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생산인 게시물 표시

통계청, 2023년 6월 산업활동 동향

이미지
1. 생산 (전산업생산) 광공업, 건설업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서비스업과 공공행정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1%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서비스업, 건설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1.1% 증가 (광공업생산) 반도체(3.6%)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자동차(-12.9%), 석유정제(-14.6%)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1.0% 감소 * RV승용차, 소형승용차 등 생산 감소 * 주요 사업체의 정기보수로 인한 윤활기유, 경유 등 생산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자동차(10.8%)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반도체(-15.9%), 화학제품(-10.4%) 등에서 생산이 줄어 5.6% 감소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6.2% 감소, 전년동월대비 3.2% 증가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1.9%로 전월대비 0.9%p 하락 (서비스업생산) 보건‧사회복지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금융·보험, 예술·스포츠·여가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5% 증가 * 기타 금융업, 금융 지원 서비스업 등에서 증가 * 스포츠 서비스업, 창작 및 예술관련 서비스업 등에서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정보통신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금융·보험, 운수·창고 등에서 생산이 늘어 3.5% 증가 2. 소비 (소매판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0.3%), 신발 및 가방 등 준내구재(-0.1%)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승용차 등 내구재(4.7%) 판매가 늘어 전월대비 1.0% 증가 * 친환경차 판매 호조 등으로 국산차와 수입차 모두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의복 등 준내구재(-2.1%), 화장품 등 비내구재(-0.6%)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승용차 등 내구재(8.2%) 판매가 늘어 1.4% 증가 (소매업태별 판매) 전년동월대비 면세점(-28.3%), 전문소매점(-1.3%), 편의점(-2.7%)에서 판매가 감소하였으나,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11.3%), 무점포소매(1.8%), 슈퍼마켓 및 잡화점(3.2%), 대형마트(2.0%), 백화점(1.3%)에서 판매가 증가 3. 투자 (설비투자) 일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0.2%)에서 투자

통계청, 2023년 5월 산업활동 동향

이미지
1. 생산  (전산업생산) 서비스업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광공업, 공공행정, 건설업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1.3%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광공업, 공공행정에서 생산이 줄어 0.9% 감소 (광공업생산) 통신·방송장비(-16.9%)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자동차(8.7%), 반도체(4.4%)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3.2% 증가 * 자동차KD세트(수출용 완성차 조립부품), 대형승용차 등 생산 증가 * D램,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 반도체 생산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자동차(18.5%)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반도체(-16.7%), 화학제품(-16.6%) 등에서 생산이 줄어 7.3% 감소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0.6% 증가, 전년동월대비 16.3% 증가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2.9%로 전월대비 2.0%p 상승 (서비스업생산) 전문‧과학‧기술(3.2%)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금융‧보험(-4.1%), 숙박‧음식(-4.5%)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0.1% 감소 * 금융 지원 서비스업, 은행 및 저축기관 등에서 감소 * 음식점업, 주점 및 비알코올 음료점업 등에서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정보통신(-5.4%)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금융‧보험(9.8%), 운수‧창고(7.5%) 등에서 생산이 늘어 2.0% 증가 2. 소비 (소매판매) 가전제품 등 내구재(0.5%), 신발 및 가방 등 준내구재(0.6%),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0.2%)에서 모두 늘어 전월대비 0.4% 증가 * 평년대비 이른 더위, 아파트 입주물량 증가 등으로 판매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승용차 등 내구재(1.9%) 판매가 늘었으나, 의복 등 준내구재(-3.4%), 화장품 등 비내구재(-0.6%)에서 판매가 줄어 0.6% 감소 (소매업태별 판매) 전년동월대비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4.2%), 무점포소매(2.2%), 백화점(2.3%)에서 판매가 증가하였으나, 면세점(-23.8%), 전문소매점(-1.0%), 편의점(-4.6%), 슈퍼마켓 및 잡화점(-1.0%), 대형마트(-0.1%)에서 판매가 감소

