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승용차인 게시물 표시

수출입 현황 2024년 10월 1~10일: 수출 33% 급증! 수입은 왜 3%만 증가?

이미지
2024년 10월 초, 한국의 수출입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놀랍게도 수출은 전년 대비 33%나 증가하며 153억 달러를 기록했지만, 수입은 3% 증가에 그치며 175억 달러에 머물렀습니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한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주요 품목별 수출입 변화와 주요 국가별 동향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이유들을 간단하게 풀어보겠습니다. KOSIS통계보기 ▲ 2024년 10월1일~10일 수출입실적(통관기준 잠정치), (단위:백만 달러,%) ※ 조업일수[(2023)4.5일,(2024)5.5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23.10.)25.5,(2024.10.)27.8억 달러] 9.0% 증가 주요 품목별 수출입 현황 10월 1일부터 10일까지의 수출 품목을 살펴보면, 반도체와 승용차, 선박 수출이 크게 증가한 것이 두드러졌습니다. 반도체 수출은 무려 45.5%나 증가해 3,065억 달러에 달했으며, 승용차 수출도 28.9% 상승해 1,391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선박은 265%라는 놀라운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반면, 석유제품과 무선통신기기 수출은 각각 23.6%, 9.7% 감소하며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수입 측면에서는 반도체가 18.8% 증가했으며, 가스 수입도 16.4%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에너지 관련 수입품인 원유와 석유제품은 각각 20.7%, 4.9% 감소했습니다. 이는 최근 국제 유가 하락과 에너지 수요 감소에 따른 결과로 분석됩니다. 전체적으로 에너지 수입액은 13.1% 줄어든 것이 특징적입니다. 주요 국가별 수출입 동향 국가별 수출입 동향을 살펴보면, 한국의 주요 수출국인 중국, 미국, 베트남 모두 수출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중국에 대한 수출은

수출입 현황: 2024년 9월 1일~20일 수출 1.1% 감소, 수입 4.5% 감소

이미지
2024년 9월 1일부터 20일까지의 수출입 현황을 살펴보면, 수출은 356억 달러로 전년 대비 1.1% 감소했으며, 수입은 348억 달러로 4.5% 감소했습니다. 주요 품목으로는 반도체와 컴퓨터 주변기기의 수출이 크게 증가한 반면, 승용차와 석유제품의 수출은 감소했습니다.  KOSIS통계보기 수출 현황 1. 주요 품목별 수출 실적 2024년 9월 1일에서 20일까지의 수출 주요 품목 중 반도체는 26.2% 증가하여 7,481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전체 수출에서 21.0%의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반면, 승용차 수출은 8.8% 감소한 2,976백만 달러, 석유제품 수출은 5.0% 감소한 2,849백만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컴퓨터 주변기기는 75.6% 증가한 764백만 달러로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반도체: 7,481백만 달러 (26.2% 증가) 승용차: 2,976백만 달러 (8.8% 감소) 석유제품: 2,849백만 달러 (5.0% 감소) 컴퓨터 주변기기: 764백만 달러 (75.6% 증가) 자동차 부품: 1,128백만 달러 (13.3% 감소) 선박: 1,045백만 달러 (9.3% 감소) 2. 주요 국가별 수출 변화 주요 국가별 수출 실적을 살펴보면, 중국과 대만에 대한 수출이 각각 2.7%, 79.8% 증가한 반면, 미국과 유럽연합으로의 수출은 각각 5.9%, 15.1% 감소했습니다. 상위 3국(중국, 미국, 유럽연합)에 대한 수출 비중은 49.0%를 기록했습니다. 중국: 7,703백만 달러 (2.7% 증가) 미국: 6,173백만 달러 (5.9% 감소) 유럽연합: 3,551백만 달러 (15.1% 감소) 베트남: 3,325백만 달러 (1.2% 증가) 대만: 1,991백만 달러 (79.8% 증가) 수입 현황 1. 주요 품목별 수입 실적 2024년 9월 1일에서 20일까지의 수입 주요 품목 중 반도체 수입은 17.4% 증가한 4,449백만 달러, 가스 수입은 0.2% 증가한 1,591백만 달

2021년 2/4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이미지
1. 시도 서비스업생산 2021년 2/4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은 전년 동 분기 대비 16개 시·도에서 모두 증가했다. 서울(8.0%), 부산(6.0%), 충남(5.7%), 제주(5.5%) 등은 금융·보험, 운수‧창고, 도소매 등에서 호조를 보여 증가 (서울) 금융‧보험(11.8%), 운수‧창고(25.1%), 도소매(6.2%) 등에서 증가 (부산)운수‧창고(12.0%), 도소매(5.9%), 금융‧보험(6.2%) 등에서 증가 (충남)운수‧창고(13.4%), 전문‧과학‧기술(17.9%), 수도‧하수‧폐기물처리(22.0%) 등에서 증가 (제주)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40.8%), 도소매(7.5%), 숙박‧음식점(10.3%) 등에서 증가 2. 시도 소매판매 2021년 2/4분기 시·도 소매판매는 전년 동 분기대비 3개 시·도에서 판매가 증가하였으나, 12개 지역에서는 판매가 감소했다. 제주(15.7%)는 면세점, 서울(6.4%), 부산(4.8%)은 백화점, 면세점에서 판매가 늘어 증가 울산(-5.8%), 전북(-5.1%), 대전(-4.3%), 광주(-4.2%), 인천(-4.0%) 등은 슈퍼·잡화·편의점, 승용차·연료소매점, 전문소매점에서 판매가 줄어 감소 (울산) 슈퍼·잡화·편의점(-14.6%), 승용차·연료소매점(-4.9%), 전문소매점(-3.5%) 등에서 판매가 감소 (전북) 전문소매점(-5.8%), 승용차·연료소매점(-5.3%), 슈퍼·잡화·편의점(-6.6%) 등에서 판매가 감소 (대전) 슈퍼·잡화·편의점(-13.4%), 승용차·연료소매점(-6.1%), 전문소매점(-2.7%) 등에서 판매가 감소 (광주) 승용차·연료소매점(-8.1%), 슈퍼·잡화·편의점(-13.3%) 등에서 판매가 감소 (인천) 슈퍼·잡화·편의점(-10.5%), 전문소매점(-4.8%) 등에서 판매가 감소 2021년 2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hwp 출처:  통계청

