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매매가격인 게시물 표시

2025년 11월 2주차 아파트 매매·전세가격 동향 요약

이미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 요약 한국부동산원 에 따르면 2025년 11월 2주차(11.10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6%, 전세가격은 0.08% 상승했습니다. 수도권은 0.11% 상승하며 서울(0.17%), 경기(0.10%), 인천(0.04%) 모두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지방은 전체적으로 0.01% 상승으로, 전북·울산 지역이 두드러졌습니다. 전반적으로 거래는 한산하지만 선호 단지 중심으로 상승세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매매시장: 서울 강세, 지방은 혼조세 전국 매매가격 상승률은 지난주보다 소폭 둔화되었으나 상승세는 지속 중입니다. 서울은 0.17%로 송파·동작·용산·성동구 등 재건축 및 인기 단지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경기에서는 분당(0.58%)과 과천(0.40%)이, 지방에서는 전북(0.11%)과 울산(0.11%)이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지역 매매 변동률(%) 전국 0.06 수도권 0.11 서울 0.17 경기 0.10 지방 0.01 전세시장: 수도권 중심 안정적 상승세 전세가격은 전국 평균 0.08% 상승하며 지난주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서울은 0.15% 상승으로 강남권 학군지 및 역세권 수요가 강세를 이끌었습니다. 경기(0.10%)는 영통·분당·하남이 상승을 주도했고, 세종(0.49%)은 정주여건이 양호한 지역 중심으로 상승폭이 확대되었습니다. 지역 전세 변동률(%) 전국 0.08 수도권 0.11 서울 0.15 경기 0.10 세종 0.49 ▲ 2025년 11월 둘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 2025년 11월 둘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향후 전망 연말을 앞두고 부동산 시장은 거래 위축 속에서도 수도권 중심의 완만한 상승세가 지속될 전망입니다. 매매는 재건축 기대감과 실수요 중심으로 움직이고, 전세는 학군·입지 중심으로 수요가 꾸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금리 변동 및 공급 일정에 따라 지역별 차별화...

2025년 11월 첫째주 아파트값 동향, 매매·전세 모두 소폭 상승

이미지
2025년 11월 1주 아파트 가격 흐름 요약 한국부동산원 이 발표한 2025년 11월 1주(11월 3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매매가격은 0.07%, 전세가격은 0.08% 상승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은 재건축 추진 단지와 대단지 아파트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갔고, 지방은 하락세에서 보합 또는 상승으로 전환된 지역이 늘었습니다. 이번 주 시장은 거래량은 다소 줄었으나, 실수요 중심의 안정적 상승 흐름이 지속된 모습입니다. 매매가격 동향: 수도권 강세 속 상승지역 확대 전국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0.07% 상승했습니다. 서울은 0.19% 상승하며 강북·강남 모두 재건축 단지 위주로 오름세를 보였고, 수도권 전체는 0.13% 상승했습니다. 지방은 0.01% 상승하며 보합에서 상승 전환했습니다. 특히 전북, 울산, 경기 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지방 변동률(%) 0.07 0.13 0.19 0.01 상승 지역 수는 106개로 전주보다 11개 증가했으며, 하락 지역은 64개로 감소했습니다. 이는 전국적으로 완만한 회복세가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2025년 11월 첫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전세가격 동향: 수도권 수요 꾸준, 세종 강한 반등 전국 전세가격은 0.08% 상승하며 지난주(0.07%)보다 상승폭이 확대되었습니다. 서울은 0.15%, 수도권은 0.11% 상승했고, 세종시는 0.36%로 큰 폭의 반등을 보였습니다. 특히 서울 송파구(0.34%), 강동구(0.28%), 양천구(0.27%) 등 인기 대단지 지역의 전세가 상승이 두드러졌습니다.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세종 변동률(%) 0.08 0.11 0.15 0.36 매물 부족과 역세권·신축 단지 중심의 수요가 이어지며 임대시장이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 2025년 11월 첫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향후 ...

