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소득격차인 게시물 표시

2023년 소득이동통계: 계층 이동률 34.1%, 청년층이 가장 활발

이미지
소득이동통계란 무엇인가 국가데이터처 가 발표한 「2023년 소득이동통계」는 15세 이상 국민의 소득 변화를 추적해 계층 이동 현황을 분석한 자료입니다. 국세청의 과세자료와 등록센서스를 결합한 약 1,100만 명 규모의 표본을 토대로, 개인의 근로·사업소득 증감, 소득계층 간 상향 또는 하향 이동률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한 국가 통계입니다. 2023년 소득이동성의 주요 결과 2023년 전체 소득이동성은 34.1% 로, 소득 분위 간 이동이 있었던 사람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그중 상향 이동한 비율은 17.3% , 하향 이동한 비율은 16.8% 로 상향 이동이 다소 많았습니다. 소득이 상승한 사람은 전체의 64.0%였고, 하락한 사람은 33.9%로 집계되었습니다. 청년층의 이동성이 가장 높았으며, 노년층으로 갈수록 소득이 고정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구분 전체 남자 여자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 소득이동성 34.1% 33.3% 35.2% 40.4% 31.5% 25.0% 상향 이동 17.3% 16.6% 18.1% 23.0% 14.7% 9.9% 하향 이동 16.8% 16.6% 17.1% 17.4% 16.8% 15.1% 계층 이동의 의미와 향후 변화 전망 1분위(하위 20%)의 소득 탈출률은 29.9% , 5분위(상위 20%) 유지율은 85.9% 로 전년보다 소폭 하락했습니다. 이는 경기 둔화와 고용 불안이 일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됩니다. 앞으로 디지털 산업 성장과 맞춤형 복지정책이 강화되면, 청년층의 상향 이동성이 다시 높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국가데이터처 는 향후에도 소득 분포와 이동 경향을 지속적으로 공개할 예정입니다. 2023년 소득이동통계 자세히 보기

2025년 2분기 가계동향: 소득은 늘고 소비는 줄었다

이미지
2025년 2분기, 소득은 늘었지만 소비는 줄었습니다 2025년 2분기 전국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06만 5천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1% 증가했습니다. 이는 통계청 의 가계동향조사 결과로 확인된 수치입니다. 특히 근로소득과 이전소득이 소폭 상승했으며, 비경상소득은 14.1%나 증가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소득은 늘었지만 소비는 줄어든 배경 같은 기간 가계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283만 6천 원으로 전년 대비 0.8% 증가에 그쳤으며, 실질적으로는 오히려 1.2% 감소했습니다. 식료품, 보건 분야 지출은 늘었지만, 교통·운송(-5.7%), 가정용품·가사서비스(-9.9%) 등은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이는 경기불확실성과 물가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됩니다. 가계 흑자와 소비성향의 변화 가구당 처분가능소득은 402만 4천 원으로 1.5% 증가했고, 흑자액도 3.3% 상승한 118만 8천 원을 기록했습니다. 평균소비성향은 70.5%로 전년 대비 0.5%p 하락했으며, 이는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 방향으로 가계 운영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향후전망 소득 증가에도 불구하고 소비가 위축되는 현상은 경제 회복의 불균형을 시사합니다. 향후 금리, 물가, 고용 등 거시경제 요소가 소비심리 회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취약계층의 실질소득 보강과 소비 진작을 위한 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이미지
2024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는 대한민국 가구의 소득과 지출 패턴을 분석한 중요한 자료입니다. 이 조사는 경제 전반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정책 결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가구당 월평균 소득과 소비지출, 비소비지출 등의 항목에서 눈에 띄는 변화를 보였습니다. 특히, 사업소득과 이전소득이 증가하면서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소폭 증가한 반면, 근로소득은 감소했습니다. 또한, 소비지출의 세부 항목에서도 식료품과 오락, 문화 지출이 크게 증가한 점이 주목됩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2024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자세히 분석하여 독자들에게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겠습니다. 소득 동향 2024년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12만 2천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습니다. 이 중 경상소득은 504만 1천 원으로 2.0% 증가했으며, 근로소득은 329만 1천 원으로 1.1% 감소했습니다. 반면, 사업소득은 87만 5천 원으로 8.9% 증가했고, 이전소득은 81만 8천 원으로 5.8% 증가했습니다. 비경상소득은 8만 1천 원으로 28.2%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소득 구조의 변화는 경제 환경과 정책 변화에 따라 나타난 결과로 보입니다. 특히, 사업소득의 증가는 자영업자들의 경제활동이 활발해졌음을 의미합니다. 소비지출 동향 2024년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 8천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했습니다. 식료품과 비주류음료 지출은 40만 4천 원으로 7.2% 증가했고, 음식 및 숙박 지출은 42만 7천 원으로 5.8% 증가했습니다. 오락 및 문화 지출은 21만 3천 원으로 9.7% 증가하여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반면, 교통 지출은 33만 5천 원으로 1.0% 감소했고, 통신 지출은 12만 9천 원으로 0.7% 감소했습니다. 이와 같은 소비지출 패턴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와 경제 회복에 따른 소비자 행동 변화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비소비지출 동향 2024년 1분기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107만 6...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