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식량가격지수인 게시물 표시

2021년 8월 세계식량가격지수 곡물, 설탕, 유지류 지수 상승

이미지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FAO) 에 따르면, 2021년 8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23.5포인트) 대비 3.1% 상승한 127.4포인트를 기록하였다. * FAO 식량가격지수 : 1996년 이후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모니터링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로 매월 작성․발표(2014-2016년 평균=100) * 7월 육류(110.3→111.7), 유제품(116.5→116.7) 가격이 보정되어 7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23.0→123.5) 곡물·설탕·유지류·육류 가격지수가 상승하였으며, 유제품 가격지수는 소폭 하락하였다. * 식량가격지수: (2021.1월) 113.3 → (2월) 116.4 → (3월) 119.1 → (4월) 121.9 → (5월) 127.8 → (6월) 125.0 → (7월) 123.5 → (8월) 127.4 (곡물) 2021년 7월(125.5포인트)보다 3.4% 상승한 129.8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31.1% 상승) 밀은 일부 수출국의 예상 수확량이 감소하여 가격이 상승하였다. 옥수수는 아르헨티나, EU, 우크라이나의 생산 개선 전망으로 가격이 하락하였다. 보리는 캐나다, 미국의 생산량 감소 전망과 밀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설탕) 2021년 7월(109.6포인트)보다 9.6% 상승한 120.1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48.1% 상승) 설탕은 세계 최대 수출국인 브라질에서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고 작물에 서리 피해가 우려되어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지류) 2021년 7월(155.4포인트)보다 6.7% 상승한 165.7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67.9% 상승) 팜유는 주요 생산국인 말레이시아의 생산량이 예상보다 적어 재고 감소가 우려되면서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채씨유는 세계 공급량 감소가 전망되는 상황에서 EU 내 수요가 견고하여 가격이 상승하였다. 해바라기씨유는 2021/22년도 수확분이 아직 시장에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흑해지역의 수출 가능 물량이 적어

2021년 7월 세계식량가격지수 곡물·유제품·유지류 지수 하락

이미지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FAO) 에 따르면, 2021년 7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24.6포인트) 대비 1.2% 하락한 123.0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육류·설탕 지수가 소폭 상승하였으나 곡물·유제품·유지류 지수 하락으로 인해 전체 식량가격지수가 하락하였다. * 식량가격지수: (2021.1월) 113.3 → (2월) 116.4 → (3월) 119.1 → (4월) 121.9 → (5월) 127.8 → (6월) 124.6 → (7월) 123.0 (곡물) 2021년 6월(129.4포인트)보다 3.0% 하락한 125.5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29.6% 상승) 옥수수는 아르헨티나의 생산량이 예상보다 많고, 미국 생산 전망 또한 개선되어 가격이 하락하였다. 쌀은 높은 운임 비용과 물류 장애로 인해 판매가 느리게 진행되고 신곡이 유입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밀은 북미 지역의 건조한 날씨와 유럽 일부 지역의 폭우로 인해 작황이 우려되어 가격이 상승하였다. 보리와 수수는 주로 수입 수요 약세로 인하여 가격이 하락하였다. (유제품) 2021년 6월(119.9포인트)에서 2.8% 하락한 116.5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14.5% 상승) 세계 수입 수요의 감소로 인하여 탈지분유, 버터, 전지분유, 치즈 순으로 가격 하락 폭이 컸다. 여름휴가로 인해 북반구 시장 활동이 둔화되고 오세아니아 지역산 수출 공급량 증가에 대한 기대감 역시 유제품 가격 하락에 기여하였다. (유지류) 2021년 6월(157.5포인트)보다 1.4% 하락한 155.4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66.7% 상승) 팜유는 특히 말레이시아에서 이주 노동자가 부족한 가운데 주요 생산국의 생산량이 예상보다 낮게 나타남에 따라 가격이 소폭 상승하였다. 대두유는 아르헨티나의 바이오디젤 혼합 의무비율이 하향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유채씨와 해바라기씨유는 세계 수입 수요 감소 및 공급량 증가 전망에 따라 가격이 하락하였다. (육류) 2021년 6월(109.4포인트)보다 0.8% 상승한 110.3포인트 기록(

2021년 6월 세계식량가격지수 하락, 곡물 및 유지류 공급량 증가

이미지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FAO) 에 따르면, 2021년 6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27.8포인트) 대비 2.5% 하락한 124.6포인트를 기록하였다. * FAO 식량가격지수 : 1996년 이후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모니터링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로 매월 작성․발표(2014-2016년 평균=100) * 5월 육류(105.0→107.4), 유제품(120.8→121.1), 곡물(133.1→132.8), 설탕(106.7→106.8) 가격이 보정되어 5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27.1→127.8) 곡물·유지류·유제품 지수가 육류·설탕 지수 상승분 이상으로 하락하여 전체 식량가격지수가 하락하였다. * 식량가격지수: (2021.1월) 113.3 → (2월) 116.4 → (3월) 119.1 → (4월) 121.9 → (5월) 127.8→ (6월) 124.6 (곡물) 2021년 5월(132.8포인트)보다 2.6% 하락한 129.4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33.8% 상승) 옥수수는 아르헨티나와 가뭄에 시달리던 브라질에서 수확이 이어지면서 공급량이 증가하였고 미국 일부 지역에서 내린 비로 작황 여건이 개선됨에 따라 가격이 하락하였다. 밀은 주요 생산국의 생산 전망이 개선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쌀은 높은 운송비용과 컨테이너 부족으로 수출이 잘되지 않아 가격이 하락하였다. (유지류) 2021년 5월(174.7포인트)보다 9.8% 하락한 157.5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81.9% 상승) 팜유는 계절적으로 주요 생산국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신규 수입 수요가 부족하여 가격이 하락하였다. 대두유와 해바라기씨유 역시 수입 수요 감소로 가격이 하락하였다. 대두유의 경우, 미국 바이오디젤 생산자들이 예상보다 대두유를 적게 이용할 것이라는 전망도 가격 하락에 기여했다. (유제품) 2021년 5월(121.1포인트)에서 1.0% 하락한 119.9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22.0% 상승) 버터는 세계 수입 수요가 감소하고,

