억 1천만 달러 * 최대 수출국인 미국(비중39.4%) 수출이 2.8% 증가하였으며, 캐나다(22.5%), 이스라엘(96.4%), 사우디(39.6%), 이라크(58.8%), 프랑스(6.4%) 등으로 수출 증가 (자동차부품) 전년 동월 대비 9.4% 감소한 17억 달러  (선박) 전년 동월 대비 63.0% 감소한 7억 4천만 달러 (주요 지역별)중동은 증가, 중국․EU․미국․일본 등 감소

2019년 10월 수출입 현황, 전년 동월 대비 수출 14.8% 감소, 수입 14.6% 감소

이미지
▲ 2019년 10월 수출입 현황 2019년 10월 월간 수출입 집계 결과,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14.8% 감소한 467억 달러, 수입은 14.6% 감소한 414억 달러로, 무역흑자 53억 달러를 기록하여 ‘12.2월 이후 93개월 연속 흑자 달성 1. 수출 (품목별) 주요 수출품목 중에 무선통신기기(35.2%)․선박(23.4%)․가전제품(11.6%)은 증가, 반도체(△32.1%)․승용차(△1.2%)․석유제품(△26.2%)․액정디바이스(△64.5%)는 감소 * 베트남(143.8%), 중국(82.5%), 독일(511.2%) 등에 부분품, 완제품 수출 증가 * 마샬군도(4.2억 달러), 바하마(3.2억 달러) 등에 LNG, 원유 선박 수출 증가 * 미국(3.6%), 베트남(2.9%), 중국(58.6%) 등에 완제품, 부분품 등 수출 증가 (국가별)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중동(0.7%), 싱가포르(2.7%) 등은 증가, 중국(△16.9%), 미국(△8.5%), EU(△21.2%), 일본(△13.9%) 등은 감소 2. 수입 (품목별) 주요 수입품목 중에 승용차(29.7%)․철광(53.6%)․컴퓨터(17.1%)는 증가, 원유(△32.4%)․기계류(△10.8%)․의류(△16.2%)는 감소 (소비재 : 3.2% 감소) 승용차(29.7%)․가전제품(22.4%)․완구(3.1%) 등은 증가, 의류(△16.2%)․조제식품(△5.5%)․어류(△19.6%) 등은 감소 (원자재 : 19.9% 감소) 철광(53.6%)․강관(0.9%) 등은 증가, 원유(△32.4%)․가스(△29.2%)․석유제품(△29.0%) 등은 감소 (자본재 : 11.6% 감소) 컴퓨터(17.1%)․의료용 기기(3.0%) 등은 증가, 기계류(△10.8%)․무선통신기기(△1.3%) 등은 감소 (국가별) 주요 수입대상국 중국(△7.5%), 미국(△11.2%), 중동(△38.1%), EU(△8.2%), 일본(△23.3%), 베트남(△3.0%) 등 감소 3. 수출입 특이

2019년11월1일~10일 수출입 현황. 전월대비 수출 9.2% 감소, 수입 10.4% 감소

이미지
▲ 2019년 11월(1일∼10일) 수출입실적(통관기준 잠정치) 2019년 11월 1일~11월 10일 수출입 현황, 조업일수 감소(-1일)로 수출은 119억 달러, 수입은 123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수출은 △20.8%(조업일수 고려시 △9.5%), 수입은 △21.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조업일수는 2018년 8일, 2019년 7일로 전년동기대비 1일 감소 전월대비로는 수출 △9.2%(12.0억 달러↓) 감소, 수입 △10.4%(14.3억 달러↓) 감소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33.3%), 승용차(△3.8%), 석유제품(△27.1%), 무선통신기기(△5.6%), 선박(△64.4%) 등 주요품목 대부분 감소 (주요국가) 중동(8.3%)은 증가, 중국(△17.1%), 미국(△18.4%), 베트남(△20.2%), EU(△27.8%), 일본(△15.1%) 등은 감소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원유(△25.8%), 가스(△17.1%), 기계류(△8.0%), 석유제품(△54.4%), 승용차(△26.8%) 등 주요품목 대부분 감소 (주요국가) 미국(6.1%)은 증가, 중국(△17.5%), 중동(△20.3%), EU(△30.9%), 일본(△28.1%), 베트남(△15.0%)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0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19년 10월1일~20일 수출입 현황, 전월대비 수출 6.0% 감소, 수입 5.5% 감소