2025년 10월 4주 아파트 매매·전세 모두 상승세…수도권 강세 지속

이미지
10월 4주차 전국 아파트가격 동향 요약 한국부동산원 은 2025년 10월 4주(10월 2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은 모두 0.07% 상승하며, 전반적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 중심으로 재건축 단지 및 주요 입지 아파트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으며, 지방은 보합세를 유지했습니다. 매매 시장 동향 전국 매매가격은 0.07% 상승했습니다. 서울은 0.23%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경기(0.12%)와 인천(0.02%)도 소폭 올랐습니다. 수도권은 0.14%로 상승세를 이어갔고, 지방은 보합(0.00%)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서울에서는 송파·동작·강동구 등 재건축 및 대단지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고, 세종·제주는 약보합세를 나타냈습니다. 구분 전주(10.20) 금주(10.27) 비고 전국 0.12% 0.07% 소폭 상승 서울 0.50% 0.23% 재건축 단지 중심 상승 경기 0.16% 0.12% 분당·과천 등 강세 지방 0.00% 0.00% 보합 유지 전세 시장 동향 전국 전세가격은 0.07% 상승하며 2주 연속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서울(0.14%), 경기(0.09%), 인천(0.05%) 모두 상승했으며, 수도권 평균은 0.10%를 기록했습니다. 서울은 매물 부족과 수요 지속으로 대단지·역세권 중심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구분 전주(10.20) 금주(10.27) 비고 전국 0.06% 0.07% 완만한 상승 서울 0.13% 0.14% 대단지 중심 상승 경기 0.09% 0.09% 안정적 상승 지방 0.03% 0.03% 보합 유지 ▲ 2025년 10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 2025년 10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향후 전망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 기대감과 거래심리 회복이 맞물리며 수도권 중심의 완만한 상승세가 당분간 이...

2025년 3분기 오피스텔 매매·전세·월세 동향

이미지
2025년 3분기 오피스텔 시장 개요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전분기 대비 0.39% 하락 , 전세가격은 0.20% 하락 , 월세가격은 0.30% 상승 했습니다. 수도권은 전체적으로 하락폭이 줄었으며, 서울은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최근 1~2인 가구 증가와 주거 대체재로서의 오피스텔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습니다. 매매시장 동향 매매가격은 전국 평균 -0.39% 로, 지방 하락폭이 확대되며 전체 시장을 끌어내렸습니다. 수도권은 -0.32%, 서울은 +0.11%로 상승 전환되었으며, 지방은 -0.65% 하락했습니다. 서울은 아파트 가격 상승 영향으로 중대형 오피스텔 중심의 수요가 늘었습니다.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지방 매매가격 변동률(%) -0.39 -0.32 0.11 -0.65 평균 매매가격(천원) 221,315 238,500 277,597 154,082 전세시장 동향 전세가격은 전국 평균 -0.20% 로 전분기보다 하락폭이 줄었습니다. 서울은 +0.07% 로 상승 전환하며, 교통 여건이 좋은 역세권과 대학가 중심으로 수요가 유지되었습니다. 반면, 지방은 신축 공급 증가로 인해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지방 전세가격 변동률(%) -0.20 -0.17 0.07 -0.32 평균 전세가격(천원) 176,572 191,623 220,967 117,687 월세시장 동향 월세는 전국 평균 0.30% 상승 으로 상승폭이 확대되었습니다. 서울은 0.53% 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전세사기 우려로 월세 선호현상이 강해졌습니다. 울산과 광주 등 지방도 지역 산업 종사자 수요 증가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지방 월세가격 변동률(%) 0.30 0.32 0.53 0.22 평균 월세가격(천원...

2025년 9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3% 상승, 전세 0.04% 상승

이미지
2025년 9월 넷째 주, 아파트값 어디로 향하나? 2025년 9월 22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이 소폭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에 따르면, 매매가격은 0.03%, 전세가격은 0.04% 각각 오르며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수요가 살아나고 있습니다. 특히 재건축 단지와 역세권 중심의 거래가 활발하게 나타났습니다.     서울과 수도권 상승, 지방은 주춤 서울은 0.19% 상승하며 전체 상승세를 견인했습니다. 성동·마포·광진구 등 인기 지역에서 거래가 활발했고, 경기 성남 분당구(0.64%), 광명시(0.24%)도 상승세를 탔습니다. 반면 대구(-0.06%), 제주(-0.05%) 등 일부 지방은 여전히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 2025년 9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전세도 매물 부족에 상승세 지속 전세가격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 중입니다. 서울은 0.09% 상승하며 양천·송파·서초구 등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이 올랐고, 경기 하남시(0.19%), 광주시(0.22%)도 강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제주(-0.05%)와 강원(-0.03%) 등은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 2025년 9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향후전망 추석 연휴 이후 관망세가 일부 해소되며, 수도권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값 상승 흐름이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다만 지방은 수요 회복이 더딘 만큼 지역 간 양극화가 심화될 가능성도 엿보입니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발표를 통해 향후 흐름을 꾸준히 체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2025년 9월 셋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2% 상승, 전세 0.03% 상승

