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배추인 게시물 표시

배추의 항암·항염 효능, 과학으로 밝혀지다 – 글루코시놀레이트의 힘

이미지
배추의 항암·항염 효능, 과학으로 입증되다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 연구진이 배추 속 기능성 성분을 정밀 분석해, 항암·항염·항산화 효과를 국제학술지 Scientia Horticulturae 에 발표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93종의 배추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글루코시놀레이트(Glucosinolate) 함량과 항산화 활성, 분자 도킹(Molecular Docking)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배추의 인체 건강 기능성을 과학적으로 규명한 성과입니다. 배추 속 글루코시놀레이트, 질병 억제 단서로 연구 결과, 배추에는 평균 6,601μmol/kg의 글루코시놀레이트가 함유되어 있었으며, 일부 자원은 21,000μmol/kg 이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이 가운데 글루코나핀과 글루코브라시카나핀이 가장 풍부하게 검출되었고, 이는 체내에서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고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는 아이소사이오사이아네이트 (Isothiocyanate)의 전구체로 작용합니다. 특히 분자 도킹 분석에서 글루코나스투르틴과 글루코트로파에올린이 CDK2, MPO, CP450 단백질과 강한 결합 친화도를 보여, 질병 억제의 과학적 단서를 제시했습니다. 주요 글루코시놀레이트 성분 분석 (μmol/kg DW) 글루코브라시카나핀: 1,787 / 글루코나핀: 1,548 프로고이트린: 553 / 에피프로고이트린: 521 글루코나스투르틴: 330 / 글루코트로파에올린: 1.4 총 글루코시놀레이트 평균: 6,601 (최고 21,212) 게재 논문 보기 배추, 기능성 식품 원료로 도약 이번 연구는 단순 성분 분석을 넘어 분자 수준의 작용 메커니즘까지 밝혀, 배추의 건강 기능성을 뒷받침하는 과학적 근거를 제공했습니다. 연구진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기능성 김치나 건강식 소재에 활용될 배추 품종 육종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향후 다양한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분자 도킹 기반 기능성 탐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배추는 이제 단순한 식재료를 넘어, ...

배추와 마늘 등 주요 채소, 생육 예측 소프트웨어 개발

이미지
▲ 마늘, 양파 주산지(무안) 상세기상정보 시스템 농촌진흥청은 우리나라의 주요 채소인 배추와 마늘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생육 정보와 생산량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하 소프트웨어)을 개발했습니다. 최근 집중호우나 가뭄, 폭염 같은 이상기상으로 농작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는 생육 장해가 자주 발생합니다. 그 중 배추와 마늘은 국민의 식생활과 소비자 물가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채소임에도 불구하고 갈수록 안정적인 생산은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이 같은 기상 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주산지 작물의 생장을 예측해 알맞은 재배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에 개발한 생육 예측 소프트웨어는 기상정보(기온, 일사, 강우)를 바탕으로 자라고 있는 배추와 마늘의 잎 수와 생장량, 뿌리·줄기·잎·구의 무게, 최종 수량 등 다양한 정보를 일 단위로 나타냅니다. 기상정보는 기상청의 실시간, 장·단기 예보와 연동됩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배추와 마늘 재배 농가에서는 작물의 생육 상태를 점검하고, 앞으로 생장을 예측할 수 있어 재배 관리를 알맞게 계획할 수 있습니다. 농산물 수급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도 생육 실황과 생산량을 예측하고 계획을 세울 수 있어 가격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생육 예측 소프트웨어의 구동 결과는 온라인(wds.agdcm.kr)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밀한 작물 생육 예측 기술은 미국 등 농업 선진국에서도 연구를 집중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세계적으로 쌀, 옥수수, 콩 등 식량작물분야에서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돼 생산 관리와 수급 정책 등에 실용화되고 있지만, 배추와 마늘에 대한 개발과 실용화는 세계에서 처음입니다. 농촌진흥청은 내년부터 배추와 마늘 주산지 세 곳에 배추·마늘 생육 모형 기술을 시범 적용할 계획입니다. 예정지는 고랭지 여름배추 주산지인 강원도 영월군 매봉산과 강원도 강릉시 안반데기, 마늘 주산지인 전남 무안군입니다. 시범 적용지에서는 배추와 마늘의 잎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