2021년 5월 세계식량가격지수, 유지류·설탕·곡물 지수 크게 상승

이미지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FAO) 에 따르면, 2021년 5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21.3포인트2) ) 대비 4.8% 상승한 127.1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유지류·설탕·곡물 지수가 크게 상승하였고 육류·유제품 지수는 상승세를 유지하여 전체 지수가 상승하였다. * 식량가격지수: (2021.1월) 113.3 → (2월) 116.4 → (3월) 119.1 → (4월) 121.3  → (5월) 127.1 (곡물) 2021년 4월(125.6포인트)보다 6.0% 상승한 133.1포인트 기록(전년동월 대비 36.6% 상승) 옥수수는 국제 공급량이 충분치 않고 브라질 생산 전망이 하향 조정된 가운데 수요가 높아 가격이 크게 상승하였다. 다만, 미국 생산 전망이 상향 조정됨에 따라 5월말부터 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했다. 밀은 5월초 가격이 올랐다가 EU와 미국의 작황 개선에 따라 가격이 하락하였다. 쌀은 물류 및 운송비용과 연결된 교역 제약으로 인해 가격 변동이 거의 없었다. (유지류) 2021년 4월(162.0포인트)보다 7.8% 상승한 174.7포인트 기록(전년동월 대비 124.6% 상승) 팜유는 동남아시아 국가의 생산량 증가가 둔화되고 세계 수입수요는 증가하면서 주요 수출국의 재고수준이 낮게 유지되어 가격이 상승하였다. 대두유는 바이오디젤 부문 등 세계적으로 높은 수요가 예상되어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채씨유는 국제 공급부족이 계속되어 가격이 상승하였다. (설탕) 2021년 4월(100.0포인트)보다 6.8% 상승한 106.7포인트 기록(전년동월 대비 57.4% 상승) 설탕은 최대 수출국인 브라질의 건조한 날씨로 인한 수확 지연과 생산량 감소 우려, 국제 원유가격 상승, 브라질 헤알화 강세 등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였다. (육류) 2021년 4월(102.7포인트)보다 2.2% 상승한 105.0포인트 기록(전년동월 대비 10% 상승)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의 수입 증가와 더불어, 쇠고기‧양고기 도축 둔화, 가금육‧돼지고기 주요 생산지역 내 수요 증가로 인해 공급량이

2021년 4월 세계식량가격지수, 상승폭 둔화

이미지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FAO) 에 따르면, 2021년 4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18.9포인트 3월 육류(98.9→100.1), 유제품(117.4→117.5) 가격이 보정되어 3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18.5→118.9) ) 대비 1.7% 상승한 120.9포인트를 기록하였다.  * FAO 식량가격지수 : `90년 이후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모니터링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로 매월 작성․발표(2014-2016년 평균=100) * 3월 육류(98.9→100.1), 유제품(117.4→117.5) 가격이 보정되어 3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18.5→118.9) 설탕 가격이 가장 크게 상승하였고 곡물 등 다른 품목지수도 상승하였으나, 전체 상승폭은 전월보다 다소 둔화되었다. * 식량가격지수: (2021.1월) 113.3 → (2월) 116.4 → (3월) 118.9 → (4월) 120.9  * 전월대비 상승률: (2021.1→2월) 2.7%↑, (2→3월) 2.1%↑, (3→4월) 1.7%↑ (곡물) 2021년 3월(123.6포인트)보다 1.2% 상승한 125.1포인트 기록(전년동월 대비 26% 상승) 옥수수는 미국의 파종 면적 추정치가 예상보다 낮고 아르헨티나·브라질·미국 등의 작황 부진이 우려되는 가운데, 지속적인 수요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였다. 밀은 미국과 유럽 국가들의 작황 부진에 대한 우려와 옥수수 가격 상승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세계 생산 전망이 양호할 것으로 예상되어 가격이 안정세를 보였다.  쌀은 컨테이너 수급 애로 등 물류 제약 및 운송비용 상승에 따라 수출 수요가 감소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설탕) 2021년 3월(96.2포인트)보다 3.9% 상승한 100.0포인트 기록(전년동월 대비 58.2% 상승) 설탕은 브라질의 사탕수수 수확 지연과 프랑스의 냉해로 공급 부족이 우려되는 가운데, 최대 수출국인 브라질의 헤알화가 미국 달러 대비 강세를 보이면서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지류) 202