이미지
아파트값, 다시 오름세로 전환 2025년 9월 3주(9월 15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0.02% 상승하고, 전세가격은 0.03% 올랐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의 조사에 따르면 서울은 특히 재건축 추진 단지와 역세권 대단지를 중심으로 매매 수요가 활발해지며 0.12% 상승했습니다. 전세시장도 학군지와 역세권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서울, 매매와 전세 모두 상승세 지속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2% 상승하며 강남과 강북 모두에서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성동구는 0.41%, 마포구는 0.28%, 송파구는 0.19% 상승하며 선호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가격 강세가 뚜렷했습니다. 전세가격도 평균 0.07% 상승했고, 송파구(0.21%)와 강동구(0.16%) 등 인기 학군 지역 중심으로 전세 수요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2025년 9월 셋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지방은 혼조세, 세종은 상승 전환 지방 아파트 매매가격은 평균 -0.01%로 여전히 약세를 보였으나, 세종시는 0.10% 상승하며 반등했습니다. 반면 대구(-0.05%), 대전(-0.04%), 제주(-0.04%)는 하락세가 지속됐습니다. 전세가격은 전북(0.05%), 울산(0.04%) 등이 상승세를 보였으나, 제주(-0.05%)는 전세 수요가 줄며 하락했습니다. ▲ 2025년 9월 셋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향후전망 서울을 중심으로 한 주요 지역에서의 거래 회복세와 전세 수요 증가가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특히 재건축 및 개발 기대감이 있는 단지들 위주로 매매가 상승폭이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지방은 지역별로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어 시장 전반의 안정세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2025년 9월 첫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0% 보합, 전세 0.02% 상승

이미지
서울은 강세, 지방은 혼조세…2025년 9월 첫째 주 아파트 가격 동향 2025년 9월 1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이 발표되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에 따르면, 매매가격은 0.00%로 보합세를 유지한 반면, 전세가격은 0.02% 상승하며 시장의 온도차를 보였습니다. 서울은 재건축 단지와 선호 지역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갔으며, 일부 지방은 여전히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매매가격 동향 – 서울은 상승 지속, 수도권은 주춤 서울은 0.08% 상승하며 상승폭을 유지했습니다. 성동·광진·용산구 등 인기 지역에서 상승세가 두드러졌으며, 송파·서초 등 강남권도 재건축 기대감에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인천은 -0.04% 하락했고, 경기도는 보합세(0.00%)로 전환했습니다. 지방은 지역별로 편차가 컸으며, 전북은 0.07% 상승한 반면 전남은 -0.06% 하락했습니다. ▲ 2025년 9월 첫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전세가격 동향 – 전국적으로 소폭 상승 전세가격은 전국 평균 0.02% 상승했습니다. 서울은 0.07% 오르며 역세권과 학군지 중심으로 임차 수요가 이어졌습니다. 인천(0.01%)과 경기도(0.02%)도 소폭 상승하며 수도권 전반에 걸쳐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지방에서는 울산(0.07%), 부산(0.05%) 등이 상승한 반면, 제주(-0.04%)와 전남(-0.04%) 등 일부 지역은 하락했습니다. 향후전망 서울을 중심으로 한 주요 지역의 매수 및 임차 수요가 유지되면서 당분간 보합 내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다만, 금리 동향과 공급 이슈, 지역별 경기 차이에 따라 변동성은 지속될 수 있습니다. 특히 재건축 추진 단지의 움직임이 시장 흐름에 적잖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 2025년 9월 첫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2025년 8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0% 보합, 전세 0.02% 상승

이미지
아파트값, 보합세 속 상승과 하락 혼재 2025년 8월 4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0%로 보합을 유지했고, 전세가격은 0.02% 소폭 상승 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은 재건축 단지와 정주여건이 좋은 지역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2025년 8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서울·경기 상승세, 지방은 지역별로 엇갈려 서울은 0.08%, 경기는 0.01% 상승했으며, 강남·강북 모두 재건축과 학군지 위주로 올랐습니다. 반면 강원(-0.08%)과 대구(-0.04%) 등 일부 지방은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전세시장도 안정세, 일부 지역 상승 전세가격은 전국 평균 0.02% 상승했고, 서울은 0.06% 올라 학군지와 역세권 중심으로 수요가 꾸준한 모습입니다. 수도권 외 세종, 울산 등도 상승 전환되며 전세시장은 점차 안정세로 접어드는 분위기입니다. 향후전망 매매와 전세 모두 관망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지만, 정주여건이 우수한 지역은 추가 상승 가능성도 있습니다. 시장은 지역별로 차별화되는 흐름이 계속될 전망입니다.

