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저유가인 게시물 표시

2020년 4월 수출 369.2억달러 전년 전월 대비24.3% 감소

이미지
1. 4월 수출입 동향 개요 (실적) 4월 수출은 △24.3% 감소한 369.2억달러, 수입은 △15.9% 감소한 378.7억달러, 무역수지는 9.5억달러 적자 * 수출 증감률(%):(2019.4)△2.1→(5)△9.8→(6)△13.8→(7)△11.1→(8)△14.0→(9)△11.9→(10)△15.0→(11)△14.5→(12)△5.3→(2020.1)△6.6→(2)+3.8→(3)△0.7→(4)△24.3 (평가) 4월 수출은 코로나19 본격화에 따른 美·EU 등 주요 시장의 수입수요 급감, 中 경기회복 지연, 유가 급락 등이 더해져 큰 폭 감소 코로나19 사태는 ①금융위기(2008∼2009년)+②바이러스 위기(사스:2003년, 신종플루:2009년, 메르스:2015년)+③저유가 위기(2015∼2016년)를 모두 아우르는 미증유의 복합 위기 코로나19 상황에서 우리 제조업은 셧다운없이 정상 가동하는 가운데 중간재·자본재의 지속 수입에 따라 무역수지 적자 불가피 ⇒ 코로나19 방역 모범국으로 인정받는 가운데, ①국내 제조업은 정상 가동중이며, ②주요국 대비 내수 여건도 상대적으로 양호함을 반증 2. 수출 주요 특징 1) 4월 수출은 코로나19 본격화에 따른 美·EU 등 주요 시장의 수입수요 급감, 중국 경기회복 지연, 국제유가 급락 등이 더해져 큰 폭 감소 ① (시장) 미국·유럽의 이동제한(락다운) 및 생산중단(셧다운)에 의한 수입수요 급감에 따른 시장 급랭과 중국 경기의 회복 지연 영향으로 주력 시장뿐만 아니라 全 지역 수출 감소 ② (품목) ①공급 및 수요 동시 충격(자동차:△36.3%/차부품:△49.6%), ②수요 급랭(철강:△24.1%/스마트폰:△43.6%), ③국제 유가 급락(석유제품:△56.8%/석유화학:△33.6%)으로 대부분 품목의 수출이 감소 * 다만, 바이오헬스(진단키트 등 방역제품) 및 컴퓨터(서버수요 견조) 수출은 큰 폭 증가 아울러, 4월 수출 감소는 조업일이 △2일 적고, 2019.4월 수출이 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1~2022 한국관광 100선을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