이미지
▲ 2019년 10월(1일∼20일) 수출입실적(통관기준 잠정치) 2019년 10월 1일 ~10월 20일 수출 268억 달러, 수입 25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19.5%(65.0억 달러↓) 감소, 수입 △20.1%(63.8억 달러↓) 감소 전월대비로는 수출 △6.0%(17.0억 달러↓) 감소, 수입 △5.5%(14.9억 달러↓) 감소 1.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무선통신기기(44.8%), 가전제품(11.7%) 등은 증가, 반도체(△28.8%), 승용차(△6.5%), 석유제품(△38.4%), 선박(△8.4%) 등은 감소 (주요국가) 중동(1.5%), 싱가포르(17.7%) 등은 증가, 중국(△20.0%), 미국(△17.4%), 베트남(△2.3%), EU(△36.6%), 일본(△21.3%) 등은 감소 2.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정보통신기기(9.5%), 승용차(32.1%) 등은 증가, 원유(△31.5%), 기계류(△15.9%), 가스(△39.1%), 석유제품(△37.0%) 등은 감소 (주요국가) 캐나다(1.5%)는 증가, 중국(△9.2%), 중동(△34.8%), 미국(△21.9%), EU(△16.4%), 일본(△30.1%)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0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19년 9월 수출입 현황, 전년 동월 대비 수출 11.7% 감소, 수입 5.6% 감소

이미지
▲ 2019년 9월 수출입 현황 2019년 9월 월간 수출입 집계 결과,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11.7% 감소한 447억 달러, 수입은 5.6% 감소한 387억 달러로, 무역흑자 59.8억 달러를 기록하여 2012.2월 이후 92개월 연속 흑자 달성 1. 수출  (품목별) 주요 수출품목 중에 승용차(4.9%)․무선통신기기(81.9%)․선박(31.0%)․가전제품(15.7%)은 증가, 반도체(△31.6%)․석유제품(△18.2%)․액정디바이스(△64.4%)는 감소 * 호주(1.7%), 사우디(13.7%), 스페인(45.7%) 등에 승용차 수출 증가 ** 베트남(407.9%), 중국(66.8%), 콜롬비아(36185.7%) 등에 부분품, 완제품 수출 증가 *** 마샬군도(4.2억 달러), 바하마(3.2억 달러) 등에 LNG, 원유 선박 수출 증가 (국가별)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EU(10.6%), 베트남(6.5%) 등은 증가, 중국(△21.8%), 미국(△2.2%), 일본(△6.0%), 중동(△9.2%) 등은 감소 2. 수입 (품목별) 주요 수입품목 중에 기계류(2.4%)․의류(13.2%)․의약품(8.8%)은 증가, 원유(△19.2%)․제조용 장비(△56.0%)․어류(△13.2%)는 감소 (소비재 : 12.4% 증가) 의류(13.2%)․승용차(55.8%)․가전제품(40.5%) 등은 증가, 어류(△13.2%)․소고기(△15.7%)․금(△12.5%) 등은 감소 (원자재 : 13.9% 감소) 비철금속광(2.7%)․의약품(8.8%) 등은 증가, 원유(△19.2%)․가스(△27.5%)․석유제품(△27.3%) 등은 감소 (자본재 : 0.1% 감소) 기계류(2.4%)․메모리 반도체(13.6%) 등은 증가, 제조용 장비(△56.0%)․컴퓨터 주변기기(△7.6%) 등은 감소 (국가별) 주요 수입대상국 중국(3.9%), 미국(9.4%), 베트남(34.3%) 등 증가, 중동(△29.2%), EU(△6.4%), 일본(△8.6%) 등 감소