2025년 8월 셋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0% 보합, 전세 0.01% 상승

이미지
2025년 8월 셋째 주, 아파트 시장은 안정세를 이어갑니다 한국부동산원 의 발표에 따르면 2025년 8월 18일 기준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0% 보합세를 보였고, 전세가격은 0.01% 소폭 상승하며 대체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서울은 여전히 재건축 및 인기 단지 중심으로 소폭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지방은 지역별로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 2025년 8월 셋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서울과 수도권은 소폭 상승, 지방은 지역 차별화 서울은 강남권 재건축 단지 위주로 상승폭이 이어졌으나, 지난주보다 상승폭은 줄었습니다(0.10%→0.09%). 수도권 전체도 상승폭이 축소되었고, 경기 지역은 보합 전환되었습니다. 반면 지방은 -0.02% 하락하며 강원, 제주, 전남 등 일부 지역에서 하락폭이 커졌습니다. 전세 시장은 서울과 수도권이 상승세를 유지했고, 지방은 보합세를 나타냈습니다. 향후전망 8월 말까지 거래 비수기와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금리와 공급 요인에 따라 하반기 시장 흐름이 달라질 전망입니다. 특히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지역 중심의 국지적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전세 시장은 계절적 수요 증가로 인해 소폭의 추가 상승 가능성이 있습니다.

2025년 8월 둘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1% 상승, 전세 0.01% 상승

이미지
2025년 8월 둘째 주 아파트 가격, 여전히 완만한 상승세 한국부동산원 에 따르면 2025년 8월 2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전세가격도 0.01% 상승하며 지난주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서울은 재건축과 학군 중심지의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며 매매가 상승을 주도하고 있으며, 전세가 역시 공급 부족으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 2025년 8월 둘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서울 중심의 상승세, 지방은 지역별 차이 서울은 송파, 서초, 성동, 광진 등 주요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고, 경기 과천과 분당, 안양 동안구 등도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반면 대구, 전남, 대전 등 일부 지방 도시는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전세 시장에서는 울산과 부산은 상승, 인천과 전남 등은 하락세를 보이며 지역별 편차가 나타났습니다. 향후전망 매매 및 전세가격 모두 당분간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서울 및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는 수요가 지속되며 완만한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금리, 공급계획, 정책 변화 등에 따라 향후 시장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

2025년 8월 첫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1% 상승, 전세 0.01% 상승

이미지
2025년 8월 1주, 아파트 가격 소폭 상승세 유지 한국부동산원 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가격이 전주 대비 소폭 상승하며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서울은 재건축과 학군·역세권 등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이어져 상승폭이 확대되었습니다. 전세 시장도 전국적으로는 보합세를 유지했으나,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는 매물 부족 현상으로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 2025년 8월 첫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서울·수도권 중심으로 상승세, 지방은 혼조세 이번 주(8월 4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상승하였으며, 서울은 0.14%로 전주보다 상승폭이 확대됐습니다. 송파, 강남, 성동 등 선호 지역에서 거래가 늘어난 점이 주요 요인입니다. 경기도 분당과 과천 등도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지방은 대체로 약보합세이며, 충남, 대구, 강원 등은 하락세를 나타냈습니다. 전세가격은 전국적으로는 0.01% 상승했으며, 세종은 0.11%로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향후전망 당분간 서울 및 수도권 주요 지역은 수요 집중과 매물 부족으로 인해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금리와 공급 요인, 정책 변화에 따라 시장은 유동적일 수 있으므로, 향후 시장 흐름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 지방의 경우 지역별 편차가 커질 전망입니다.

2025년 7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1% 상승, 전세 0.01% 상승

이미지
2025년 7월 넷째 주, 아파트 시장 동향 요약 한국부동산원 에 발표에 따르면, 2025년 7월 넷째 주(7월 28일 기준), 전국 아파트 시장은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모두 0.01% 소폭 상승하며 지난주와 비슷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 2025년 7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주요 지역별 아파트 가격 변화 매매가격을 보면, 서울은 재건축 이슈 단지 위주로 상승했지만, 관망 심리가 지속되며 전체 상승 폭이 지난주 0.16%에서 0.12%로 줄었습니다. 강남에서는 송파구(0.41%)와 서초구(0.21%)가, 강북에서는 성동구(0.22%)와 광진구(0.17%)가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수도권 전체는 상승 폭이 0.06%에서 0.04%로 줄었고, 인천은 0.03% 하락했습니다. 경기도는 0.01% 상승했으나 평택(-0.17%), 시흥(-0.10%) 등 일부 지역은 하락했습니다. 지방 아파트 매매가격은 하락 폭이 0.03%에서 0.02%로 줄었습니다. 대구(-0.10%), 대전(-0.06%) 등 5대 광역시는 하락했지만, 세종은 보합에서 0.04% 상승으로 전환했습니다. 8개도 중 충북(0.05%), 울산(0.02%), 전북(0.01%) 등이 상승했습니다. 전세가격은 전국적으로 0.01% 상승 폭을 유지 했습니다. 서울은 매물 부족으로 역세권 및 대단지 중심으로 0.06% 상승을 유지했습니다. 수도권은 상승 폭이 0.02%에서 0.01%로 줄었고, 경기도는 0.00%로 보합, 인천은 0.05% 하락했습니다. 지방 전세가격은 0.00% 보합을 유지했으며, 5대 광역시에서는 부산(0.06%), 울산(0.05%) 등이 상승했습니다. 세종은 0.02% 상승했고, 8개도 중에서는 충북(0.00%), 전북(0.00%), 경남(0.00%) 등이 보합을 기록했습니다. 향후 전망 아파트 시장은 전반적으로 관망세가 짙지만, 서울 일부 재건축 및 선호 단지 중심으로 가격 상승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전세시장은 ...

