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서울 0.43% 급등의 의미는?
2025년 6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상승세, 서울은 왜 유독 올랐을까?
한국부동산원이 6.23일 기준 발표한 2025년 6월 넷째주 아파트가격에 따르면, 매매가격은 0.06%, 전세가격은 0.02% 상승했습니다. 수치는 작지만 의미는 큽니다. 특히 서울은 0.43%로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죠.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 전국: 0.06% 상승. 상승 지역은 71곳, 하락 지역은 97곳으로 하락 지역이 여전히 많습니다.
- 수도권: 0.16% 상승. 서울 0.43%, 경기 0.05%, 인천 0.01%로 서울의 영향력이 큽니다.
- 지방: -0.03% 하락 지속. 대구, 광주, 경북 등은 하락폭이 확대되었습니다.
→ 해석: 서울 강남권 재건축 단지들이 시장을 이끄는 상황입니다. 강남 0.54%, 강북도 0.31% 상승하며 가격 회복세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 전국: 0.02% 상승. 지난주보다 상승폭 확대
- 수도권: 0.04% 상승. 서울 0.09%, 경기 0.03%, 인천 0.00%로 보합
- 지방: -0.01% 하락. 다만 세종시는 0.13%로 이례적 상승
→ 해석: 전세 시장도 서울 중심으로 반등 중입니다. 대단지, 역세권 중심으로 '임차인 매물 선택권'이 줄고 있습니다.
그래프가 보여주는 진짜 신호
아래 이미지는 매매/전세가격이 다시 우상향 곡선을 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최근 1년간 전국 평균은 거의 '플러스 전환' 상태입니다.
![]() |
▲ 2025년 6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
또 다른 그래프를 보면, 상승 지역이 다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격 하락 국면이 마무리되고 있다는 시장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 |
▲ 2025년 6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
지금 사야 할까? 말아야 할까?
2025년 6월 넷째주 아파트가격을 보면 일부 지역은 분명히 반등 조짐이 보입니다. 특히 서울과 재건축 대상 아파트는 실수요+투자 심리가 맞물리며 상승세가 뚜렷하죠.
- 무주택자: 실거주 목적이라면 너무 늦기 전에 판단이 필요할 시점입니다.
- 매도 희망자: 서울 지역 보유자는 우위에 설 수 있는 국면입니다.
- 전세 수요자: 전세매물 부족 지역 확인 후 빠른 계약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실시간 거래 흐름은 한국부동산원 R-ONE 실거래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결론: 바닥론은 지나갔다?
하락세가 길었던 시장에 드디어 방향성의 전환 신호가 보입니다. 단, 아직은 지역별 격차가 크고 금리·정책 변수도 남아 있으니 '지나친 낙관'보다 '준비된 판단'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