통계청, 2023년 3월 산업활동 동향

이미지
1. 생산 (전산업생산) 건설업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광공업, 공공행정, 서비스업 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1.6%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서비스업, 건설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2.2% 증가 (광공업생산) 통신·방송장비(-31.5%)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반도체(35.1%), 자동차(6.5%)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5.1% 증가 * D램,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반도체 생산 증가 * RV승용차, 하이브리드승용차 등 생산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자동차(26.8%)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반도체(-26.8%), 전자부품(-30.4%) 등에서 생산이 줄어 7.6% 감소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0.5% 감소, 전년동월대비 10.6% 증가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2.2%로 전월대비 3.3%p 상승 (서비스업생산) 정보통신(-2.0%)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금융‧보험(1.8%), 부동산(3.1%)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2% 증가 * 금융 지원 서비스업, 기타 금융업 등에서 증가 * 부동산 임대 및 공급업, 부동산 관련 서비스업에서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정보통신(-4.4%)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금융‧보험(11.5%), 운수‧창고(18.2%) 등에서 생산이 늘어 6.2% 증가 2. 소비 (소매판매) 의복 등 준내구재(-1.1%) 판매가 줄었으나, 차량연료 등 비내구재 (0.7%), 가전제품 등 내구재(0.4%)에서 판매가 늘어 전월대비 0.4% 증가 * 평년보다 따뜻한 날씨, 이른 개화 등으로 외부활동 증가 영향 전년동월대비로는 화장품 등 비내구재(-2.4%)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의복 등 준내구재(5.1%), 승용차 등 내구재(3.3%)에서 판매가 늘어 0.5% 증가 (소매업태별 판매) 전년동월대비 면세점(-32.1%), 편의점(-5.4%), 슈퍼마켓 및 잡화점(-1.5%), 대형마트(-2.4%)에서 판매가 감소하였으나,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10.2%), 백화점(5.5%), 무점포소매(1.0%), 전문소매점(0.7%)에서 판매가 증가 3. 투자 (

통계청, 2023년 2월 산업활동 동향

이미지
1. 생산 (전산업생산) 광공업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서비스업, 공공행정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3%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서비스업, 건설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2.9% 증가 (광공업생산) 1차금속(5.1%)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반도체(-17.1%), 자동차(-4.8%)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3.2% 감소 * D램, 시스템반도체 등 생산 감소 * 대형승용차, 대형버스 등 생산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자동차(26.2%)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반도체(-41.8%), 전자부품(-36.3%) 등에서 생산이 줄어 8.1% 감소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0.9% 증가, 전년동월대비 8.9% 증가 제조업평균가동률은 68.4%로 전월대비 2.4%p 하락 (서비스업생산) 정보통신(-4.0%)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운수‧창고(5.4%), 숙박‧음식(8.0%)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7% 증가 * 기타 운송관련 서비스업, 도로 화물 운송업 등에서 증가 * 음식점업, 일반 및 생활 숙박시설 운영업 등에서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정보통신(-2.3%)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금융‧보험(15.0%), 운수‧창고(20.6%) 등에서 생산이 늘어 7.2% 증가 2. 소비 (소매판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6.4%), 승용차 등 내구재(4.6%),의복 등 준내구재(3.5%) 판매가 모두 늘어 전월대비 5.3% 증가 * 전월 기저효과, 대규모 할인 행사 등으로 판매 증가 * 전기차 판매 호조로 승용차 판매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의복 등 준내구재(3.1%), 승용차 등 내구재(0.8%) 판매가 늘었으나,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8%)에서 판매가 줄어 0.8% 감소 (소매업태별 판매) 전년동월대비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11.2%)에서 판매가 증가하였으나, 면세점(-28.5%), 전문소매점(-2.1%), 무점포소매(-1.3%), 편의점(-4.7%), 슈퍼마켓 및 잡화점(-1.7%), 백화점(-1.9%), 대형마트(-1.3%)에서 판매가 감소 3. 투자 (설비투자) 자