코로나19 이후··· 승합차 주행거리 줄고, 승용·화물차는 늘었다

이미지
한국교통안전공단 은 “2020년 자동차 주행거리 분석 결과, 코로나19 이후 다인승 교통수단인 승합차의 주행거리는 감소한 반면 개별 이동수단인 승용차와 화물차는 증가했다.”고 밝혔다. 승합차의 연간 총 주행거리는 전년 대비 10.3% 감소했으나, 승용차 및 화물차는 각각 1.8%, 0.1%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자동차 주행거리는 332,024백만km로 전년 대비 0.7%(2,470백만km) 증가했다. 자동차등록대수는 전년 대비 2.5%(578,918대) 증가하였으며, 자동차 1대당 하루 평균 주행거리는 37.9km/대로 전년 대비 1.6%(0.6km/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종별 주행거리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승용차는 등록대수가 증가(3.2%)함에 따라 주행거리 역시 함께 증가(1.8%)하였으며, 화물차는 비사업용 화물차의 주행거리는 1.2% 감소했지만,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소비문화로 인한 온라인 유통시장 증가로 사업용 화물차의 주행거리가 크게 증가(3.0%)하여 전체 주행거리는 0.1% 증가했다. 반면, 승합차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영향으로 대중교통, 관광 등 다인승 교통수단의 운행과 이용이 줄어들면서 지난해보다 10.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부산, 대구, 대전, 울산에서 주행거리가 지난해보다 감소하였으며, 나머지 시·도는 모두 증가했다. 특히, 제주도와 세종특별자치시는 자동차등록대수가 크게 증가(각각 5.6%, 7.4%)하면서 주행거리 역시 가장 높은 증가폭을 보였으며, 서울시와 4대 광역시는 자동차 등록대수는 증가하였으나, 통행인구가 많은 밀집지역으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주행거리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사용연료별 주행거리는 휘발유와 기타연료 차량은 증가하였으나, 경유 및 LPG연료 차량은 감소했다. 휘발유자동차의 주행거리는 118,800백만km로 지난해보다 1.5% 증가하여 전체 주행거리의 35.8%를 차지하였으며, 경유자동차는 166

2020년 4/4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이미지
1. 시도 서비스업생산 2020년 4/4분기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서울은 증가하였으나 15개 시․도에서는 감소 서울(0.9%)은 금융·보험(23.8%), 부동산(7.7%) 등에서 호조를 보여 증가  인천(-11.5%), 제주(-9.4%), 강원(-5.1%) 등은 운수·창고, 숙박·음식점, 도소매 등에서 부진하여 감소 (인천) 운수·창고(-37.1%), 숙박·음식점(-26.5%), 교육(-7.4%), 예술·스포츠·여가(-33.6%), 협회·수리·개인(-12.8%) 등에서 감소 (제주)도소매(-16.7%), 숙박·음식점(-16.3%), 운수·창고(-21.3%), 예술·스포츠·여가(-38.0%), 교육(-5.5%) 등에서 감소 (강원)숙박·음식점(-27.2%), 예술·스포츠·여가(-33.9%), 운수·창고(-11.9%), 교육(-4.5%), 도소매(-3.0%) 등에서 감소 2. 시도 소매판매 2020년 4/4분기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2개  시·도에서 증가하였으나, 13개는 감소, 1개 보합 경기(0.6%), 경남(0.5%)은  승용차·연료소매점, 대형마트에서 판매가 늘어 증가 (경기) 승용차·연료소매점(7.0%), 대형마트(5.5%)에서 증가 (경남) 승용차·연료소매점(10.9%), 대형마트(0.2%)에서 증가  제주(-32.7%), 서울(-11.7%), 인천(-10.2%), 부산(-7.6%) 등은 면세점, 전문소매점, 백화점, 슈퍼·잡화·편의점에서 판매가 줄어 감소 (제주) 면세점(-73.4%), 전문소매점(-24.6%)에서 주로 감소 (서울) 전문소매점(-14.3%), 면세점(-26.6%), 백화점(-8.4%)에서 주로 감소 (인천) 면세점(-95.8%), 슈퍼·잡화·편의점(-3.8%), 전문소매점(-1.7%)에서 주로 감소 (부산) 전문소매점(-10.9%), 면세점(-75.7%), 백화점(-6.4%)에서 주로 감소 자세히보기 출처: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