2021년 3월 세계식량가격지수, 상승폭 둔화

이미지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FAO) 에 따르면, 2021년 3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16.1포인트) 대비 2.1% 상승한 118.5포인트를 기록하였다. * FAO 식량가격지수 : ’90년 이후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모니터링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로 매월 작성·발표(2014-2016년 평균=100) * 2월 육류(96.4→96.7), 유제품(113.0→113.1) 가격이 보정되어 2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16.0→116.1) 유지류는 상승하였으나 작년 5월이후 지속 상승하던 곡물 가격은 처음으로 하락하여, 전체 상승폭은 전월보다 다소 둔화되었다. * 식량가격지수: (2020.12월) 108.5 → (2021.1월) 113.3 → (2월) 116.1 → (3월) 118.5 * 전월대비 상승률: (2020.12→2021.1월) 4.3%↑, (2021.1→2월) 2.4%↑, (.2→3월) 2.1%↑ (곡물) 2021년 2월(125.7포인트)보다 1.7% 하락한 123.6포인트 기록(전년동월 대비 26.5% 상승) 밀은 올해 전반적으로 생산·공급이 양호할 것으로 전망되어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였다. 쌀은 새로 수확한 작물이 시장에 공급되어 가격이 하락하였고, 중국 수요에도 불구하고 옥수수·보리 가격은 하락하였다. (설탕) 2021년 2월(94.2포인트)보다 4.0% 하락한 96.2포인트 기록(전년동월 대비 30.2% 상승) 중국의 설탕 수요가 높고, 원유가격 상승으로 에탄올 생산이 활발해져 설탕 생산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과 동시에, 인도의 설탕 수출량 증가가 예상되어 설탕 가격이 소폭 하락하였다. (유지류) 2021년 2월(147.4포인트)보다 8.0% 상승한 159.2포인트 기록(전년동월 대비 86.2% 상승) 팜유는 주요 수출국의 낮은 재고수준에 대한 지속적인 우려와 국제 수입수요의 점진적 회복으로 10개월 연속 가격이 상승하였다. 대두유는 바이오디젤 부문의 높은 수요가 전망됨에 따라 가격이 크게

2021년 2월 세계식량가격지수, 상승세 지속

이미지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FAO) 에 따르면, 2021년 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13.2포인트) 대비 2.4% 상승한 116.0포인트를 기록하였다. * FAO 식량가격지수 : ’90년 이후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모니터링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로 매월 작성․발표(2014-2016년 평균=100) * 1월 육류(96.0.→95.8), 유제품(111.0→111.1) 가격이 보정되어 1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13.3→113.2) * 식량가격지수: (2020.1월)102.5→(3월)95.1→(5월)91.0→(7월)93.9→(9월)97.9→(11월)105.4→(12월)108.5→(2021.1월)113.2→(2월)116.0 이는 지난 1월 세계식량가격지수(113.2포인트)가 전월대비 4.3% 상승했던 것보다 상승폭이 줄어든 것이다. (곡물) 2021년 1월(124.2포인트)보다 1.2% 상승한 125.7포인트 기록, 지난달(7.2% 상승)보다는 상승률 소폭 하락(전년동월 대비 26.5% 상승) 수수 가격 상승이 곡물가격지수 상승의 가장 큰 원인인데, 중국의 수요가 높아서 전월대비 17.4% 상승하였다. 옥수수는 세계수출물량이 감소하고 수입수요가 높아 가격이 상승하였고, 쌀은 특히 인디카·자포니카종 수요 증가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밀 가격은 큰 변동이 없었다. (유지류) 2021년 1월(138.8포인트)보다 6.2% 상승한 147.4포인트 기록(전년동월 대비 51% 상승) 팜유와 유채씨유는 동남아시아·EU 등의 주요 수출국 생산량 전망치가 예상보다 낮아 가격이 상승하였다. 해바라기씨유는 흑해 지역의 수출물량이 부족하고 대두유 또한 국제 공급량이 부족하여 가격이 상승하였다.  (설탕) 2021년 1월(94.2포인트)보다 6.4% 상승한 100.2포인트 기록, 지난달(8.1% 상승)보다는 상승률 소폭 하락(전년동월 대비 9.6% 상승) 원유 가격 상승으로 세계 최대 설탕 수출국인 브라질이 설탕 대신 에탄올 생산

2021년 1월 세계식량가격지수, 상승 추세 지속

이미지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FAO) 에 따르면, 2021년 1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08.6포인트) 대비 4.3% 상승한 113.3포인트를 기록하였다. * FAO 식량가격지수 : ’90년 이후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모니터링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로 매월 작성․발표(2014-2016년 평균=100) * 12월 육류(94.3→95.1), 유제품(108.8→109.3), 곡물(115.7→115.9), 유지류(127.6→131.1), 설탕(87.0→87.1) 가격이 보정되어 12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07.5→108.6) * 식량가격지수 : (2020.1월)102.5→(3월)95.1→(5월)91.0→(7월)94.0→(9월)97.9→(11월)105.4→(12월)108.6→(2021.1월)113.3 (곡물) 2020년 12월(115.9포인트)보다 7.2% 상승한 124.2포인트 기록(전년동월 대비 23.6% 상승) 옥수수는 미국의 생산량 저조 및 재고 감소, 중국의 대량 구매, 아르헨티나의 수출 일시중단 및 건조한 날씨 영향 등으로 인해 가격이 전월 대비 11.2%, 전년동월 대비 42.3% 상승하였다. 밀은 옥수수 가격 강세, 높은 국제 수요, 3월 이후 러시아산 판매량 감소 전망에 따라 가격이 6.8% 상승하였다. 쌀은 아시아·아프리카의 높은 수요와 태국·베트남의 공급량 부족으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였다. 보리는 수요 증가와 옥수수·밀·대두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지류) 2020년 12월(131.1포인트)보다 5.9% 상승한 138.8포인트 기록(전년동월 대비 27.7% 상승) 팜유는 폭우로 인해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의 생산량이 예상보다 저조하여 가격이 8년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대두유는 아르헨티나의 파업 장기화와 수출량 감소로 8개월 연속 가격이 상승하였다. 해바라기씨유는 2020/21년 수확량 감소에 따른 세계 공급량 부족으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육류) 2020년 12월(

