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금융위기인 게시물 표시

2021년 7월 국제통화기금(IMF) 세계경제전망 수정 발표

이미지
국제통화기금 (IMF)은 2021월 7월 27일(화) 22:00(워싱턴 D.C 현지시간 7.27(화) 09:00) 세계경제전망(’Fault Lines Widen in the Global Recovery’)을 수정 발표 (세계경제전망) 2021년 성장률 6.0%로 유지(2022년 4.9%, +0.5%p) 다만, 2021.4월 전망시보다 국가간 불균등 회복이 심화되는 양상 (국가그룹별) 대체로 선진국은 상향, 신흥ㆍ개도국은 하향조정 (선진국) 백신공급 확대, 미국의 경기부양책 등에 힘입어 2021년 5.6%로 0.5%p 상향조정(2022년 4.4%, +0.8%p) * 주요국 2021년 성장률(%) : (美)7.0(+0.6%p) (유로)4.6(+0.2%p) (英)7.0(+1.7%p) (日)2.8(△0.5%p) (한국) 2021년 4.3%로 0.7%p 상향(2022년 3.4%, +0.6%p) (신흥국) 인도의 코로나 확산과 중국의 긴축재정 등을 반영하여 2021년 6.3%로 △0.4%p 하향조정(2022년 5.2%, +0.2%p) * 주요국 2021년 성장률(%) : (印) 9.5(△3.0%p), (中) 8.1%(△0.3%p) (위험요인) 백신보급 지연, 미국 경기부양책 축소 가능성, 인플레이션 압력에 따른 금융긴축 등의 하방위험 상존 국제 백신공급 협력 등에 따른 코로나 조기 종식과 소비ㆍ기업투자 등 경제활동 조기 정상화로 상방위험이 혼재 (정책권고) 국가간 불균등한 회복 완화 및 세계경제 회복세 지속을 위해 국제공조 강화 및 적극적인 정책 유지 권고 (국제공조) 저소득국 백신공급 확대, 특별인출권(SDR) 일반배분 및 저소득국 채무재조정 등을 통한 취약국가 유동성 지원 강화 (재정정책) 지출 우선순위를 백신, 인프라, 보건 등에 두고 미래 대비를 위한 투자시 재정준칙 등 건전성 관리 노력 필요 (통화정책) 인플레이션 압력이 명확할 때까지 긴축을 지양하되, 기대치를 넘는 회복시 빠른 정책전환 및 시장 소통 강화 (금융리스크) 좀비기업 급증에 대비하여 기업감독, 파산

2021.6월 세계은행(World Bank)「세계경제전망」발표

이미지
금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은 5.6%(선진국 5.4%, 신흥·개도국 6.0%)로, 2021.1월 전망 대비 상향 조정(+1.5%p) * 성장률 전망 비교(1월→6월) (2021년) 4.1% → 5.6% (2022년) 3.8% → 4.3% ※ IMF 성장률 전망(4.6일) : (2021년) 6.0% , (2022년) 4.4%OECD 성장률 전망(5.31일) : (2021년) 5.8% , (2022년) 4.4% 미국 등 주요국의 가파른 경제회복과 백신 공급(highly unequal vaccine access) 등으로 80년만에 가장 강력한 “불황 후 경제 성장 속도” 다만, 변종 발생에 따른 코로나19 재확산 가능성과 신흥․개도국의 높은 재정부담 등으로 인한 경제 하방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 각 국은 경제회복 지원과 물가 안정․재정건전성 확보를 동시에 달성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이며, 세계은행은 경제 개혁과 녹색․회복․포용적 성장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 * GRID: Green, Resilient and Inclusive Development (지역별 전망) 선진국에 비해 대부분의 신흥・개도국은 팬데믹에 따른 피해를 극복하기에 경제 성장률이 충분히 높지 않은 상황 (선진국) 미국은 대규모 재정지원과 높은 백신 공급을 통해 6.8%, 유로존은 백신 공급 가속화와 팬데믹 제한 완화로 4.2% 성장 전망 (신흥ㆍ개도국) 동아태는 7.7%로 중국의 강한 경제회복 추세(8.5%)로 인해 가장 높은 경제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 다만, 중국 제외 시 4.0%로 1월 전망치보다 낮은 수준(지속적 관광 사업 위축) 유럽ㆍ중앙아는 높은 외부 수요와 공산품 가격 상승 등으로 3.9%, 중남미는 백신 수급 상황 개선과 이동 제한 완화 등으로 5.2% 전망 중동․북아프리카는 유가 상승이라는 긍정적 요인에도 불구,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와 백신 수급 어려움 등으로 2.4%에 불과 남아시아는 건설업 회복 추세에도 불구 코로나19 피해로 인해 6.8%, 사하라 이남은

