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메탄 분해인 게시물 표시

메탄 분해 신기술 개발, 온실가스 저감의 혁신적 해결책

이미지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 은 온실가스인 메탄을 알코올로 분해하는 자생 미생물 메탄자화균을 효과적으로 배양하는 신기술을 최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메탄(메테인)은 지구온난화지수가 80인 기체로 가축 사육장, 쓰레기 매립장, 하수처리장 등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메탄자화균의 역할 메탄자화균은 메탄을 산화(알코올로 분해)시켜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세균으로, 온실가스를 줄이는 능력이 있지만 적은 개체수로 인해 직접적인 분리가 어려워 온실가스 저감 기술에 사용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신기술 개발 국립생물자원관은 박희등 고려대 교수 연구진과 함께 미생물군집 내 메탄자화균의 분포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 결과, 메탄 가스 주입 멤브레인을 이용해 메탄자화균이 최대 70%까지 분포하는 농화배양 기술을 개발하여 올해 4월 특허 출원을 완료했습니다. 생물막 반응기 이용 연구진은 생물막 반응기를 이용하여 메탄을 먹이로 하는 미생물만 막 표면에 부착하여 성장시키는 방법으로 메탄자화균의 분포도를 높일 수 있었습니다. 또한, 메탄 주입 속도 등 운영 조건에 따라 여러 종류의 메탄자화균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도 확인했습니다. 연구 결과 및 전망 정복철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활용부장은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다양한 메탄자화균을 확보하고 메탄을 유기산 등 유용물질로 전환하는 후속 연구를 계속 진행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우리나라 생물자원의 특성을 분석하여 온실가스 저감에 노력을 이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주요 연구결과 메탄 주입 MBfR 설계 및 제작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메탄가스 확산이 가능한 non-porous polysulfone 재질의 가스투과 멤브레인을 선정하여 MBfR 모듈을 제작 MBfR 시스템 모식도 및 운전 조건 멤브레인 모듈이 장착된 MBfR은 멤브레인 모듈 한 쪽이 메탄 가스 공급원인 실린더에 연결되어 가스 유량계로 멤브레인에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