2020년 12월 세계식량가격지수, 7개월 연속 상승

이미지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FAO) 에 따르면, 2020년 1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05.2포인트) 대비 2.2% 상승한 107.5포인트를 기록하였다. * 식량가격지수:(2020.1월)102.5→(2월)99.4→(3월)95.1→(4월)92.4→(5월)91.0→(6월)93.1→(7월)94.0→(8월)95.8→(9월)97.9→(10월)101.2→(11월)105.2→(12월)107.5 * 11월 육류(91.9→92.7), 유제품(105.3→105.4) 가격이 보정되어 11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05.0→105.2) 식량가격지수 품목군 중 곡물․유지류․유제품․육류 가격은 상승, 설탕 가격은 하락하였다. 2020년 평균 식량가격지수는 97.9포인트로 전년 대비 3.1% 상승하였다. 1. 상승 품목군 (곡물) 11월(114.4포인트)보다 1.1% 상승한 115.7포인트 기록(전년동월대비 19.0% 상승) 밀은 주요 수출국의 공급량 감소 및 미국·러시아 생산량 감소 우려와 함께 러시아의 수출 쿼터 발표 이후 밀 선적량 감소 전망 등이 반영되어 가격이 상승하였다. 옥수수는 남미 생산량 감소 우려와 대두 가격 상승에 따른 파급 효과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였다. 쌀은 태국·베트남산 공급량 감소와 인도·파키스탄산에 대한 수요 증가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2020년 평균 곡물가격지수는 102.7포인트로 전년 대비 6.6% 상승하였고, 2014년 이후 가장 높은 값을 기록하였다. (유지류) 11월(121.9포인트)보다 4.7% 상승한 127.6포인트 기록(전년동월대비 25.7% 상승) 팜유는 수출세를 인상한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주요 생산국의 공급량 부족으로 7개월 연속 가격이 상승하였다. 대두유는 아르헨티나의 장기 파업이 대두 분쇄량과 항만 물류에 영향을 미쳐 수출량이 감소함에 따라 7년만에 최고 수준으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채씨유·해바라기씨유는 수요 증가와 팜유 가격 상승이 맞물려 가격이 상승하였다. 2020년 평균 유지류가격지수는 99.1포인트로 전년 대비 19.1% 상승

2020년 11월 세계식량가격지수, 6개월 연속 상승

이미지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FAO) 에 따르면, 2020년 11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01.0포인트) 대비 3.9% 상승한 105.0포인트를 기록하였다. * FAO 식량가격지수 : 1990년 이후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모니터링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로 매월 작성․발표(2014-2016년 평균=100) * 10월 육류(90.7→91.1), 유제품(104.4→104.3), 설탕(85.0→84.7), 가격이 보정되어 10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00.9→101.0) * 식량가격지수(2020년):(1월)102.5→(2월)99.4→(3월)95.1→(4월)92.4→(5월)91.0→(6월)93.1→(7월)94.0→(8월)95.8→(9월)97.9→(10월)101.0→(11월)105.0 식량가격지수를 구성하는 품목군인 곡물·육류·유제품·유지류·설탕 가격이 모두 상승하였다. (곡물) 10월(111.6포인트)보다 2.5% 상승한 114.4포인트 기록(전년동월대비 19.9% 상승) 밀은 수출 물량 감소 및 아르헨티나 수확량 감소 전망으로, 사료용 보리 및 수수는 수요 증가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였다. 옥수수는 주요 수출국인 미국·우크라이나의 올해 생산량 추정치가 감소하였고 중국이 대량 구매를 이어감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였다. 쌀은 일부 동남아시아국가의 수출 물량이 충분치 않으나 수요가 많지 않고 다른 주요 생산국의 생산량이 많아 가격 안정세를 유지하였다. (유지류) 10월(106.4포인트)보다 14.5% 상승한 121.9포인트 기록(전년동월대비 30.8% 상승) 팜유는 주요 생산국의 생산량이 예전보다 적고 세계의 수입 수요는 높아서 가격이 6개월 연속 상승하였다. 대두유는 남미의 수출 물량 감소와 인도의 수입 수요 증가로, 유채씨유 및 해바라기씨유는 공급량 부족으로 인해 각각 가격이 상승하였다. 한편, 유가 상승도 유지류 가격 상승에 영향을 주었다. (설탕) 10월(84.7포인트)보다 3.3% 상승한 87.5포인트 기록(