2021년 4월 국제통화기금(IMF) 세계경제전망 수정 발표

이미지
국제통화기금 (IMF)은 2021.4.6.(화) 21:30(워싱턴 현지시간 4.6.(화) 08:30)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을 발표 (세계경제) 2021년 세계경제 성장전망을 6.0%(2021.1월比 +0.5%p), 2022년 4.4%(2021.1월比 +0.2%p)로 상향 조정 (최근상황) 전례없는 정책 대응으로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 * IMF는 각국의 정책대응으로 2020년 세계경제 성장률이 약 6%p 상향됐다고 분석 다만, 경제 회복은 불균등하며, 작년 하반기 GDP가 예상을 상회하였으나, 여전히 코로나 이전 성장경로를 하회할 전망 (전망) 선진국의 추가 재정 확대 및 백신 보급의 영향으로 하반기 이후 경제 회복 모멘텀 강화 (국가별 전망) 선진국의 2021년 전망은 5.1%(2021.1월比 +0.8%p), 신흥·개도국은 6.7%(+0.4%p)로 성장전망을 모두 상향 조정 (선진국) 미·일의 경기부양책 효과 등을 반영, 2021년 5.1%로 큰 폭 상향 조정(2022년 3.6%, 1월比 +0.5%p) (신흥개도국) 국가·지역별 회복 양상은 상이하나, 인도 성장률 상향 등을 반영하여 2021년 6.7%로 상향(2022년 5.0%, 1월 전망 유지) (위험요인) 팬데믹 전개의 불확실성으로 상·하방 위험요인 혼재 (하방위험) 팬데믹 재확산, 금융여건 위축, 사회 불안 확대, 지정학적·무역 갈등, 코로나에 따른 상흔 지속 등 (상방위험) 백신 생산·보급 가속화, 추가 재정확대, 백신 생산·배분 가속화를 위한 국제 공조 강화 등 (정책권고) 위기상황·국가여건 등을 고려한 정책을 권고 ① (위기 극복) 백신 생산·보급을 위한 국제공조를 강화하고, 피해계층에 대한 선별적 지원을 지속 ② (회복 강화) ➊피해기업에 대한 선별적 지원, ➋실업자 재교육 지속(단기 일자리 축소), ➌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투자 강화 등 ③ (미래 대비) 교육·연구·인프라 투자 강화를 통한 생산성 제고, 재정정책 여력 확보, 기후변화 대응 강화 등 우리나라의 금