통계청, 2023년 1월 산업활동 동향

이미지
1. 생산 (전산업생산) 공공행정에서 줄었으나, 광공업, 건설업, 서비스업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5%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광공업, 공공행정 등에서 생산이 줄어 0.8% 감소 (광공업생산) 반도체(-5.7%)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통신·방송장비(111.0%), 자동차(9.6%)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2.9% 증가 * 휴대용전화기, 휴대폰용카메라모듈 등 생산 증가 * 하이브리드승용차, 기타친환경차 등 친환경차 생산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자동차(10.9%)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반도체(-33.9%), 화학제품(-23.6%) 등에서 생산이 줄어 12.7% 감소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2.6% 증가, 전년동월대비 10.0% 증가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0.9%로 전월대비 2.6%p 상승 (서비스업생산) 금융‧보험(-5.0%)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도소매(3.7%), 정보통신(3.1%)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1% 증가 * 음식료품 및 담배 도매업, 종합 소매업 등에서 증가 *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등에서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전문‧과학‧기술(-1.3%)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금융‧보험(10.0%), 도소매(5.4%) 등에서 생산이 늘어 5.9% 증가 2. 소비 (소매판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9%), 의복 등 준내구재(-5.0%),승용차 등 내구재(-0.1%) 판매가 모두 줄어 전월대비 2.1% 감소 * 평년보다 따뜻한 날씨로 동절기 의류 판매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의복 등 준내구재(-5.8%), 가전제품 등 내구재(-3.5%) 판매가 줄었으나,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3.9%) 판매가 늘어 0.7% 증가 (소매업태별 판매) 전년동월대비 무점포소매(-4.7%), 면세점(-37.6%), 전문소매점(-0.7%), 백화점(-2.5%)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승용차·연료소매점(10.1%), 슈퍼마켓·잡화점(10.2%), 편의점(13.8%), 대형마트(4.3%)에서 판매가 증가 3. 투자 (

통계청, 2022년 11월 산업활동 동향

이미지
1. 생산 (전산업생산) 서비스업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공공행정, 광공업, 건설업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1%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서비스업, 건설업에서 생산이 늘어 0.6% 증가 (광공업생산) 반도체(-11.0%)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자동차(9.0%), 기계장비(6.4%)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4% 증가 * RV승용차, 중형승용차 등 완성차 생산 증가 * 반도체조립장비, 웨이퍼가공장비, 금형 등 생산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자동차(25.0%)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반도체(-15.0%), 전자부품(-30.4%) 등에서 생산이 줄어 3.7% 감소 (광공업생산) 반도체(-11.0%)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자동차(9.0%), 기계장비(6.4%)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4% 증가 * RV승용차, 중형승용차 등 완성차 생산 증가 * 반도체조립장비, 웨이퍼가공장비, 금형 등 생산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자동차(25.0%)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반도체(-15.0%), 전자부품(-30.4%) 등에서 생산이 줄어 3.7% 감소 (서비스업생산) 금융‧보험(1.2%)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숙박‧음식점(-4.0%), 정보통신(-1.3%)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0.6% 감소 * 음식점업, 일반 및 생활 숙박시설 운영업 생산 감소 *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등 생산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부동산(-8.4%)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금융‧보험(6.1%), 보건‧사회복지(5.2%) 등에서 생산이 늘어 2.6% 증가 2. 소비 (소매판매) 의복 등 준내구재(-5.9%), 가전제품 등 내구재(-1.4%), 화장품 등 비내구재(-0.5%) 판매가 모두 줄어 전월대비 1.8% 감소 * 평년보다 따뜻한 날씨로 동절기 의류 판매 감소 * 평년보다 따뜻한 날씨로 난방가전 수요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승용차 등 내구재(1.1%) 판매가 늘었으나, 의복 등 준내구재(-10.0%), 화장품 등 비내구재(-0.2%