2020년 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 곡물·설탕·유제품·유지류 상승

이미지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FAO) 에 따르면, 2020년 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97.8포인트) 대비 3.1% 상승한 100.9포인트를 기록하였다. * FAO 식량가격지수: `90년 이후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모니터링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로 매월 작성․발표(2014-2016년 평균=100) * 식량가격지수(2010년):(1월)102.5→(2월)99.4→(3월)95.1→(4월)92.4→(5월)91.0→(6월)93.1→(7월)94.0→(8월)95.8→(9월)97.8→(10월)100.9 지난달보다 곡물․설탕․유제품․유지류 가격은 상승, 육류 가격은 하락하였다. 1. 상승 품목군 (곡물) 9월(104.0포인트)보다 7.3% 상승한 111.6포인트 기록(전년동월대비 16.6% 상승) 밀은 건조한 기후로 인해 유럽·북미·흑해 지역 겨울밀 작황이 좋지 않고 수출 물량이 감소한 가운데 국제 수요가 높아 가격이 상승하였다. 옥수수는 중국의 수입 증가와 미국 재고량 감소, 브라질·우크라이나의 수출 물량 감소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였다. 사료용 보리·수수는 수요가 많고 밀·옥수수 가격 상승의 파급효과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쌀은 아시아 지역에서 수확이 진행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설탕) 9월(79.0포인트)보다 7.6% 상승한 85.0포인트 기록(전년동월대비 9.3% 상승) 설탕은 세계 최대 설탕 생산국인 브라질·태국·인도에서 강수량 저하로 생산 감소가 전망되어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제품) 9월(102.2포인트)에서 2.2% 상승한 104.4포인트 기록(전년동월대비 3.5% 상승) 계절적으로 유럽 지역 생산량은 최저 수준이고 오세아니아 지역 수출량은 향후 감소가 예상되는 가운데 아시아·중동 지역의 수요가 증가하여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지류) 9월(104.6포인트)보다 1.8% 상승한 106.4포인트 기록(전년동월대비 26.5% 상승, 9개월 만에 최고치) 팜유는 국제 수요는 높으나 주요국 생산량이 예상보다

2020년 9월 세계식량가격지수, 곡물·유지류 가격의 영향으로 소폭 상승

이미지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0년 9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95.9포인트) 대비 2.1% 상승한 97.9포인트를 기록하였다. * FAO 식량가격지수 : 1990년 이후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모니터링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로 매월 작성․발표(2014-2016년 평균=100) * 식량가격지수(2020년):(1월)102.5→(2월)99.4→(3월)95.1→(4월)92.4→(5월)91.0→(6월)93.1→(7월)94.0→(8월)95.9→(9월)97.9 * 8월 육류(93.2→92.4), 유제품(102.0→102.1), 곡물(98.7→99.0) 가격이 보정되어 8월 식량가격지수 조정(96.1→95.9) 곡물·유지류 가격은 상승, 설탕․육류 가격은 하락했으며, 유제품 가격은 안정세를 나타냈다. 1. 상승 품목군 (곡물) 2020년 8월(99.0포인트)보다 5.1% 상승한 104.0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13.5% 상승, 밀·옥수수·수수↑, 쌀↓) 밀은 남반구의 생산량이 충분치 못할 것이라는 전망과 건조기후가 유럽 내 겨울 밀 파종에 악영향을 주고 있는 상황에서 무역이 활발해짐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였다. 옥수수는 유럽의 생산량 감소와 미국의 공급량 감소가 예상되어 가격이 상승하였고, 수수는 중국의 수입 수요가 여전히 높아 가격이 상승하였다. 쌀은 북반구에서 수확기에 접어들고 신규 수요가 둔화됨에 따라 가격이 하락하였다. (유지류) 2020년 8월(98.7포인트)보다 6.0% 상승한 104.6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24.7% 상승) 팜유는 국제 수입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말레이시아의 재고 수준이 예상보다 적고 동남아시아의 생산량 전망이 불확실하여 가격이 상승하였다. 해바라기씨유는 흑해지역의 작물 생산 감소 전망으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대두유는 남미지역에서의 생산 부진과 미국 바이오디젤 산업의 수요 증가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2. 하락 품목군 (설탕) 2020년 8월(81.1포인

2020년 8월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 대비 2% 상승

이미지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0년 8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94.3포인트) 대비 2.0% 상승한 96.1포인트를 기록하였다. * 7월 육류(93.0→93.1), 유제품(101.8→102.0) 가격이 보정되어 7월 식량가격지수 조정(94.2→94.3) 8월 식량가격지수는 지난 6월부터 오르기 시작하여 코로나19 확산 초기(2~3월) 수준이 되었다. * 식량가격지수:(2020.1월)102.5→(2020.2월)99.4→(2020.3월)95.1→(2020.4월)92.4→(2020.5월)91.0→(2020.6월)93.1→(2020.7월)94.3→(2020.8월)96.1 육류·유제품 가격 지수는 지난달과 비슷하나, 곡물·유지류·설탕 가격 지수는 지난달 및 전년 동월 대비 모두 상승하였다. 1. 안정 품목군 (육류) 2020년 7월(93.1포인트) 대비 0.1% 상승한 93.2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8.9% 하락) 쇠고기 및 가금육은 주요 생산지의 도축·가공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입 추이 둔화로 가격이 하락하였다. 양고기는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공급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수입 수요가 위축되어 가격이 하락하였다. 반면, 돼지고기 가격은 4개월 연속 하락세를 마감하고 상승하였다. 도축량 감소와 일부 지역의 가공공장 폐쇄 연장으로 인한 국제 공급 위축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수입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유제품) 2020년 7월(102.0포인트)과 동일한 102.0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1.7% 상승) 치즈와 전지분유는 2020/21년도 오세아니아 지역의 수출 가용량이 충분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가격이 하락하였다. 반면, 버터는 유럽 내 수요 증가와 8월 폭염으로 인한 우유 생산량 감소로 버터 수출 가용량이 줄어들어 가격이 상승하였다. 탈지분유는 국제적으로 수입 수요가 꾸준히 존재하고 유럽 내 우유 생산량이 감소함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였다. 2. 상승 품목군 (곡물) 2020년 7월(96.9포인트)보다 1.9% 상승한 98.7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