전국 주택가격 2024년 9월: 서울·지방 부동산 시장의 반전 이유는?

이미지
한국부동산원 이 발표한 2024년 9월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대출 규제와 추석 연휴로 인해 전국적으로 거래가 다소 둔화되었습니다. 특히, 서울은 학군지와 교통 여건이 우수한 지역을 중심으로 매매가와 전세가 모두 오르는 양상을 보였지만, 상승폭은 이전 달에 비해 축소되었습니다. R-ONE 부동산통계 전국 주택 매매가격 동향 9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17% 상승했으며, 수도권은 0.39%로 상승폭이 컸습니다. 반면 지방은 -0.03%로 소폭 하락했죠. 이러한 차이는 지역별 수요와 공급 상황, 정책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특히 서울은 0.54% 상승하며 학군지와 교통 여건이 좋은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습니다. ‘나도 이사할까?’ 고민 중인 분들이라면, 특히 서울 강남권의 변화가 관심을 끌 것입니다. 서울과 수도권의 강세, 이유는? 서울의 매매가격이 0.54% 상승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최근 서초구(1.16%)와 강남구(1.07%)를 중심으로 재건축 기대감이 커지면서 매수 심리가 자극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와 함께 학군과 교통이 좋은 지역을 선호하는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면서 매물 부족 현상까지 더해져 상승폭이 확대되었습니다. 반면, 인천은 서구(0.59%)와 중구(0.40%)를 중심으로 신축 및 준신축 단지의 인기가 높아지며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지방 주택 시장, 혼재된 양상 지방의 경우 상승과 하락이 혼재된 양상을 보였는데요. 울산은 동구와 중구를 중심으로 0.10% 상승하며 양호한 정주 여건이 반영되었습니다. 반면, 대구는 -0.23% 하락하며 남구와 중구 등 신규 공급 물량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강원 춘천과 동해는 정주 여건 개선으로 상승했지만, 속초와 강릉은 신규 입주 물량이 몰리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전세가격 동향: 수도권의 지속적인 상승 9월 전국 전세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19% 상승했고, 특히 수도권은 0.40%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서울에서는 학군지와 역세권을 중심으로...

전국 주택가격: 2024년 8월 매매·전세·월세 모두 급상승!

이미지
2024년 8월 전국 주택 가격은 전월 대비 매매, 전세, 월세 모두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서울과 인천, 경기도를 중심으로 주요 선호 지역에서의 수요가 증가하며 가격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지방에서도 일부 지역에서 상승세를 보였으나, 신규 공급 물량과 경제 여건의 영향으로 상승폭은 제한적이었습니다. 본 보고서에서는 주요 지역별 주택 가격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시장 전망을 제시합니다. R-ONE 부동산통계 매매 가격 동향 전국 매매 가격은 전월 대비 0.24% 상승했으며, 서울은 0.83% 상승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서울에서는 학군 및 생활 편의성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매물 부족이 이어져 가격이 크게 상승하였으며, 특히 강남, 서초, 성동구 등 주요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습니다. 인천과 경기에서는 교통이 편리하고 신축 단지가 밀집된 지역에서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대구와 세종은 공급 물량의 영향을 받아 가격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지방에서는 대체로 혼조세를 보였으나, 지역별로는 춘천과 전주 등에서 상승세를 나타냈습니다. ▲ 2024년 8월 전국주택가격동향 전세 가격 동향 전국 전세 가격은 전월 대비 0.22% 상승했으며, 서울은 0.52%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서울에서는 주요 학군지와 교통이 편리한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 수요가 지속적으로 높아져 전세금 상승이 이어졌습니다. 인천과 경기도에서도 전세가 상승세를 보였으며, 하남시와 고양시 덕양구 등 교통이 편리하고 신축 아파트 단지가 많은 지역에서 두드러진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대구와 세종은 신규 입주 물량의 증가로 전세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는 수요 부족과 공급 과잉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월세 가격 동향 월세 가격 역시 상승세를 보였으며, 특히 서울과 수도권에서 두드러진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월세 상승은 주로 학군이 우수하거나 교통이 편리한 지역, 그리고 직장 접근성이 좋은 지역에서 발생했습니다.  특히 서울에서는 강남, 서초, 영...