2022년 9월 자동차산업 전월대비 생산 8.1%↑ 수출15.8%↑ 내수6.5%↑

이미지
1. 자동차 (총괄) 2022년 9월 자동차산업 동향을 보면 생산 34.1%, 내수 23.1%, 수출 27.5% (수출액 34.7%) 모두 두 자릿수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 이는 전년 동월 말레이 등 동남아 지역 內 車반도체 공급 병목 현상 심화에 따른 기저효과로 1년 8개월 만에 2개월 연속 생산․내수․수출 모두 증가 (생산) 다소 완화된 車반도체 수급 상황과 조업일수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34.1% 증가한 307,721대를 생산하여 5개월 연속 증가 * 현대·기아·한국GM(3社 국내생산 비중 약 90%)은 전년도 추석 연휴 주간 전체 휴무 * 월별 생산증감률(%) : (4월)△5.3→(5월)+19.8→(6월)+0.8→(7월)+9.0→(8월)+21.2→ (9월)+34.1 특히, 중형 3社의 생산량이 대폭 증가(+84.3%)했는데, 이는 SUV․PICK-UP 차종의 해외 수요 지속과 신차 효과(토레스)가 견인 * 업체별 생산증감률(%) : 현대 +40.0, 기아 +12.7, GM +85.4, 쌍용 +109.2, 르노 +69.3 * 모델별 생산증감률(%) : 트레일블레이저 +65.2, 렉스턴스포츠 +47.7, XM3 +83.4 등 (내수) 국산차와 수입차 모두 두 자릿수로 증가하여 전체 내수판매는 전년동월 대비 23.1% 증가한 140,242대로 2개월 연속 플러스 기록 베스트 셀링카(승용) TOP 5는 모두 국산차가 차지하였는데, 토레스는 출시 3개월 만에 베스트 셀링카 2위 등극 (국산차) 기저효과 및 신차 효과(아이오닉6, 토레스)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23.7% 증가한 112,918대를 판매하여 7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 * 2021.9월 내수 판매대수(91,248대)는 2020.2월(81,047대) 이후 최저치 (수입차) 전기차 판매 확대로 전년 동월 대비 20.4% 증가한 27,324대를 판매하여 2개월 연속 증가세 기록 * 수입 전기차 판매 : (2021.9월) 2,542대 → (2022.9월) 6,561대(+158.1%) (수출) 물량은 전년동

통계청, 2022년 4월 산업활동 동향

이미지
1. 생산 (전산업생산) 서비스업, 건설업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광공업, 공공행정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0.7%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서비스업, 광공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4.5% 증가 (광공업생산) 고무·플라스틱(0.8%)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반도체(-3.5%), 식료품(-5.4%)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3.3% 감소 * 반도체: D램,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반도체 생산 감소 * 식료품: 김치, 햄및소시지, 라면류 등 식재료 생산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기계장비(-10.2%)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반도체(35.0%), 의약품(13.2%) 등에서 생산이 늘어 3.3% 증가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0.2% 증가, 전년동월대비 13.3% 증가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7.0%로 전월대비 1.3%p 하락 (서비스업생산) 교육(-0.9%)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숙박·음식점(11.5%), 협회·수리·개인(8.7%)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1.4% 증가 * 숙박·음식점: 사적모임 및 영업시간 등 영업제한 해제로 음식점 및 주점업, 숙박업 모두 증가 * 협회·수리·개인: 사회적 거리두기로 그동안 위축되었던 이미용·욕탕 등 기타 개인서비스업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수도·하수·폐기물처리(-4.8%)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보건·사회복지(8.9%), 숙박·음식점(17.1%) 등에서 생산이 늘어 5.1% 증가 2. 소비 (소매판매) 의복 등 준내구재(7.7%), 승용차 등 내구재(0.4%) 판매가 늘었으나, 의약품 등 비내구재(-3.4%) 판매가 줄어 전월대비 0.2% 감소 * 의약품: 코로나19 확진자 감소에 따른 의약품 등 수요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승용차 등 내구재(-5.3%) 판매가 줄었으나, 의복 등 준내구재(5.7%), 의약품 등 비내구재(1.7%) 판매가 늘어 0.5% 증가 (소매업태별 판매) 전년동월대비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5.6%), 면세점(-14.4%), 슈퍼마켓 및 잡화점(-4.6%), 대형마트(-3.9%)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전문소매