2020년 7월 FAO 세계식량가격지수 소폭 상승

이미지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0년 7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93.1포인트)대비 1.2% 상승한 94.2포인트를 기록하였다. * 6월 육류(95.2→94.7), 유제품(98.2→98.3), 곡물(96.9→96.8), 설탕(75.0→74.9) 가격이 보정되어 6월 식량가격지수 조정(93.2→93.1) 식량가격지수 상승은 주로 유제품과 유지류 가격의 상승에서 비롯되었다. * 식량가격지수:(2020.1월)102.5→(2020.2월)99.4→(2020.3월)95.1→(2020.4월)92.4→(2020.5월)91.0→(2020.6월)93.1→(2020.7월)94.2 그 외에도 곡물 가격은 소폭 상승했으나 안정적인 수준이고, 설탕 가격은 상승, 육류 가격은 하락하였다. 1. 안정 품목군 (곡물) 2020.6월(96.8포인트)보다 0.1% 상승한 96.9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0.4% 상승) 쌀 가격은 올해 생산 증가 전망과 경제활동 침체로 인해 하락하여 최근 4개월 내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밀 가격은 미달러화 약세, 유럽·아르헨티나·흑해 지역 생산 감소 전망, 교역 활동 저조, 호주 생산 증가 전망 등의 요소가 종합되어 전월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옥수수·수수 가격은 각각 6월 대비 3.7%, 5.8% 상승하였는데, 주로 미·중 1단계 무역협정 이행에 따른 중국의 미국산 옥수수·수수 대량 구매, 기후 전망, 미달러화 약세 등이 원인이다. 2. 상승 품목군 (유제품) 2020.6월(98.3포인트)보다 3.6% 상승한 101.8포인트 기록(전년 동월 대비 0.7% 상승) 전지분유 가격은 2020/21년도 오세아니아 지역의 수출이 충분할 것이라는 전망에도 불구하고 아시아 지역의 수입 수요가 높아 상승하였다. 버터·치즈 가격은 수출 공급이 감소하는 가운데 유럽을 중심으로 수입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여 상승세를 유지하였다. (유지류) 2020.6월(86.6포인트)보다 7.6% 상승한 93.2포인트 기록(5개월 내 최고치) 팜유 가격은 집중호우로 인한 주요국 생

2020년 5월 FAO 세계식량가격지수 4개월 연속 하락

이미지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0년 5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65.6포인트 4월 육류(168.8→169.3), 곡물(164.0→163.7)가격이 보정되어 4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65.5→165.6) ) 대비 1.9% 하락한 162.5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식량 수요가 감소하고 공급이 증가하여 17개월만의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다. * 식량가격지수: (2019.12월)181.5→(2020.1월)183.0→(2020.2월)179.5→(2020.3월)171.1→(2020.4월)165.6→(2020.5월)162.5 품목군별로 보면 곡물·육류·유제품·유지류 가격은 하락하였고, 설탕 가격은 상승하였다. < 하락 품목군 > (곡물) 2020.4월(163.7포인트)보다 1.0% 하락한 162.2포인트 기록 주요 곡물 중 쌀 가격은 상승하고, 밀과 잡곡 가격은 하락하여 전반적인 곡물가격지수는 전월보다 하락하였다. 쌀 가격은 주로 자포니카쌀과 바스마티쌀 가격 상승에 따라 전월 대비 1% 상승하였다. 인디카쌀(장립종) 가격도 환율 변동 및 필리핀·말레이시아 수요 증가의 영향으로 상승하였다. 밀 가격은 전월 대비 약 2% 하락하였는데 이는 북반구 지역의 밀 수확 시기가 도래하여 국제 공급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기 때문이다. 옥수수 가격 역시 공급량 증가와 사료 및 바이오 연료 수요 감소로 하락하였고, 특히 미국산 옥수수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16% 낮은 수준을 기록하였다. (육류) 2020.4월(169.3포인트) 대비 0.8% 하락한 168.0포인트 기록(5개월 연속 하락) 돼지고기·닭고기 가격은 하락 추세인데, 동아시아 국가의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수입수요가 소폭 증가하였으나 주요 수출국의 공급량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양고기 가격은 경기침체와 물류장애로 인한 중동국가의 수입 수요 감소 영향으로 소폭 하락하였다. 반면, 쇠고기 가격은 브라질과 오세아니아의 공급량이 감소한 가운데 수입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였다. (유제품

