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지역특구인 게시물 표시

2024 대한민국 드론 박람회, 5월 9일부터 11일까지 송도컨벤시아 개최

이미지
2024년 5월 9일부터 11일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2024 대한민국 드론 박람회'가 개최됩니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국내·외 최첨단 드론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드론 관련 정부 정책 및 사업, 드론 교육 및 자격 관리, K-드론 배송상용화 사업 등을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드론 산업에 관심 있는 분들의 참여를 적극 권장합니다! 드론 기술, 미래를 날다! 최근 드론 기술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드론은 물류, 의료, 농업, 건설, 안전, 여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율성을 높이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는 K-드론 배송상용화 사업을 추진하며 드론 산업 선도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드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국내 드론 산업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2024 대한민국 드론 박람회'가 개최되어 국내·외 최첨단 드론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최고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 2024 대한민국 드론 박람회 개요 주요 정보 주제: 드론으로 실현하는 세상, Drones Come True! 기간: 2024년 5월 9일 (목) ~ 11일 (토) 장소: 인천 송도컨벤시아 주최: 국토교통부, 인천광역시, 한국교통안전공단(TS) 등 주요 내용 국내·외 최첨단 드론 기술 전시 드론 관련 정부 정책 및 사업 소개 드론 교육 및 자격 관리 홍보 K-드론 배송상용화 사업 소개 드론 관련 학술 컨퍼런스 및 세미나 개최 주요 행사 및 전시 내용 TS 홍보관: 드론 기체신고, 드론조종자자격, 드론 사용사업 관리 등 TS 주요 사업 소개, 드론정보통합시스템, 전문인력 양성, 국가 R&D, 드론 보험협의체 등 소개 드론인프라관: TS 화성·김천 드론 자격센터, 시흥 드론교육센터 소개, 국민 대상 드론교육 및 드론자격관리 업무 소개 K-드론배송특별관: K-드론 배송상용화 사업 개요 및 주요 내용 소개, TS 드론상황관리센터 및 드론 배

지역특구 8곳 신규 지정, 총 2,765억 원 투자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이미지
최근 기초지자체(시·군·구)에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지역경제를 견인할 지역특화발전특구(이하 지역특구) 지정신청이 늘고 있다. *’12년(3건)→’13년(5건)→’14년(8건)→’15년(11건)→’16년(16건, 신규8곳 포함)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은 12월 7일(수) 중소기업중앙회(여의도)에서 「제38차 지역특화발전특구위원회」를 개최, 경주화랑유소년스포츠특구 등 8개 특구를 신규지정하고, 사업추진이 부진한 2개 특구는 해제하였다. *지역특구는 ’04년부터 기초지자체에서 규제특례를 활용하여 특화산업을 육성시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제도로 현재 134개 지자체에 178개가 지정, 이번 위원회를 통해 전국에 총 184개 특구지정 신규지정 8곳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지역의 폐광자원을 활용하여 6차 산업화를 촉진하는 보령버섯산업특구 등 향토자원 분야 4곳, 유소년 스포츠와 세계적인 관광자원과 연계하여 지역경제를 살리는 경주화랑유소년스포츠특구 등 관광레저분야 3곳,  에너지 혁신도시 인프라를 활용하여 에너지 전문인력 양성의 메카로 육성하겠다는 나주에너지교육특구 등 교육분야 1곳이다. 경주화랑유소년스포츠특구의 경우, 유소년 분야 전국 최고수준의 스포츠 인프라와 세계적인 문화관광자원을 연계하여 유소년스포츠 국제대회 유치 등을 통해 스포츠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계획으로, 최근 지진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주시의 지역경제에 활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양평헬스투어힐링특구는 상수원보호지역으로 굴뚝공장이 없는 양평군의 청정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다양한 힐링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특구로서, 양평을 잠시 다녀가는 곳이 아닌 묵고 가는 체류형 힐링도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민간자본 유치애로 등으로 사업추진이 부진하여 당초 특구 지정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태안종합에너지특구와 부안영상문화특구를 해제하였다. 이번에 신규로 지정된 8개 지역특화발전특구들은 향후 5년간 2,765억 원의 투자를 통해 14,242억 원의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