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멸종위기야생생물인 게시물 표시

식충식물 자주땅귀개, 9월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

이미지
식충식물 자주땅귀개, 9월의 멸종위기종으로 선정 자연 생태계의 다양성과 보호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환경부 는 9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자주땅귀개'를 선정하였습니다. 자주땅귀개는 국내 산속 습지에서 드물게 서식하는 식충식물로, 기후변화와 개발로 점차 그 서식처가 줄고 있는 상황입니다.     자주땅귀개란 어떤 식물인가요? 자주땅귀개는 높이 약 10cm로 자라며, 주걱 모양 잎 사이에서 자주색 꽃을 피웁니다. 꽃은 귀이개를 닮아 이름이 붙여졌고, 꽃잎 끝이 입술 모양이며 꽃뿔은 아래를 향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땅속줄기에는 포충낭이 달려 있어 물속 작은 생물을 잡아먹으며 영양분을 보충합니다. ▲ 자주땅귀개 Utricularia yakusimensis (출처: 국립생태원)     서식 환경과 보호 필요성 이 식물은 제주도와 전남, 경남 등 일부 습지에서만 발견되며, 햇빛이 잘 들고 수분이 풍부한 산속 습지에서 살아갑니다. 하지만 습지의 개발 및 오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점점 서식지가 줄어들고 있어, 2005년부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습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 보기 국립생태원에서 보기 자연 보호의 시급성과 우리의 역할 자주땅귀개는 단순한 희귀식물이 아니라, 생태계의 건강성을 상징하는 존재입니다. 생물다양성을 지키기 위해서는 이런 멸종위기 식물의 보호가 필수적이며, 우리 모두의 관심과 실천이 중요합니다. 자주땅귀개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국립생태원 누리집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주제로 상상의 나래를 펼치세요

이미지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 은 ‘제4회 멸종위기 야생생물 상상그림 및 상상뉴스 공모전(이하 공모전)’을 개최하고 2월 3일부터 3월 11일까지 작품을 접수한다. 이번 공모전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267종을 주제로 작품을 응모하면 되며, 7세 이상부터 12세 이하 어린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올해로 네 번째를 맞는 ‘상상그림’ 공모전은 2019년 510명, 2020년 1,914명, 2021년 2,516명으로 매년 참가자 수가 늘어나 어린이에게 인기 있는 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 공모전은 ‘상상그림’과 ‘상상뉴스’ 2개 부문으로 진행되며, 공모전 누리집( www.spectory.net/nie/encontest )을 통해 작품을 접수받는다. ‘상상그림’ 부문은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소재로 상상한 손그림을 접수받고, ‘상상뉴스’ 부문은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소재로 상상한 언론 보도형태의 기사를 접수받으며, 부문별 1인당 1편만 신청할 수 있다. 공모전에 대한 자세한 문의 및 참고사항은 공모전 운영사무국(02-6953-1410)과 공모전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수상작은 독창성, 표현성, 활용 가능성 등에 대한 전문가 심사를 거쳐 총 32편의 작품을 선발하며, 최종 결과는 공모전 누리집에 3월 말에 발표될 예정이다. 수상작은 ‘상상그림’ 부문 16편, ‘상상뉴스’ 부문 16편 총 32편을 선정하며, 부문별로 △대상(환경부 장관상, 1편), △최우수상(국립생태원장상, 부문별 각 2편), △우수상, 장려상으로 나누어 시상하고, 대상 50만 원, 최우수상 20만 원 등 소정의 상금도 주어진다. 또한, 선발된 수상작은 올해 4월 1일 ‘멸종위기종의 날’ 기념 행사를 시작으로 주요 행사장에 순회 전시될 예정이며, 공모전 누리집에서도 볼 수 있다. 조도순 국립생태원장은 “이번 공모전을 통해 미래세대 주역인 어린이들의 자유로운 상상력으로 우리 모두가 꿈꾸는 미래의 모습을 그려보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출처:  환경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