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고령화사회인 게시물 표시

2025 고령자 하루 일과 변화… 여가 늘고 일은 줄었다

이미지
고령자의 하루, 어떻게 달라졌을까? 2025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통계청 은 고령자의 일상생활에서 시간 활용의 뚜렷한 변화를 확인했습니다. 65세 이상 고령자는 하루 평균 12시간을 수면·식사 등 필수시간에, 약 5시간을 일이나 가사 같은 의무시간에, 그리고 7시간 이상을 여가에 사용하며 여가시간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줄어든 수면, 늘어난 미디어 이용 고령자의 수면시간은 평균 8시간 14분으로 5년 전보다 14분 감소했으며, 특히 평일에 더 많이 줄었습니다. 반면, 미디어를 이용한 여가시간은 4시간 6분으로 증가했습니다. 실시간 방송 시청은 여전히 많지만, 동영상 시청 시간이 큰 폭으로 늘어났고, ICT 기기 사용시간도 세 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구분 2019년 2024년 변화량 필수시간 12시간 10분 11시간 59분 -11분 의무시간 4시간 59분 4시간 58분 -1분 여가시간 6시간 51분 7시간 3분 +12분 수면시간 8시간 28분 8시간 14분 -14분 미디어 이용시간 3시간 50분 4시간 6분 +16분 혼밥 증가와 비대면 소통 확산 아침과 저녁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상승했고, 대면 교제보다 음성이나 문자로 소통하는 비대면 교제활동이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80세 이상 고령자의 비대면 교제시간은 지난 5년간 두 배 가까이 늘어나며 고령자의 소통 방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2025년 고령 인구 분포, 성비, 지역별 고령화 비율 세계 속 한국 ...

세계 인구 102억 명 돌파, 한국 인구 절반으로 감소? 2072년 전망

이미지
전 세계적으로 인구 변화는 경제, 사회,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한국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인구 구조의 변화는 노동력 감소와 사회적 부담 증가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4년부터 2072년까지의 세계와 한국의 인구 변화를 살펴보고, 향후 전망과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장래인구추계 ▲ 세계와 한국의 인구규모(단위: 백만 명, %) 세계 인구 변화 전망 2024년 세계 인구는 약 81억 6천만 명으로 예상되며, 2072년에는 102억 2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1970년 대비 약 2.2배 증가한 수치로, 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인구 증가에 기인합니다. 아프리카 인구는 2024년 15억 2천만 명에서 2072년 32억 1천만 명으로 약 2.1배 증가할 것입니다. 반면 유럽은 2024년 7억 5천만 명에서 2072년 6억 4천만 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경제적 불균형과 사회적 갈등을 야기할 수 있으며, 각국의 정책 대응이 중요해집니다. ▲ 세계와 한국의 인구 추이 한국 인구 변화 전망 한국 인구는 2024년 약 5,200만 명에서 2072년에는 약 3,600만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2024년 대비 31% 감소한 수치로, 출산율 저하와 인구 고령화가 주요 원인입니다. 특히 2072년 한국의 고령인구 비율은 47.7%로, 매우 심각한 수준의 고령화가 예상됩니다. 이러한 고령화는 사회 복지 시스템의 과부하와 경제적 부담을 증가시키고, 젊은 세대의 사회적, 경제적 역할을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할 것입니다. 노동력 부족을 해소하고, 노년층의 경제 활동 참여를 유도하는 정책적 지원이 중요합니다. 주요 국가별 인구 순위 변화 2024년 인구가 가장 많은 국가는 인도(약 14억 5천만 명), 중국(약 14억 2천만 명) 순으로, 한국은 29위, 북한은 56위입니다. 2072년에는 인도와 중국의 순...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