2020년 4월 FAO 세계식량가격지수 3개월 연속 하락

이미지
▲ 식량가격지수 (연도별 ․ 품목별)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0년 4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71.3포인트 3월 육류(176.0→173.5), 곡물(164.6→164.3)가격이 보정되어 3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72.2→171.3) ) 대비 3.4% 하락한 165.5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해 생산·유통에 장애가 있었으나, 세계식량가격지수는 3개월 연속 하락하여 2019년 1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 식량가격지수: (2019.11월)176.8→(2019.12월)181.5→(2020.1월)183.0→(2020.2월)180.0→(2020.3월)171.3→(2020.4월)165.5 품목군별로 보면 곡물 가격은 안정적인 수준이며, 육류·유제품·유지류·설탕 가격은 하락하였다. < 안정 품목군 > ※ -0.4%∼+0.4% 이내의 변동은 안정세로 간주(소수 둘째자리 반올림) (곡물) 2020.3월(164.3포인트)보다 0.2% 하락한 164.0포인트 기록 주요 곡물 중 밀과 쌀 가격은 상승하였고 옥수수 가격은 하락하여 전반적인 곡물가격지수는 전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됐다. 밀 가격은 전월 대비 2.5% 상승하였는데, 이는 국제 수요가 존재함에도 러시아가 곡물 수출 할당량(쿼터) 소진에 따라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이외 국가에 대한 수출을 중단하였기 때문이다. 쌀 가격은 일부 국가의 임시 수출제한 및 물류장애로 인해 전월 대비 7.2% 상승했다. 다만, 베트남이 4월말 수출제한을 단계적으로 완화·철폐하여 추가적인 상승은 없었다. 한편, 옥수수 가격은 3개월 연속 하락하여 이에 따른 잡곡가격지수가 전월 대비 10% 하락했다. 사료 및 바이오 에탄올 수요가 감소하고 남미의 신규 수확 물량이 추가되어 공급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 하락 품목군 > (육류) 2020.3월(173.5포인트) 대비 2.7% 하락한 168.8포인트 기록(4개월 연속 하락) 코로나19로 인한 노동력 부족으로 육류 가공이 감소

2020년 3월 FAO 세계식량가격지수 2개월 연속 하락

이미지
▲ 식량가격지수 (연도별 ․ 품목별) UN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0년 3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4.3% 하락한 172.2포인트를 기록했다. 식량가격지수는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감소로 인해 2개월 연속 하락하였으며, 전년 동월(167.6포인트) 대비 2.7% 상승하였다. * 식량가격지수:(2019.10월)172.0→(11월)176.8→(12월)181.5→(2020.1월)183.0→(2020.2월)180.0→(2020.3월)172.2 곡물, 식물성유지, 유제품, 육류, 설탕이 모두 하락했다. < 하락 품목군 > (곡물) 2020.2월(167.8포인트)보다 1.9% 하락한 164.6포인트 기록 쌀을 제외한 주요 곡물의 가격이 2개월 연속 하락했다. 밀 가격은 코로나19에 대한 우려로 북아프리카 국가들의 교역이 증가하고 러시아가 소규모 수출제한 조치를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양호한 작황 전망 등으로 하락했다. 옥수수 가격 또한 풍부한 공급량과 바이오연료 부문의 수요가 원유가격 급락으로 감소함에 따라 하락했다. 반면, 쌀 가격은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2018년 6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이는 인디카쌀 가격이 상승한 데 따른 것이다. 인디카쌀 가격은 코로나19에 대한 우려로 인한 재고 비축 확대 및 베트남의 신규 수출계약 중단 등에 따라 상승하였다. (식물성 유지) 2020.2월(158.1포인트)보다 12.0% 하락한 139.1포인트 기록 식물성 유지 가격은 2019년 10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며, 특히 팜유 가격 하락이 2개월 연속 하락세를 견인했다. 국제 팜유 가격은 원유 및 광물유 가격 하락 및 코로나19 확산으로 수요 관련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하락했다. 기타 유지류의 가격 역시 하락했는데, 대두유 가격은 미국 내 분쇄량이 예상치를 상회함에 따라 하락하였다. 유채씨유의 경우 EU 내 바이오디젤의 수요 감소에 따라 하락했다. (유제품) 2020.