2023년 3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 공표

이미지
한국부동산원 은 오피스텔 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2023년 3분기 기준 전분기 대비(2023년 7월 1일 대비 2023년 10월 1일 기준)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0.37% 하락, 전세가격은 0.27% 하락, 월세가격은 0.16% 상승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 한국부동산원은 1∼2인 가구 증가, 주택 대체재로서 오피스텔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2018년 1월부터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지방 광역시(부산·대구·광주·대전·울산) 및 세종시 총 9개 시·도를 대상으로 매월 오피스텔 매매, 전세, 월세 등 가격동향을 조사하여 공표*하고 있다. * 통계청 국가통계승인(2017.12.27, 승인번호 : 408002) (매매) 전국은 전분기 대비 –0.37%로 하락폭이 축소(-0.85%→-0.37%)됐다. 수도권·서울·지방 모두 하락폭이 축소(수도권 –0.78%→-0.26%, 서울 -0.55%→-0.14%, 지방 -1.15%→-0.82%)됐다. (전세) 전국은 전분기 대비 –0.27%로 하락폭이 축소(-1.07%→-0.27%)됐다. 수도권·서울·지방 모두 하락폭이 축소(수도권 –1.06%→-0.14%, 서울 -0.82%→-0.04%, 지방 -1.09%→-0.78%)됐다. (월세) 전국은 전분기 대비 0.16%로 보합에서 상승 전환(0.00%→0.16%)됐다. 수도권·서울은 상승폭 확대(수도권 0.05%→0.23%, 서울 0.03%→0.12%), 지방은 하락폭이 축소(–0.23%→-0.10%)됐다. 지역별 세부적인 매매, 전세, 월세 가격과 전월세전환율, 수익률 등 구체적인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매매가격동향 매매가격은 전국 0.37% 하락, 수도권 0.26% 하락, 지방 0.82% 하락한 가운데, 시도별로는 대구(-0.91%), 광주(-0.90%), 부산(-0.88%), 세종(-0.65%), 인천(-0.56%) 순으로 하락 [서울 : -0.14%] 오피스텔 규제 완화 기대 좌절된 가운데 수요 약세로 하락 지속되나, 하락세는 둔화되며 ...

2021년 2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 공표

이미지
한국부동산원 은 오피스텔 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2021년 2분기 기준 전분기 대비(2021년 3월 15일 대비 2021년 7월 1일 기준)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0.37% 상승, 전세가격은 0.42% 상승, 월세가격은 0.1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 월 단위 국가승인통계와의 대상기간 통일성 제고를 위한 통계청  통계변경승인사항에 따라 6월은 조사 대상기간(5.11∼6.14→  5.11∼6.30), 조사기준일(6.14→ 7.1) 및 공표일(7.1→ 7.15) 등 변경 ※ 한국부동산원은 최근 1∼2인 가구 증가, 주택의 대체재로서 오피스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2018년 1월부터 서울시, 6대 광역시, 세종시 및 경기도 등 9개 시ㆍ도를 대상으로 매월 오피스텔 매매, 전세, 월세 등 가격동향을 조사하여 공표*하고 있다. * 통계청 국가통계승인(2017.12.27, 승인번호 : 408002) (매매) 전국은 전분기 대비 0.37%로 상승폭 확대(0.23%→0.37%)됐다. 수도권은 상승폭 확대(0.31%→0.43%)됐으며, 서울은 상승폭 축소(0.22%→0.07%), 지방은 상승 전환(-0.11%→0.12%)됐다. (전세) 전국은 전분기 대비 0.42%로 상승폭 축소(0.57%→0.42%)됐다. 수도권은 상승폭 축소(0.62%→0.45%)됐으며, 서울·지방은 상승폭 축소(서울 0.58%→0.26%, 지방 0.33%→0.32%)됐다. (월세) 전국은 전분기 대비 0.19%로 상승폭 축소(0.26%→0.19%)됐다. 수도권은 상승폭 축소(0.28%→0.21%)됐으며, 서울·지방은 상승폭 축소(서울 0.22%→0.11%, 지방 0.20%→0.14%)됐다. 지역별 세부적인 매매, 전세, 월세 가격과 전월세전환율, 수익률 등 구체적인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매매가격동향 매매가격은 전국 0.37% 상승, 수도권 0.43% 상승, 지방 0.12% 상승한 가운데, 인천(1.03%), 경기(0.64%), 대전(0....