통계청, 2022년 3월 산업활동 동향

이미지
1. 생산 (전산업생산) 건설업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서비스업, 광공업, 공공행정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1.5%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서비스업, 광공업, 공공행정 등에서 생산이 늘어 3.1% 증가 (광공업생산) 반도체(-2.3%)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식료품(7.1%), 기타운송장비(11.3%)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1.3% 증가 * 햄및소시지, 라면류, 김치 등 가정용 식재료 생산 증가 * 가스및화학운반선(LNG선 등), 항공기부품(민수용) 등의 생산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자동차(-6.4%)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반도체(26.4%), 의약품(16.1%) 등에서 생산이 늘어 3.7% 증가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0.3% 감소, 전년동월대비 13.5% 증가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8.9%로 전월대비 1.3%p 상승 (서비스업생산) 예술·스포츠·여가(-0.4%)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금융·보험(3.8%), 도소매(1.2%)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1.5% 증가 * 주식 등 금융상품 거래 및 은행대출 등이 늘어 금융지원서비스, 은행저축기관 등 증가 * 자동차·부품은 감소하였으나, 음식료품, 의약품 등의 판매가 늘어 도매업, 소매업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협회·수리·개인(-3.3%)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보건·사회복지(7.7%), 금융·보험(4.0%) 등에서 생산이 늘어 3.7% 증가 2. 소비 (소매판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4.1%) 판매가 늘었으나, 가전제품 등 내구재(-7.0%), 의복 등 준내구재(-2.6%) 판매가 줄어 전월대비 0.5% 감소 * 코로나 이후 지속적인 판매 증가 영향으로 신규 교체 수요 감소 * 재택치료, 자가격리 등으로 의복 수요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승용차 등 내구재(-4.0%) 판매가 줄었으나, 의약품 등 비내구재(5.8%), 의복 등 준내구재(2.8%) 판매가 늘어 2.3% 증가 (소매업태별 판매) 전년동월대비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7.5%), 대형마트(-1.2%)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전문소매점(7.3%)

2022년 1월 자동차 수출 금액 3개월 연속 40억불 상회

이미지
1. 자동차 (총괄) 2022년 1월 국내 자동차산업은 전년 동월 대비 생산 △13.7%, 내수 △19.2%, 수출 △6.4%(수출금액 +2.3%)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 (생산) 신차 출시를 위한 설비 공사에 따른 일부 공장 휴업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7% 감소한 271,054대 * (현대) 아산공장 2021.12.31~2022.2.6., (한국GM) 창원공장 2021.10~2022.1.16, 부평1공장 2021.12.20~2022.1.12. 1월 생산 감소는 국내 자동차 생산의 약 53.3%(2021년 기준)를 차지하는 현대(△24,013대, △16.7%)와 한국GM(△24,360대, △65.0)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 (내수) 설비공사로 인한 휴업 및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 지속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19.2% 감소한 111,294대, 국산차는 수입차에 비해 적게 감소 * 내수 증감률(판대매수) : (국산차) △18.6%(93,963대), (수입차) △22.3%(17,331대) 주요 완성차 업체 중, 르노삼성은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하였는데, 이는 주력 모델인 QM6(+45.1%)와 XM3(+23.3%)가 견인한 것으로 분석 * (현대)4.6만대(△22.3%), (기아)3.7만대(△10.7%), (GM)0.1만대(△78.0%), (쌍용)0.5만대(△14.4%), (르노삼성)0.4만대(+26.7%) 베스트 셀링카(승용) TOP 5는 모두 국산차가 차지 * 내수 베스트 셀링카 TOP5 : 1위제네시스G80(5,501대), 2위아반떼(5,437대), 3위쏘렌토(5,066대), 4위스포티지(4,455대), 5위펠리세이드(4,302대) (국산차) 친환경차 판매 증가(+8.3%) 및 신차 효과(스포티지, 캐스퍼 등)에도 불구하고 공급 물량 부족으로 △18.6% 감소한 93,963대 판매 (수입차) 일본·프랑스계 브랜드를 제외한 모든 브랜드의 판매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22.3% 감소한 17,331대 판매 * 국가별 판매 증감률(%) : (일본) +7