2020년 2월 FAO 세계식량가격지수 4개월 연속 상승 이후 첫 하락

이미지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 (FAO)에 따르면, 2020년 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82.4포인트 1월 육류(182.5→182.3) 가격이 보정되어 1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82.5→182.4) ) 대비 1.0% 하락한 180.5포인트를 기록했다. 식량가격지수는 앞서 4개월 연속 상승한 이후 처음으로 하락했으며, 전년 동월(167.0포인트) 대비 8.1% 상승하였다. * 식량가격지수:(2019.9월)169.2→(10월)172.0→(11월)176.8→(12월)181.5→(2020.1월)182.4→(2월)180.5 유제품․설탕 가격은 상승했으며, 식물성유지․육류․곡물 가격은 하락했다. < 상승 품목군 > (유제품) 2020.1월(200.6포인트)보다 4.6% 상승한 209.8포인트 기록 유제품 가격은 4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9.0% 상승했다. 치즈 가격은 10.6% 상승했으며, 이는 계절적 우유 생산량 및 뉴질랜드의 수출 공급량이 감소하고 호주의 2019/20년 우유 생산량이 평균치보다 낮아 수출 가용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반면, 탈지분유와 전지분유 가격은 세계 최대 분유 수입국인 중국의 구매 둔화로 인해 하락했으며, 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중국 항구에서의 수송 지연 때문이다. (설탕) 2020.1월(200.7포인트)보다 4.5% 상승한 209.7포인트 기록 설탕 가격은 5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하고, 2017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근의 설탕 가격 상승은 세계 2대 설탕 생산국인 인도와 장기간 가뭄을 겪은 태국의 설탕 생산량 감소 전망이 반영된 것이다. 그러나, 미달러 대비 브라질 헤알화의 약세가 계속되면서 국제 설탕 가격의 상승폭은 다소 제한되었다. < 하락 품목군 > (식물성유지) 2020.1월(176.3포인트)보다 10.3% 하락한 158.1포인트 기록 식물성유지 가격은 2019년 7월 이후 지속된 상승세를 마감하고 최초로 하

2020년 1월 FAO 세계식량가격지수 4개월 연속 상승 전년 대비 11.3% 상승

이미지
▲ 식량가격지수 (연도별 ․ 품목별)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 (FAO)에 따르면, 2020년 1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81.2포인트 12월 육류(191.6→190.0) 및 곡물(164.3→164.4)가격이 보정되어 12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81.7→181.2) ) 대비 0.7% 상승한 182.5포인트를 기록했다.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최근 4개월 연속 상승 추세를 보였으며, 전년과 비교해 11.3% 상승하였다. *식량가격지수:(2019.9월)169.2→(10월)172..0→(11월)176.8→(12월)181.2→(´20.1월)182.5 유지류․설탕․곡물․유제품 가격은 상승했으며, 육류 가격은 하락하였다. < 상승 품목군 > (유지류) 2019.12월(164.7포인트)보다 7.0% 상승한 176.3포인트 기록 유지류 가격은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팜유 가격은 바이오디젤 부문의 강한 수요와 공급량 감소 전망으로 6개월 연속 상승하였다. 대두유 및 해바라기유 가격도 강한 수요와 예상보다 낮은 수출가용량으로 인해 상승세를 유지하였다. 유채씨유 가격은 계속된 공급량 감소를 반영하여 2014년 5월 이래 가장 높았다. 그러나, 1월 중순 이후 유지류 가격 상승세는 약화되었다. 이는 미‧중 무역협상 영향에 대한 불확실성과 전 세계적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잠재적 영향에 대한 우려에 따른 것이다. (설탕) 2019.12월(190.6포인트)보다 5.5% 상승한 200.7포인트 기록 설탕 가격은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하였다. 설탕 가격 상승은 인도, 브라질, 멕시코의 설탕 수확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데 따른 것이다. 그러나, 최근 원유가격 하락과 계속된 미달러 대비 브라질 헤알화약세는 국제 설탕 가격의 상승폭을 제한하였다. (곡물) 2019.12월(164.4포인트)보다 2.9% 상승한 169.2포인트 기록 곡물 가격은 2018년 5월 이래 가장 높았으며, 모든 주요 곡물가격이 상승하였다

2019년 12월 FAO 세계식량가격지수, 2014년 12월 이래 최고치

이미지
▲ 식량가격지수 (연도별 ․ 품목별)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 (FAO)에 따르면, 2019년 1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77.3포인트 11월 육류(190.5→191.0) 및 곡물(162.4→162.1)가격이 보정되어 11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77.2→177.3) ) 대비 2.5% 상승한 181.7포인트로 2014년 12월 이래 가장 높았다.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최근 3개월 동안 연속 상승 추세를 보였으며, 전년과 비교해 12.5% 상승하였다. * 세계식량가격지수: (2019.8월)169.7→ (9월)169.2 → (10월)172..0→ (11월)177.3→ (12월)181.7 유지류‧설탕‧유제품‧곡물 가격은 상승했으며, 육류 가격은 안정세를 보였다. 2019년 평균 식량가격지수는 171.5포인트로, 2018년(168.4포인트) 보다 1.8%상승하였으나, 2000년대 들어 가장 높은 기록을 보였던 2011년(230포인트)보다는 25% 낮은 수준이다. < 상승 품목군 > (유지류) 2019.11월(150.6포인트)보다 9.4% 상승한 164.7포인트 기록 유지류 가격 상승은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팜유 가격에 기인하였으며, 대두유, 해바라기유, 유채씨유 가격 상승도 영향을 미쳤다. 국제 팜유 가격은 바이오 디젤 부문의 강한 수요와 팜유 공급량 감소 전망으로 인해 5개월 연속 상승하였다. 2019년 11월 이후 강한 가격 반등세에도 불구하고, 2019년 평균 유지류가격지수(135.2포인트)는 2018년 대비 8.9포인트 하락한 수치이며, 2006년 이후 최저치이다. (설탕) 2019.11월(181.6포인트)보다 4.8% 상승한 190.3포인트 기록 설탕 가격은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원유가격이 상승한 상황에서, 브라질에서 설탕 대신 에탄올 생산에 더 많은 사탕수수를 사용하면서 국제 시장에서 설탕 가용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 달러 대비 브라질 헤알화의 약세가 계속되고, 인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