2021년 1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 공표

이미지
한국부동산원 은 오피스텔 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2021년 1분기 기준 전분기 대비(2020년 12월 14일 대비 2021년 3월 15일 기준)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0.23% 상승, 전세가격은 0.57% 상승, 월세가격은 0.2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 한국부동산원은 최근 1∼2인 가구 증가, 주택의 대체재로서 오피스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2018년 1월부터 서울시, 6대 광역시, 세종시 및 경기도 등 9개 시·도를 대상으로 매월 오피스텔 매매, 전세, 월세 등 가격동향을 조사하여 공표하고 있다. * 통계청 국가통계승인(2017.12.27, 승인번호 : 408002) (매매) 전국은 전분기 대비 0.23%로 상승폭 확대(0.05%→0.23%)됐다. 수도권은 상승폭 확대(0.10%→0.31%)됐으며, 서울은 상승폭 확대(0.01%→0.22%), 지방은 하락폭 축소(-0.14%→-0.11%)됐다. (전세) 전국은 전분기 대비 0.57%로 상승폭 축소(0.62%→0.57%)됐다. 수도권은 상승폭 축소(0.70%→0.62%)됐으며, 서울은 상승폭 확대 (0.57%→0.58%), 지방은 상승폭 확대(0.28%→0.33%)됐다. (월세) 전국은 전분기 대비 0.26% 상승하며 상승폭이 확대(0.25%→0.26%)됐다. 수도권은 상승폭 축소(0.29%→0.28%)됐으며, 서울·지방은 상승폭 확대(서울 0.10%→0.22%, 지방 0.06%→0.20%)됐다. 1. 매매가격동향 매매가격은 전국 0.23% 상승, 수도권 0.31% 상승, 지방 0.11% 하락한 가운데, 경기(0.53%), 서울(0.22%)은 상승한 반면, 울산(-0.31%), 대전(-0.22%) 등 지방 지역은 하락 [서울 : 0.22%] 전반적인 주택 가격 상승에 따라 대체재인 중대형 면적의 오피스텔로 수요가 유입되어 오피스텔 가격이 동반 상승하며 전분기 대비 0.22% 상승 [인천 : 0.00%] GTX-B노선 기대감이 있는 송도, 부평과 대학생·산업단지 근로자 위주의 수요가 있...

2020년 3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 공표

이미지
한국감정원 은 오피스텔 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2020년 3분기 기준 전분기 대비(2020년 6월 15일 대비 9월 14일 기준)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0.06% 하락, 전세가격은 0.27% 상승, 월세가격은 0.0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 한국감정원은 최근 1~2인 가구 증가, 주택의 대체재로서 오피스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2018년 1월부터 서울시, 6대 광역시, 세종시 및 경기도 등 9개 시ㆍ도를 대상으로 매월 오피스텔 매매, 전세, 월세 등 가격동향을 조사하여 공표하고 있다. * 통계청 국가통계승인(2017.12.27, 승인번호 : 408002) (매매) 전국은 전분기 대비 0.06% 하락하며 하락폭이 축소(-0.32%→-0.06%)했다. 수도권은 상승 전환(-0.26%→0.02%)했으며, 서울은 상승폭 확대(0.02%→0.12%), 지방은 하락폭이 축소(-0.58%→-0.38%)됐다. (전세) 전국은 전분기 대비 0.27% 상승 전환(-0.04%→0.27%)했다. 수도권은 상승폭 확대(0.07%→0.35%)됐으며, 서울은 상승폭 확대(0.15%→0.33%), 지방은 하락폭이 축소(-0.53%→-0.04%)됐다. (월세) 전국은 전분기 대비 0.07% 상승 전환(-0.26%→0.07%)했다. 수도권은 상승 전환(-0.15%→0.13%)했으며, 서울은 상승 전환(0.00%→0.10%), 지방은 하락폭 축소(-0.72%→-0.15%)됐다. 지역별 세부적인 매매, 전세, 월세 가격과 전월세전환율, 수익률 등 구체적인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매매가격동향 매매가격은 전국 0.06% 하락, 수도권 0.02% 상승, 지방 0.38% 하락한 가운데, 서울(0.12%), 경기(0.03%)은 상승한 반면, 울산(-0.82%), 부산(-0.42%) 등 지방 지역은 하락 [서울 : 0.12%] 정주환경이 우수한 오피스텔 선호가 지속되는 가운데, 역세권 인근 신축 오피스텔의 탄탄한 수요를 바탕으로 상승세 이어가며 전분기 대비...