2019년 8월 1일~20일 수출입 현황, 전월 대비 수출 11.6% 감소, 수입 6.8% 감소

이미지
▲ 2019년 8월(1일∼20일) 수출입실적(통관기준 잠정치) 1. 총괄 7월 월간 수출입 집계 결과,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11.0% 감소한 461억 달러, 수입은 2.7% 감소한 437억 달러로, 무역흑자 24억 달러를 기록하여 ‘12.2월 이후 90개월 연속 흑자 달성 2. 수출 (품목별) 주요 수출품목 중에 승용차(22.6%)․자동차 부품(0.6%)․무선통신기기(17.7%)․가전제품(36.5%)은 증가, 반도체(△27.6%)․석유제품(△10.6%)․선박(△8.0%)․액정디바이스(△56.4%)는 감소 * 미국(20.8%), 캐나다(52.4%), 호주(29.4%) 등에 승용차 수출 증가 * 베트남(234.4%), 중국(19.3%) 등에 부분품, 완제품 수출 증가 * 미국(30.9%), 베트남(30.8%), 멕시코(82.7%) 등에 수출 증가 (국가별)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EU(0.3%), 베트남(7.8%) 등은 증가, 중국(△16.6%), 미국(△0.7%), 일본(△0.3%), 중동(△36.1%) 등은 감소 3. 수입 (품목별) 주요 수입품목 중에 메모리 반도체(33.8%)․가스(3.1%)․승용차(12.5%)는 증가, 원유(△22.0%)․기계류(△10.1%)․사료(△3.7%)는 감소 (소비재 : 9.0% 증가) 승용차(12.5%)․의류(16.8%)․가전제품(43.1%) 등은 증가, 사료(△3.7%)․시계(△4.3%)․완구(△3.0%) 등은 감소 (원자재 : 7.7% 감소) 가스(3.1%)․의약품(27.9%) 등은 증가, 원유(△22.0%)․석유제품(△18.3%)․석탄(△8.0%) 등은 감소 (자본재 : 0.2% 감소) 메모리 반도체(33.8%)․무선통신기기(19.9%) 등은 증가, 기계류(△10.1%)․제조용 장비(△37.9%) 등은 감소 (국가별) 주요 수입대상국 중국(5.8%), 미국(9.8%), EU(6.4%), 베트남(8.4%) 등 증가, 중동(△23.4%), 일본(△9.3%), 대만(△6.

2019년 7월 수출입 현황, 전년 동월 대비 수출 11.0% 감소, 수입 2.7% 감소

이미지
▲ 2019년 7월 수출입 현황 1. 총괄 7월 월간 수출입 집계 결과,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11.0% 감소한 461억 달러, 수입은 2.7% 감소한 437억 달러로, 무역흑자 24억 달러를 기록하여 ‘12.2월 이후 90개월 연속 흑자 달성 2. 수출 (품목별) 주요 수출품목 중에 승용차(22.6%)․자동차 부품(0.6%)․무선통신기기(17.7%)․가전제품(36.5%)은 증가, 반도체(△27.6%)․석유제품(△10.6%)․선박(△8.0%)․액정디바이스(△56.4%)는 감소 * 미국(20.8%), 캐나다(52.4%), 호주(29.4%) 등에 승용차 수출 증가 * 베트남(234.4%), 중국(19.3%) 등에 부분품, 완제품 수출 증가 * 미국(30.9%), 베트남(30.8%), 멕시코(82.7%) 등에 수출 증가 (국가별)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EU(0.3%), 베트남(7.8%) 등은 증가, 중국(△16.6%), 미국(△0.7%), 일본(△0.3%), 중동(△36.1%) 등은 감소 3. 수입 (품목별) 주요 수입품목 중에 메모리 반도체(33.8%)․가스(3.1%)․승용차(12.5%)는 증가, 원유(△22.0%)․기계류(△10.1%)․사료(△3.7%)는 감소 (소비재 : 9.0% 증가) 승용차(12.5%)․의류(16.8%)․가전제품(43.1%) 등은 증가, 사료(△3.7%)․시계(△4.3%)․완구(△3.0%) 등은 감소 (원자재 : 7.7% 감소) 가스(3.1%)․의약품(27.9%) 등은 증가, 원유(△22.0%)․석유제품(△18.3%)․석탄(△8.0%) 등은 감소 (자본재 : 0.2% 감소) 메모리 반도체(33.8%)․무선통신기기(19.9%) 등은 증가, 기계류(△10.1%)․제조용 장비(△37.9%) 등은 감소 (국가별) 주요 수입대상국 중국(5.8%), 미국(9.8%), EU(6.4%), 베트남(8.4%) 등 증가, 중동(△23.4%), 일본(△9.3%), 대만(△6.5%) 등 감소 4. 수출입