2021년 1월 국제통화기금(IMF) 세계경제전망 수정 발표

이미지
1. (세계경제) 2021년 5.5%(2020.10월比 +0.3%p), 2022년 4.2%(전망 유지) (최근 상황) 작년말 백신 승인 및 접종 개시, 최근 경제지표 등 감안시, 작년 하반기 성장 모멘텀은 당초 예상(2020.10월 WEO) 상회 * 미국, 일본, 한국 등의 3분기 GDP 실적은 2020.10월 전망을 크게 상회 작년말 미ㆍ일 등의 추가 경기부양책도 2021~2022년 전망에 긍정적 요인이나, 코로나 재확산 및 봉쇄, 백신 지연 등 부정적 요인 상존 (전망) 코로나19 확산과 봉쇄로 2021년초 성장 모멘텀이 약화되나, 백신ㆍ치료 보급이 확대되며 2분기에 모멘텀 강화 * 기본 시나리오 가정 ① (백신 등) 선진국 및 일부 신흥국의 경우 금년 여름, 기타 대부분 국가는 2022년 하반기까지 광범위한 백신보급 가능 ② (코로나19) 2022년말에는 지역감염이 세계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감소 ③ (재정지원) 미·일 등 일부국가 외 2021년 대부분 재정수지 개선 (적자 감소) ④ (금융여건) 주요 중앙은행들이 2022년말까지 현 금리를 유지 → 선진국은 現 수준의 금융여건 지속, 신흥개도국은 점진 개선 ⇒ 2021년 5.5%(2020.10월比 +0.3%p), 2022년 4.2%(유지) 성장 전망 * 2020년은 -3.5%로 상향조정(2020.10월比 +0.9%) 2. (국가별) 2021년 선진국 4.3%(2020.10월比 +0.4%p), 신흥국 6.3%(+0.3%p) (선진국) 강력한 정책지원, 금년 여름경 광범위한 백신보급 기대 등에 따라 2021년 4.3%로 상향 * 2021년 전망(%): (미국)5.1(일본)3.1(영국)4.5(독일)3.5(프랑스)5.5 (이태리)3.0 (신흥개도국) 국가별 경기회복 양상은 상이하나, 중국의 고성장, 인도 성장률 상향(8.8%→11.5%) 등을 반영하여 2021년 6.3%로 상향 * 2021년 전망(%): (중국)8.1 (인도)11.5 (브라질)3.6 (멕시코)4.3 (러시아)3.0 3. (위험요인) 상·하방 위험

2021년 1월 세계은행(WB) 세계경제전망 발표

이미지
※ 세계은행은 경제성장률 계산시 시장환율 기준, IMF와 OECD는 구매력평가(PPP) 기준 사용WB 전망을 PPP기준으로 환산시 2020년 △3.7%, 2021년 4.3% 1. 세계경제 전망 2020년 △4.3% / 2021년 4.0% 성장률 전망 * IMF 성장률 전망(2020.10월) : (2020년)△4.4% (2021년)5.2% (2020년) 적극적인 경기부양대책과 소비회복으로 2~3분기 GDP 실적 개선 → 당초 전망(2020.6월) 대비 0.9%p 상향 조정 전망 개선은 선진국(한국 포함 35개국)과 중국의 선전에 기인하며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신흥개도국은 당초 전망보다 악화 * 2020년 성장률(2020.6월전망→2021.1월전망) : (선진국) △7.0% → △5.4%(신흥개도국) △2.5% → △2.6% (2021년) 2020년 4분기 이후 코로나19 재확산 및 글로벌 봉쇄 심화 → 당초 전망 대비 0.2%p 하향 조정 기본 전망(4.0%)은 효과적인 팬데믹 대응을 전제로 하며, 하방 시나리오(신규확진 증가, 백신공급 실패)상 성장률은 1.6%까지 하락 팬데믹 이전 추세선에 비해 2021년 세계 GDP는 5.3%, 2022년은 4.4% 감소한 수준으로, 세계 경제가 영구적인 충격을 받은 것으로 평가 2. 지역별 전망 동아태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2020년 역성장 시현, 2020·2021년 모두 기존전망보다 개선된 지역은 동아태·중남미가 유일 (미국) 2020년 상반기중 2008년 금융위기比 3배 이상 불황→경기부양 정책 등으로 3분기 이후 회복세→최근 코로나 확산으로 再위축 (유로존) 서비스업 불황이 지속중이나, EU의 대규모 재정투입· 해외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제조업은 견조한 회복세 진입 (동아태) 2020년 성장률(0.9%)은 ’67년 이후 최저수준이며 지역별 격차 존재, 2021년에는 중국의 견인, 기저효과 등으로 반등 * 중국(2%)과 베트남(2.8%)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이 역성장, 특히 관광업 비중이 큰 피지(-19%), 태국

