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민간부문고용인 게시물 표시

장애인 고용률, 2023년 기준 공공부문 3.86%·민간부문 2.99% 10년간 상승세

이미지
2023년 장애인 고용률이 전년 대비 상승하며 3.17%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고용노동부 가 발표한 장애인 의무고용현황에 따른 결과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모두 장애인 고용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2023년 장애인 고용현황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고, 공공 및 민간부문에서의 고용률 변화와 향후 장애인 고용 증대 방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2023년 장애인 고용현황 개요 2023년 장애인 고용률은 전년 대비 0.05%p 상승한 3.17%로 나타났습니다. 공공부문은 3.86%, 민간부문은 2.99%로, 전체적으로 고용률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상시근로자 50명 이상 사업체가 의무고용대상으로 포함되었으며, 32,316개소의 사업체가 해당되었습니다. 2023년 장애인 고용인원은 12,500명 증가하여 총 215,195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공공부문 장애인 고용률 분석 공공부문에서는 자치단체가 5.9%로 가장 높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공공기관은 3.90%, 중앙행정기관은 3.43%, 헌법기관은 2.86%, 교육청은 2.51%로 나타났습니다. 자치단체는 일자리 사업에 장애인을 적극적으로 채용하고, 공공기관은 ‘장애인 고용현황 공시 의무화’ 등의 정책이 효과를 발휘했습니다. 정부부문에서 공무원과 비공무원의 고용률은 각각 2.86%, 6.14%로 비공무원이 의무고용률을 크게 상회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민간부문 장애인 고용률 분석 민간부문의 장애인 고용률은 2.99%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1,000인 이상 기업의 고용률이 전년 대비 0.11%p 상승하여 전체 장애인 고용률 상승의 주요 요인이 되었습니다. 장애인 고용인원은 215,195명으로, 500인 이상 기업이 전체의 51%를 차지하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민간기업의 경우, 장애인 고용을 어려워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한 컨설팅 확대와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 규제 완화 등의 지원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고용 증대 방안 고용노동부는 장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