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미취업 청년을 위한 어학시험·자격시험 응시료 및 수강료 지원

이미지
경기도가 미취업 청년을 위해 어학·자격시험 응시료와 수강료를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신청은 5월 2일부터 시작되며, 자세한 내용은 확인해보세요. 경기도, 미취업청년에게 어학·자격시험 응시료와 수강료까지 최대 30만 원 지원 경기도 미취업 청년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소개 경기도에서는 미취업 청년들을 대상으로 어학·자격시험 응시료와 수강료를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청년들의 취업을 지원하고 청년들의 미래를 밝게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신청 자격 및 기간 이 프로그램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미취업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며, 신청 기간은 5월 2일부터 11월 30일까지입니다. 신청은 일자리재단 통합접수시스템 잡아바 어플라이 에서 이뤄집니다. 지원 내용과 범위 응시료뿐만 아니라 수강료까지 실비로 지원되며, 개인당 최대 30만 원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원 내용과 범위는 지원 연도 기준 청년 연령에 따라 달라집니다. 응시료와 수강료 지원 대상 및 지원 방법 응시료는 어학 시험 19종, 자격시험 등 총 909종을 지원하며, 수강료는 응시료 지원 분야와 관련된 내용을 학원 등에서 수강한 경우에 지원됩니다. 신청은 잡아바 어플라이를 통해 이뤄집니다. 어학 시험 19종 (TOEIC, 토플, 영어회화능력평가,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아랍어, 베트남어, 태국어,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어, 중국어회화능력평가, 일본어회화능력평가, 프랑스어회화능력평가, 독일어회화능력평가, 스페인어회화능력평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국가기술자격 545종 국가전문자격 248종 (2024년 신규 추가) 국가공인민간자격 96종 지원 사업의 의의와 향후 전망 경기도는 미취업 청년들의 취업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경기청년 역량강화 기회 지원 사업’은 미취업 청년들이 어학·자격시험을 통해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고 취업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020년 주요 유통업체 매출 전년 대비 5.5% 증가

▲ 매출 증감률(%) 추이 및 업태별 매출 구성비

2020년 주요 유통업체 매출은 오프라인(△3.6%)은 감소하였으나, 온라인(18.4%) 호조로, 전체적인 성장세를 유지하며 전년 대비 5.5% 증가


(오프라인) 편의점(2.4%) 매출은 다소 상승하였으나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외출자제‧다중이용시설 기피로 대형마트(△3.0%), 백화점(△9.8%), SSM(△4.8%) 매출이 줄어들어 전체 오프라인 매출은 감소(△3.6%)


(온라인) 즉시성‧편의성을 중시하는 소비문화 및 온라인‧비대면 소비 확산 추세에 따라 온라인 매출은 크게 상승(18.4%)


상품군별 매출은 가정에서 지내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생활가전/문화(1.5%p), 식품(1.2%p), 생활/가정(0.9%p)이 증가하였고, 유명브랜드(0.4%p) 판매도 늘어났으나 외부활동과 관련된 패션/잡화(△2.5%p), 아동/스포츠(△0.3%p), 서비스/기타(△1.3%p) 품목은 매출 비중이 하락


근거리 생필품 구매 수요의 증가로 편의점(2.4%) 매출이 소폭 올랐으나, SSM(△4.8%), 백화점(△9.8%), 대형마트(△3.0%)의 매출이 전체적으로 줄어듦에 따라 전체 매출은 감소(△3.6%)


(편의점) 생활용품(4.7%), 음식 등 가공품(2.1%), 담배/기타(4.9%) 품목 판매가 늘면서 전체 매출 증가(2.4%)


(준대규모점포(SSM)) 매장 방문 쇼핑 자제로 구매 건수(△10.3%)가 크게 줄면서, 식품(△3.9%)‧비식품(△12.2%) 판매가 모두 줄어 전체 매출 감소(△4.8%)


(백화점) 외출과 관련된 여성캐주얼(△32%), 여성정장(△26.1), 남성의류(△19.5%) 등 의류 판매가 큰 폭으로 줄어 전체 매출 하락(△9.8%)