관세청, 2019년 8월1일~8월1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 2019년 8월(1일∼10일) 수출입실적(통관기준 잠정치) 1. 총 괄 (2019년 8월1일~8월10일) 수출 115억 달러, 수입 142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2.1%(32.7 달러↓) 감소, 수입 △13.2%(21.5억 달러↓) 감소 전월대비로는 수출 △14.5%(19.5억 달러↓) 감소, 수입 △8.5%(13.1억 달러↓) 감소 2.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무선통신기기(41.6%), 가전제품(25.6%) 등은 증가, 반도체(△34.2%), 석유제품(△26.3%), 승용차(△6.0%) 등은 감소 (주요국가) 중동(3.0%), 싱가포르(8.7%) 등은 증가, 중국(△28.3%), 베트남(△1.6%), 미국(△19.5%), EU(△18.7%), 일본(△32.3%) 등은 감소 3.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가스(13.3%), 승용차(27.4%) 등은 증가, 원유(△17.1%), 석유제품(△5.1%), 기계류(△22.9%) 등은 감소 (주요국가) 미국(3.0%), 캐나다(117.8%) 등은 증가, 중국(△11.1%), 중동(△19.0%), EU(△9.0%), 일본(△18.8%)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0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관세청, 2019년 7월 1일~7월2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 2019년 7월(1일∼20일) 수출입실적(통관기준 잠정치) 1. 총 괄 2019년 7월 1일~7월20일(통관기준 잠정치) 수출 283억 달러, 수입 28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13.6%(44.6억 달러↓) 감소, 수입 △10.3%(33.0억 달러↓) 감소 전월대비로는 수출 4.2%(11.5억 달러↑) 증가, 수입 2.8%(7.7억 달러↑) 증가 2.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승용차(19.5%), 무선통신기기(7.2%), 가전제품(34.5%) 등은 증가, 반도체(△30.2%), 석유제품(△15.6%), 선박(△24.0%) 등은 감소 (주요국가) 베트남(8.7%), 싱가포르(0.9%) 등은 증가, 중국(△19.3%), 미국(△5.1%), EU(△12.3%), 일본(△6.6%), 중동(△30.3%) 등은 감소 3.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7.7%), 승용차(18.7%) 등은 증가, 원유(△33.7%), 기계류(△12.4%), 가스(△14.8%), 석유제품(△23.1%) 등은 감소 (주요국가) 중국(1.0%), 미국(3.7%), 호주(19.4%) 등은 증가, 중동(△32.3%), EU(△6.5%), 일본(△14.5%), 베트남(△6.1%)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0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2019년 6월1일 ~ 6월20일, 전년 동기 대비 수출10.0% 감소, 수입8.1% 감소

이미지
▲ 6월(1일∼20일) 수출입실적(통관기준 잠정치) 1. 총괄 6월1일 ~ 6월20일 수출 272억 달러, 수입 27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10.0%(30.4억 달러↓) 감소, 수입 △8.1%(24.5억 달러↓) 감소 전월대비로는 수출 6.4%(16.3억 달러↑) 증가, 수입 0.8%(2.2억 달러↑) 증가 2.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승용차(19.6%), 무선통신기기(10.5%), 선박(20.6%) 등은 증가, 반도체(△24.3%), 석유제품(△22.4%), 자동차 부품(△5.5%) 등은 감소 (주요국가) 미국(3.3%), EU(0.3%), 싱가포르(26.0%) 등은 증가, 중국(△20.9%), 베트남(△3.1%), 일본(△7.5%), 중동(△28.5%) 등은 감소 3.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12.6%)는 증가, 원유(△15.8%), 기계류(△2.8%), 가스(△25.9%), 승용차(△21.4%), 반도체 제조용 장비(△40.7%) 등은 감소 (주요국가) 중국(2.3%), 호주(4.1%), 베트남(9.5%) 등은 증가, 중동(△26.5%), 미국(△0.0%), EU(△15.8%), 일본(△13.9%)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0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

관세청, 2019년 5월 1일~5월 1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이미지
▲ 2019년 5월 1일~5월 10일 수출입 현황(통관기준 잠정치) 1. 총 괄 (5.1.~5.10.) 수출 130억 달러, 수입 152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6.4%(9.0억 달러↓) 감소, 수입 7.2%(10.2억 달러↑) 증가 전월대비로는 수출 △13.3%(20.0억 달러↓) 감소, 수입 △8.9%(14.9억 달러↓) 감소 2.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석유제품(10.5%), 승용차(19.2%), 무선통신기기(17.5%) 등은 증가, 반도체(△31.8%), 자동차 부품(△11.2%), 액정디바이스(△48.3%) 등은 감소 (주요국가) EU(0.4%), 베트남(29.9%), 일본(13.1%) 등은 증가, 중국(△16.2%), 미국(△2.8%), 중동(△30.3%) 등은 감소 3.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원유(16.8%), 반도체(25.4%), 가스(13.4%) 등은 증가, 기계류(△7.4%), 승용차(△5.8%), 반도체 제조용 장비(△47.1%) 등은 감소 (주요국가) 중국(7.9%), 중동(27.1%), 미국(28.9%), 베트남(14.9%) 등은 증가, EU(△12.2%), 일본(△29.2%), 대만(△6.0%) 등은 감소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0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관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