통계청, 2021년 12월 산업활동 동향

이미지
1. 생산 (전산업생산) 서비스업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광공업, 건설업, 공공행정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1.8%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서비스업, 광공업, 공공행정 등에서 생산이 늘어 6.5% 증가 (전산업생산) 서비스업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광공업, 건설업, 공공행정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1.8%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서비스업, 광공업, 공공행정 등에서 생산이 늘어 6.5% 증가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2.2% 증가, 전년동월대비 11.2% 증가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8.7%로 전월대비 3.5%p 상승 (서비스업생산) 도소매(0.7%)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숙박·음식점(-11.8%), 협회·수리·개인(-2.9%)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0.4% 감소 * 사적모임 제한 강화 등으로 음식점업, 주점·음료점, 숙박업 모두 감소 * 단계적 일상회복 중지로 예식장 등 그 외 기타개인서비스업, 이미용·욕탕업 등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부동산(-3.4%)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숙박·음식점(38.4%), 운수·창고(12.0%) 등에서 생산이 늘어 5.8% 증가 2. 소비 (소매판매) 신발 및 가방 등 준내구재(-0.6%) 판매가 줄었으나, 승용차 등 내구재(3.9%),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0%) 판매가 늘어 전월대비 2.0% 증가 * 차량 공급 애로 일부 완화, 신차효과, 친환경차 판매 호조 지속 등으로 증가 * 코로나 재확산, 방역수칙 강화 등에 따라 외식 자제 등으로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의복 등 준내구재(22.0%), 화장품 등 비내구재(4.5%), 통신기기 및 컴퓨터 등 내구재(0.3%) 판매가 모두 늘어 6.5% 증가 (소매업태별 판매) 전년동월대비 슈퍼마켓 및 잡화점(-8.7%), 대형마트(-8.3%),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0.2%)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전문소매점(14.7%), 무점포소매(8.7%), 백화점(31.7%), 면세점(13.2%), 편의점(4.7%)에서 판매가 증가 3. 투자 (설비투자) 자동차 등 운송장비(2.7%) 투자가

통계청, 2021년 10월 산업활동 동향

이미지
1. 생산 (전산업생산) 광공업, 공공행정, 서비스업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1.9%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서비스업, 광공업, 공공행정에서 생산이 늘어 4.8% 증가 (광공업생산) 의약품(3.2%)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자동차(-5.1%), 1차금속(-5.9%)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3.0% 감소 *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 등에 따른 생산 감소 * 자동차 등 전방산업 부진 및 주요 사업체 설비 보수 영향 전년동월대비로는 자동차(-13.5%)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반도체(38.7%), 기계장비(7.5%) 등에서 생산이 늘어 4.5% 증가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3.5% 증가, 전년동월대비 7.2% 증가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1.1%로 전월대비 2.5%p 하락 (서비스업생산) 숙박·음식점(4.5%)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금융·보험 (-2.1%), 전문·과학·기술(-2.5%)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0.3% 감소 * 금융상품 거래 감소, 주가하락 등으로 금융지원서비스업 등 감소 * 법무관련 서비스업, 연구개발업, 건축기술·엔지니어링 및 관련 기술 서비스업 등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수도·하수·폐기물처리(-4.0%)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금융·보험(7.2%), 도소매(4.3%) 등에서 생산이 늘어 5.2% 증가 2. 소비 (소매판매) 화장품 등 비내구재(-2.1%) 판매가 줄었으나, 의복 등 준내구재(2.8%), 가전제품 등 내구재(2.2%) 판매가 늘어 전월대비 0.2% 증가 * 야외활동 증가로 아웃도어, 겨울의류 등 판매 증가 * 이사철 가전 수요, 이른 한파로 난방 가전 등 판매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8.0%), 의복 등 준내구재(13.1%), 가전제품 등 내구재(2.0%) 판매가 모두 늘어 7.4% 증가 (소매업태별 판매) 전년동월대비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3.7%)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전문소매점(11.2%), 무점포소매(12.9%), 백화점(22.8%), 면세점(15.0%), 편의점(5.4%), 대형마트(4.