(대형마트) 다중이용시설 기피로 잡화(△27.0%), 의류(△25.8%), 스포츠(△16.9%) 등 모든 상품군 판매가 현저히 줄어 전체 매출 감소(△3.0%)


코로나 19 상황으로 인해 구매 수요가 온라인 쇼핑으로 몰리면서, 식품(51.5%), 생활/가구(25.3%) 등 대부분의 상품군 판매가 큰 폭으로 늘어나 전체 온라인 매출 대폭 증가(18.4%)


반면, 외출과 여행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지속되면서 패션/의류(2.2%)품목 판매는 소폭 상승에 그쳤으며, 서비스/기타 품목(△11.9%) 판매는 크게 하락


2020년 12월에도 오프라인(△4.4%) 매출 감소가 지속되었으나, 온라인(27.2%) 판매가 큰 폭 상승하여 전체 매출 9.0% 증가


(오프라인) SSM(4.0%), 편의점(2.7%), 대형마트(2.1%)의 소폭 회복에도 불구하고, 백화점(△16.9%) 매출의 가파른 하락에 따라 전체 매출(△4.4%)은 감소


(온라인) 비대면 소비의 일상화, 각종 연말 할인행사 등에 힘입어, 올해 2월(34.3%)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27.2%)


(상품군별 매출)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 패션/잡화(△17.7%), 서비스/기타(△6.3%), 아동/스포츠(△3.8%) 등 외출 관련 상품 판매는 감소 지속


소형가전 중심의 가전/문화(25.6%), 식품(18.6%), 생활/가정(16.2%) 등 실내용 상품은 호조를 유지하였으며, 유명브랜드(9.2%) 판매도 증가


(구매건수‧단가) 오프라인 매장 방문 구매건수는 감소(△14.6%)하였으나, 방문 시 대량 구매 경향으로 구매 단가(12%)는 상승


(업태별 매출 비중) 대형마트·백화점·편의점·SSM 등 오프라인 매출 비중(57.4 → 50.3%)은 감소하고, 온라인 매출 비중(42.6 → 49.7%)은 증가


연말 할인행사 등에 따른 소비 확대로 SSM(4.0%), 편의점(2.7%) 대형마트(2.1%) 매출이 반등하였으나, 백화점(△16.9%) 판매 부진으로 전체 매출은 전년동월 대비 4.4% 감소


(대형마트) 다중이용시설 기피 분위기에 따라 의류, 잡화 등 전 품목 판매가 위축되었으나 식품(12.4%) 판매 호조로 전체 매출 증가


(백화점) 전체 매출을 주도하던 여성의류(캐주얼 △44.0%, 정장 △38.1%)와 외부활동 관련 상품(잡화 △36.7%, 아동/스포츠 △27.4%) 부진이 장기화 되면서 3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매출 하락


(편의점) 근거리 소비, 소량 구매 경향으로 음료 등 가공식품(8.3%), 담배 등 기타(2.0%) 품목 중심으로 매출 소폭 상승


(준대규모점포(SSM)) 외식 자제에 따라 가정 내에서 소비되는 식품관련 품목(농수축산 6.3%, 신선/조리 6.0%, 가공 7.1%) 매출 증가


(점포당 매출) SSM와 대형마트의 점포당 매출은 증가하였고, 백화점과 편의점의 점포당 매출은 하락


사회적 거리두기 장기화로, 비대면 소비가 일상화 되면서 실내생활을 위한 식품(74.4%), 생활/가구(35.7%) 등의 매출이 지속 상승


계절가전 수요가 늘어 가전/전자(34.0%) 판매량이 급증하였고,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도서/문구(46%) 매출이 올해 들어 가장 큰 폭으로 증가


반면, 코로나 19로 스포츠(9.7%) 관련 상품은 소폭 증가하고 공연 등 서비스/기타(△9.3%) 매출 감소 추세 지속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양소 섭취기준을 통해 보는 한국인 영양소 섭취 현황

봄철에는 영양소가 풍부한 ‘숭어’와 ‘해조류’를 맛보세요

영문 운전면허증 사용국 37개국으로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