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중기부정책인 게시물 표시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4개 은행 확대와 핵심혜택 정리

이미지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란? 중소벤처기업부 가 운영하는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는 근로자의 장기 재직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자산형성 제도입니다. 근로자가 매달 10~50만원을 적립하면 기업이 추가 지원금을 내고 은행이 금리를 우대해 드리는 구조라, 5년 만기 기준 최소 3,980만원 이상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취급은행 확대와 가입 편의성 개선 2024년 12월 15일부터 기존 IBK기업은행·하나은행에 더해 NH농협은행과 KB국민은행이 추가되어 총 4개 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전국 약 2,500개 지점에서 상담 및 접수가 가능해져 중소기업과 근로자 모두에게 접근성이 대폭 개선될 전망입니다. 가입 시 얻을 수 있는 핵심 혜택 다양한 은행 금리우대와 기업 지원금이 결합되어 공제상품 중에서도 가장 높은 실수령 혜택을 제공해 장기근속 유도 효과가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아래 표는 핵심 구조를 한눈에 정리한 것입니다. 항목 내용 근로자 적립 월 10~50만원 선택 납입 기업 지원금 근로자 적립금의 20% 은행 금리우대 최대 연 4.5% 만기 수령액 5년 기준 3,980만원 이상 취급은행 IBK, 하나, 농협, 국민 총 4곳 ▲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상품구조 향후 전망 은행 확대와 상품 다양화로 더 많은 근로자가 장기근속과 자산형성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와 금융권의 협업이 강화되는 만큼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와 근로자 복지 향상에도 긍정적 효과가 기대됩니다.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자세히 보기

비즈플러스카드, 신용점수 완화로 법인 소상공인도 지원

이미지
경영 부담 덜어주는 비즈플러스카드 정책 중소벤처기업부 는 소상공인의 자금 유동성 확보를 위해 ‘비즈플러스카드’ 지원 대상을 확대했습니다. 기존보다 완화된 신용점수 기준은 물론, 법인 소상공인도 신청할 수 있도록 개편되어 많은 소상공인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신용점수 기준 완화, 법인도 신청 가능 비즈플러스카드는 기존 NICE 신용점수 595~839점에서 879점까지 확대되어, 더 많은 소상공인이 신청 가능해졌습니다. 특히 올해 특별재해 피해 소상공인은 그 이상 신용점수여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개인사업자뿐만 아니라 법인 소상공인도 같은 조건으로 신청할 수 있지만, 카드 혜택은 일부 제한됩니다. 구분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무이자할부 최대 6개월 제공 안됨 캐시백 최초 1년 3% 제공 안됨 보증료 없음 연 7.2만원 신청 방법과 향후 기대 효과 개인사업자는 '보증드림' 앱과 IBK카드 앱을 통해 비대면 신청이 가능 하며, 법인은 지역신용보증재단과 기업은행 영업점을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 이번 조치로 더 많은 소상공인이 자금 부담을 덜고 경영 안정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보증드림 앱 다운로드 비즈플러스카드 신청 전, 지역신용보증재단 보증 신청을 위한 필수 앱입니다. 안드로이드와 iOS 버전을 선택해 설치하세요. 보증드림 - Google Play 앱 보증드림 - App Store IBK카드 앱 다운로드 보증 승인 후 카드 발급을 위해 사용하는 앱입니다. 스마트폰에서 직접 신청이 가능한 비대면 절차를 지원합니다. IBK카드 - Google Play 앱 IBK카드 - App Store

부담경감 크레딧 사용처, 8월 11일 부터 통신비와 차량 연료비까지 확대

이미지
소상공인을 위한 부담경감 크레딧, 통신비와 연료비도 지원됩니다 중소벤처기업부 는 소상공인의 고정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부담경감 크레딧’ 사용처를 확대하기로 하였습니다. 이번 조치는 경영환경이 어려운 소상공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결정입니다.     사용처 확대, 경영 부담 덜어주는 실질 정책 중소벤처기업부는 8월 11일부터 기존 7개 사용처(전기·가스·수도, 국민연금, 건강·고용·산재보험)에 더해 통신비와 차량 연료비도 지원 대상에 포함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건물관리비에 공과금이 포함되어 크레딧 사용이 어려웠던 집합건물 입주 소상공인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신청은 ‘ 부담경감크레딧.kr ’에서 가능하며,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 이번 조치로 더 많은 소상공인이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부는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지원 대상을 더욱 넓히고 신청 절차도 간소화할 예정입니다.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