2020년 6월 국제통화기금(IMF) 세계경제전망 수정

이미지
1. (세계경제) 2020년 –4.9%(2020.4월比 △1.9%p), 2021년 5.4%(△0.4%p) (최근 상황) 중국, 독일, 일본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1분기 GDP가 예상보다 부진하고, 최근 지표들을 볼 때 2분기에 보다 심각한 위축 가능성 (中 제외) 소비.서비스생산 급감, 여전한 이동 제약, 노동시장에 큰 타격(특히, 저숙련 노동자), 교역 감소, 인플레이션 하락 등 (기본 가정) ①4월 전망에 비해 2020년 상반기 경제활동에 큰 타격 + 하반기 회복세 둔화, ②現 수준의 금융여건 지속 등 (전망 결과) 2020년 -4.9%, 2021년 5.4%로 4월 전망 대비 하향 조정 글로벌 경제활동은 금년 2분기 저점 이후 회복되는 가운데, 소비는 내년에 점진적으로 증가, 투자도 약하게나마 회복 교역량은 금년 11.9% 감소 後 내년 8.0% 증가 예상 ◇ 상기 기본전망 外 추가 시나리오도 함께 제시 ① (2021년초 코로나19 재확산) 2021년 약 4.9%p↓→ (2020년) -4.9% (2021년) 0.5% ② (예상보다 빠른 경제회복) 기본전망 대비 2020년 약 0.5%p↑, 2021년 약 3%p↑ → (2020년) -4.4% (2021년) 8.4% 2. (국가별) 2020년 선진국 –8.0%(2020.4월比 △1.9%p), 신흥국 -3.0%(△2.0%p) (선진국) 상반기에 4월 전망보다 큰 부정적 영향과 하반기 더딘 회복세로 동반 부진(synchronized deep downturns) → 2020년 -8.0%로 하향, 2021년은 4.8%로 상향 * 2020년 전망(%): (미국)-8.0(일본)-5.8(영국)-10.2(독일)-7.8(프랑스)-12.5 (이태리·스페인)-12.8 (신흥개도국) 국내 경제활동 타격, 부진한 대외수요에 따른 파급효과 등을 반영하여 2020년 -3.0%, 2021년 5.9%로 하향 국가별로는 팬데믹 양상, 경제구조 등에 따라 상당한 차이 * 2020년 전망(%): (중국)1.0 (인도)-4.5 (브

올해 세계경제성장률, 1월 대비 7.7%p 하락 5.2% 전망

이미지
금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은 △5.2%로,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으로 1월 전망 대비 대폭 하향 조정(△7.7%p) * 성장률 전망 비교(1월→6월): (2020년)2.5%→△5.2% (2021년)2.6%→4.2% * IMF 성장률 전망(4.14일) : (2020년)△3.0% (2021년)5.8% 각국 봉쇄조치로 인한 수요둔화, 국제교역량 감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으로 선진국 △7.0%, 신흥·개도국 △2.5% 전망 ⇒ 세계 2차대전 이후 최악의 불황이자,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보다 3배 가량 가파른 경기침체 * 그간의 위기는 금융위기, 통화·재정정책 실패, 전쟁, 유가변동 등 복합적 요인에 기인한 반면, 금번 사태는 “팬데믹”이라는 단일 요인으로 촉발된 최초의 위기 선진·개도국을 막론하고 모든 지역의 성장률 전망 하향 조정, 동아태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마이너스 성장 전망 (선진국) 미국은 서비스업 타격, 산업생산 감소 등으로 △6.1%, 유로존은 관광업 충격과 글로벌 밸류체인 붕괴로 △9.1% (신흥·개도국) 동아태는 관광업 위축(태국·필리핀), 저유가(말레이) 등으로 1967년 이래 최저인 0.5% * 중국 제외시 △1.2%로 1998년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최초의 역성장 관광업 붕괴, 원자재 수출 부진의 영향으로 유럽·중앙아는 △4.7%, 중남미 △7.2%, 남아시아 △2.7% 전망 유가 폭락, 지정학적 불안요인 잔존, 통화가치 하락 등으로 중동·북아프리카는 △4.2%, 사하라 이남은 △2.8% 경제충격 최소화를 위해 정부의 적극적 역할이 긴요 (선진국) 저성장과 디플레압력에 대비한 통화정책, 재정지원 대상에 대한 적절한 타게팅이 중요 * 고정소득이 없는 자영업자, 비정규직, 임시근로자에게 직접 혜택이 갈 수 있도록 설계 일시적으로 완화된 건전성규제 정상화, 고령화에 대비한 보건의료 시스템 개선 및 사회안전망 강화 등을 중장기과제로 언급 (신흥·개도국) 양적완화시 통화당국의 신뢰성 확보가 필수적이며, 경제정상화 이후에는 비전통적 통화정책을 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