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기후인 게시물 표시

상강(霜降)의 의미와 풍속: 가을이 깊어지는 절기 이야기

이미지
가을이 깊어지는 징후, 상강이란 무엇인가요? 이른 아침 ‘서리’가 내린다는 뜻의 상강 (霜降)은 24절기 가운데 가을의 끝자락에 해당합니다. 보통 양력 10월 23일경에 찾아오며, 기온이 빠르게 낮아지고 밤낮 일교차가 커지는 시기입니다. 상강의 기후 변화와 자연 징후 상강이 되면 낮은 기온이 쌓여 지표면에 서리가 맺히고, 공기는 건조해지며 맑은 날이 많아집니다. 식물은 잎을 떨구기 시작하고, 곡식 수확이 마무리되어 겨울 준비가 본격화됩니다. 상강 무렵의 전통 풍습과 의미 우리 전통에서는 상강 즈음 국화전이나 국화차 등을 즐기며, 국화를 장수와 관련짓기도 했습니다. 또한 삼후(三候)로 나누어 곤충이 땅속으로 들어가는 현상 등을 묘사하기도 했습니다. 농사에서는 보리 파종이나 겨울 작물 준비가 이 시기에 맞춰집니다. 후세대가 바라보는 상강의 가치 현대 기후 변화가 진행되면서 상강의 기후 특징이 흐릿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상강은 계절의 흐름을 감지하고 자연과 인간의 삶이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앞으로는 전통 절기의 의미를 보존하며 기후 변화에 대한 감수성을 유지하는 노력이 중요할 것입니다. 절기 속 24절기와 상강의 위치 절기 시기 간단 요약 입춘 2월 4일경 봄의 시작 우수 2월 19일경 눈 녹고 비 내림 경칩 3월 5일경 개구리가 겨울잠 깸 춘분 3월 20일경 낮과 밤이 같음 청명 4월 4일경 날씨 맑고 높음 곡우 4월 20일경 비와 농사 시작 입하 5월 6일경 여름 기운 시작 소만 5월 21일경 만물이 자람 망종 6월 6일경 모내기 적기 하지 6월 21일경 낮이 가장 김 소서 7월 7일경 덥기 시작 대서 7월 22일경 무더위 극성 입추 8월 7일경 가을 기운 시작 처서 8월 23일경 더위 누그러짐 백로 9월 8일경 하얀 이슬...

추분의 의미와 변화: 가을의 균형을 이해하다

이미지
추분이란 무엇인가요? 추분(秋分)은 태양이 적도를 지나며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아지는 시기 로, 매년 9월 23일 전후 에 해당합니다. 이때는 여름의 기운이 완전히 물러나고 가을의 정취가 깊어지며, 자연과 인간의 생활에도 뚜렷한 변화가 시작되는 중요한 시점입니다.     추분에 나타나는 자연의 변화 추분 이후에는 낮이 점점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며, 일조량과 기온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아침저녁으로는 찬바람이 불기 시작해 계절감이 뚜렷해지고, 사람들의 옷차림이나 생활 패턴도 이에 맞춰 달라집니다. 감기나 환절기 질환이 늘어나므로 건강 관리가 중요합니다. 문화와 전통 속의 추분 추분 무렵에는 민족 명절인 추석이 있어 가족과 조상을 기리는 문화가 활발히 이뤄집니다. 농촌에서는 벼 베기와 같은 수확이 한창이며, 논밭 정비와 가을 파종 준비도 이루어집니다. 자연은 이 시기에 나뭇잎이 붉게 물들고 열매가 영글며, 생명의 결실을 맺는 계절입니다. 앞으로의 추분, 어떻게 달라질까요? 기후 변화로 인해 추분 시기의 기온과 날씨 양상이 점점 불규칙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도시 지역에서는 열섬 현상으로 인해 가을의 쾌적한 기온을 느끼기 어려운 경우도 생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추분은 여전히 자연의 순환과 균형을 되새기는 뜻깊은 절기로, 앞으로도 꾸준히 인식되고 활용될 것입니다. 절기 속 24절기와 추분의 위치 절기 시기 간단 요약 입춘 2월 4일경 봄의 시작 우수 2월 19일경 눈 녹고 비 내림 경칩 3월 5일경 개구리가 겨울잠 깸 춘분 3월 20일경 낮과 밤이 같음 청명 4월 4일경 날씨 맑고 높음 곡우 4월 20일경 비와 농사 시작 입하 5월 6일경 여름 기운 시작 소만 5월 21일경 만물이 자람 망종 6월 6일경 모내기 적기 하지 6월 21일경 낮이 가장 김 소서 ...

제36회 ‘기상기후사진전’ 수상작 발표

이미지
▲ 대상 (소나기.김학수) 가야산 정상에서 먹구름 사이로 소나기가 내리는 모습 기상청은 1월 29일부터 3월 10일까지 공모한 ‘제36회 기상기후사진 공모전’ 수상작을 선정, 발표했다. 이번 공모전에는 일반사진 4,148건, 타임랩스 57건 등 총 4,205점의 작품이 응모했으며, 이는 지난해(2,908점) 보다 44.6% 증가한 수치다. 대상(환경부장관상, 상금 500만원)에는 가야산에서 소나기 장면을 포착한 김학수씨의 작품이 선정되었으며, 금상(기상청장, 상금 200만원)은 지난 여름 폭염에 광화문에서 더위를 식히고 있는 시민들의 모습을 담은 신승희씨가 수상했다. 이 밖에, △은상 1점과 △동상 2점 등 총 50점의 일반사진과 타임랩스 작품 3점도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수상작들은 4월 1일(월)부터 4월 8일(월)까지 서울역사 3층 광장에서 전시될 예정이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사진 전시 외에도 △크로마키 촬영 △눈꽃모양 만들기 △사진엽서 등 시민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행사도 함께 진행 될 예정이다. 김종석 기상청장은 “응모해 주신 기상사진은 자연의 신비로움과 아름다움을 넘어 기상학적으로도 매우 소중한 가치있는 자료며, 앞으로도 기상기후사진전과 같이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행사를 개최해 국민과 함께 기상기후 역사를 기록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출처:  기상청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