2019년 4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 공표

이미지
▲ 2019년 4분기 전국 오피스텔 가격동향 한국감정원 은 오피스텔 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2019년 4분기 기준 전분기 대비(2019년 9월 9일 대비 12월 9일 기준)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0.06% 하락, 전세가격은 0.06% 상승, 월세가격은 0.2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 한국감정원은 최근 1~2인 가구 증가, 주택의 대체재로서 오피스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2018년 1월부터 서울시, 6대 광역시, 세종시 및 경기도 등 9개 시·도를 대상으로 매월 오피스텔 매매, 전세, 월세 등 가격동향을 조사하여 공표하고 있다. * 통계청 국가통계승인(2017.12.27, 승인번호 : 408002) (매매) 전국은 전분기 대비 0.06% 하락(-0.25%→-0.06%)하며 하락폭이 축소했다. 수도권(-0.16%→0.03%)은 상승세로 전환했으며, 서울(0.08%→0.40%)은 상승폭 확대, 지방(-0.61%→-0.39%)은 하락폭이 축소됐다. (전세) 전국은 전분기 대비 0.06% 상승(-0.10%→0.06%)하며 상승세로 전환됐다. 수도권(-0.02%→0.13%) 또한 상승세로 전환됐으며, 서울(0.17%→0.40%)은 상승폭 확대, 지방(-0.43%→-0.22%)은 하락폭이 축소됐다. (월세) 전국은 전분기 대비 0.21% 하락(-0.29%→-0.21%)하며 하락폭이 축소됐다. 수도권(-0.23%→-0.16%) 또한 하락폭이 축소됐으며, 서울(-0.12%→0.06%)은 상승세 전환, 지방(-0.54%→-0.46%)은 하락폭이 축소됐다. 지역별 세부적인 매매, 전세, 월세 가격과 전월세전환율, 수익률 등 구체적인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매매가격동향 매매가격은 전국 0.06% 하락, 수도권 0.03% 상승, 지방 0.39% 하락한 가운데, 서울(0.40%)은 상승한 반면, 울산(-0.63%), 부산(-0.46%),등 지방 지역은 하락 [서울 : 0.40%] 지속적인 아파트...

2019년 3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 매매 0.25% 하락, 전세 0.10% 하락

이미지
▲ 2019년 3분기 전국 오피스텔 가격동향 한국감정원 은 오피스텔 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2019년 3분기 기준 전분기 대비(2019년 6월 10일 대비 9월 9일 기준)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0.25% 하락, 전세가격은 0.10% 하락, 월세가격은 0.29%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 한국감정원은 최근 1~2인 가구 증가, 주택의 대체재로서 오피스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2018년 1월부터 서울시, 6대 광역시, 세종시 및 경기도 등 9개 시·도를 대상으로 매월 오피스텔 매매, 전세, 월세 등 가격동향을 조사하여 공표하고 있다. * 통계청 국가통계승인(2017.12.27, 승인번호 : 408002) (전국 오피스텔 매매)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전분기 대비 0.25% 하락(-0.40%→-0.25% 하락폭 축소)했다. 수도권(-0.36%→-0.16%) 및 서울(-0.25%→0.08%)은 하락폭 축소, 지방(-0.56%→-0.61%)은 하락폭 확대(부산(-0.65%→-0.65%), 광주(-0.20%→-0.10%), 대전(-0.46%→-0.80%))됐다. (전국 오피스텔 전세) 전국 오피스텔 전세가격은 전분기 대비 0.10% 하락(-0.28%→-0.10% 하락폭 축소)했다. 수도권(-0.22%→-0.02%) 및 서울(-0.07%→0.17%)은 하락폭 축소, 지방(-0.54%→-0.43%)은 하락폭 축소(부산(-0.67%→-0.44%), 대구(-0.13%→0.08%), 광주(-0.34%→-0.40%))됐다. (전국 오피스텔 월세) 전국 오피스텔 월세가격은 전분기 대비 0.29% 하락(-0.31%→-0.29% 하락폭 축소)했다. 수도권(-0.23%→-0.23%) 및 서울(-0.11%→-0.12%)은 하락폭 유지, 지방(-0.62%→-0.54%)은 하락폭 축소(광주(-1.52%→-2.0%), 울산(-1.70%→-1.72%), 대전(-0.79%→-0.80%))됐다. 지역별 세부적인 매매, 전세, 월세 가격과 전월세전환...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