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사망원인인 게시물 표시

2024년 사망원인통계로 본 대한민국의 건강 경고등

이미지
2024년 사망원인통계로 본 대한민국의 건강 경고등 우리나라에서 한 해 동안 얼마나 많은 사람이, 어떤 원인으로 생을 마감하는지 아시나요? 통계청 이 발표한 ‘2024년 사망원인통계 결과’는 대한민국의 보건·복지 현실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고령화가 본격화되면서 사망자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만성질환과 정신건강 문제가 주요 원인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 통계는 단순한 숫자 이상으로, 우리가 앞으로 어디에 관심을 두고 대비해야 할지를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2024년 사망, 고령사회가 만든 큰 변화 2024년 대한민국에서 총 35만8천여 명이 사망해 전년 대비 1.7% 증가하였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조사망률은 702.6명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80세 이상 고령층이 전체 사망자의 54.1%를 차지하며, 고령사회 진입이 사망 통계에 본격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사망의 주요 원인이 고연령층에서 발생하고 있는 만큼, 고령자 건강 정책 강화가 절실합니다. ▲ 사망자 수 및 조사망률 추이, 1983-2024)(좌), 연령별 사망자 수 구성비(우) 암, 심장질환, 폐렴…여전히 흔한 사망 원인 사망 원인 1위는 암으로, 인구 10만 명당 174.3명에 달했습니다. 전체 사망자의 24.8%가 암으로 인해 생을 마감했고, 그 뒤를 심장 질환(65.7명), 폐렴(59.0명)이 이었습니다. 자살은 5위(29.1명)로, 전년보다 6.6% 증가하며 심각성을 더했습니다. 이 세 가지 원인이 전체 사망의 42.6%를 차지했습니다. ▲ 사망원인 순위 추이    순위 사망원인 사망률(명/10만명) 전년 대비 1 암 174.3 +4.5% 2 심장질환 65.7 ...

경기도, 통계로 본 경기도민 사망원인 변화 발표

이미지
▲ 2016년 사망원인 순위 경기도민의 사망원인 1위가 악성신생물(암)로 나타난 가운데 폐암 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이어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자살, 폐렴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10년 전에 비해 심장질환, 자살, 폐렴은 순위가 상승한 반면 뇌혈관 질환과 당뇨병, 운수사고는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가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를 분석해 30일 발표한 ‘통계로 본 경기도민 사망원인 변화’에 따르면 2016년 도내 총 사망자 수 5만5,215명 가운데 27.9%(1만5,386명)가 암으로 목숨을 잃었다. 암은 1985년(암사망자 2,851명)부터 32년째 경기도내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6년 암 사망률(인구 10만 명당 명)은 123.0명이고, 암 종류별로 보면 폐암(사망률 26.9명)이 가장 높았고, 간암(16.7명), 대장암(14.1명), 위암(12.9명), 췌장암(9.1명)이 뒤를 이었다. 10년전 대비 폐암 사망률은 3.6명(15.5%), 대장암은 3.0명(27.0%), 췌장암은 3.6명(65.5%) 증가한 반면, 위암 사망률은 4.8명(-27.1%) 감소했다. 연령별로 보면 30대는 위암·유방암, 40~50대는 간암, 60대 이상은 폐암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여성 유방암 사망률이 2016년 9.2명(여성 인구 10만명 당)으로 10년 전(2006년 6.8명)보다 2.4명(35.3%) 증가했으며, 30~50대 여성 암 사망 중 유방암이 1위를 차지했다. 사망원인 순위는 암에 이어 2위가 심장질환(사망자 5,690명), 3위는 뇌혈관 질환(4,511명)이 뒤를 이었으며, 3대 사인인 암, 심장·뇌혈관질환이 전체 사망원인의 절반에 가까운 46.4%(2만5,587명)를 차지했다. 사망원인 가운데 눈에 띄는 변화는 폐렴과 심장질환 사망률 증가이다. 폐렴 사망률(인구10만명당 명)은 2016년 21.5명으로 10년 전(2006년 7.0명)보다 14.5명(207.1%) 증가하면서 순위가 2006년 9위에서 2016...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