통계청, 2021년 8월 산업활동 동향

이미지
1. 생산 (전산업생산) 공공행정, 건설업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서비스업과 광공업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0.2%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광공업, 서비스업, 공공행정, 건설업에서 생산이 늘어 6.0% 증가 (광공업생산) 반도체(3.5%)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전기장비(-5.1%), 금속가공(-5.0%)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0.7% 감소 * 냉장고 등 가정용기기 및 변압기, 회로차단기 등 전기장비 생산 감소 * 절삭공구 등 공구류 생산 및 해상금속구조물(해양플랜트) 건조량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기타운송장비(-10.2%)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반도체(36.7%), 기계장비(11.2%) 등에서 생산이 늘어 9.6% 증가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4.9% 증가, 전년동월대비 0.8% 감소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4.1%로 전월대비 0.2%p 상승 (서비스업생산) 금융·보험(1.0%)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숙박·음식점(-5.0%), 도소매(-0.9%)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0.6% 감소 * 사적모임·영업제한 등으로 숙박업, 음식점업, 주점·음료점 모두 감소 * 자동차 및 부품판매업, 음식료품·담배도매업, 종합소매업 등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숙박·음식점(-5.2%)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금융·보험(6.3%), 도소매(5.6%) 등에서 생산이 늘어 4.4% 증가 2. 소비 (소매판매) 의복 등 준내구재(1.8%) 판매가 늘었으나,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0%), 승용차 등 내구재(-0.1%) 판매가 줄어 전월대비 0.8% 감소 * 코로나19 확산으로 하계 휴가 관련 나들이 음식료품 등 판매 감소 * 수입차의 인증문제, 부품 수급 차질 등에 따른 출고지연 등의 영향 전년동월대비로는 의복 등 준내구재(11.4%), 차량연료 등 비내구재(2.8%), 통신기기 및 컴퓨터 등 내구재(1.3%) 판매가 모두 늘어 3.8% 증가 (소매업태별 판매) 전년동월대비 슈퍼마켓 및 잡화점(-6.0%), 대형마트(-4.2%)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전문소매점(6.7%

통계청, 2021년 7월 산업활동 동향

이미지
1. 생산 (전산업생산) 광공업, 서비스업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공공행정과 건설업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0.5%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광공업, 서비스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4.7% 증가 (광공업생산) 자동차(-3.9%)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반도체(1.6%), 비금속광물(5.9%)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4% 증가 * 시스템반도체, DDI(Display Driver IC) 등 생산 증가 * 시멘트, 콘크리트벽면 등 생산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기타운송장비(-11.6%)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반도체(34.4%), 화학제품(12.4%) 등에서 생산이 늘어 7.9% 증가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1.8% 증가, 전년동월대비 3.2% 감소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4.1%로 전월대비 0.5%p 상승 (서비스업생산) 전문·과학·기술(-5.2%)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도소매(1.7%), 정보통신(2.7%)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2% 증가 * 음식료품, 오락·취미용품 등의 판매가 늘어 음식료품도매, 무점포소매 등 증가 * 소프트웨어 개발·공급업, 컴퓨터프로그래밍·시스템통합·관리업 등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숙박·음식점(-7.5%)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금융·보험(7.4%), 도소매(6.1%) 등에서 생산이 늘어 4.2% 증가 2. 소비 (소매판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6%) 판매가 늘었으나, 승용차 등 내구재(-2.8%), 의복 등 준내구재(-2.7%) 판매가 줄어 전월대비 0.6% 감소 * 공급 차질 등으로 인한 판매 감소 *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등 외출 감소로 인한 의류 판매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가전제품 등 내구재(10.6%),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5.7%), 의복 등 준내구재(10.0%) 판매가 늘어 7.9% 증가 (소매업태별 판매) 전년동월대비 슈퍼마켓 및 잡화점(-1.0%)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무점포소매(16.8%), 전문소매점(7.2%),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5.4%), 백화점(11.5%), 대형마트(7.8%), 편의점(3

통계청, 2021년 6월 산업활동 동향

이미지
1. 생산 (전산업생산) 서비스업, 광공업, 건설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1.6%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광공업, 서비스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6.7% 증가 (광공업생산) 통신·방송장비(-8.9%)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반도체(8.6%), 자동차(6.4%)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2.2% 증가 * D램, 시스템반도체 등 생산 증가 * 완성차 및 자동차부품 수출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기타운송장비(-12.2%)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반도체(25.5%), 자동차(23.5%) 등에서 생산이 늘어 11.9% 증가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1.1% 감소, 전년동월대비 5.2% 감소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3.9%로 전월대비 0.6%p 상승 (서비스업생산) 수도·하수·폐기물(-1.3%)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금융·보험(3.2%), 도소매(1.6%)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1.6% 증가 * 은행대출, 주식 등 금융상품거래 등의 증가 영향 * 의복, 신발·가방, 의약품 등의 판매가 늘어 생활용품도매업, 기타전문소매업 등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협회·수리·개인(-2.4%)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금융·보험(10.1%), 도소매(3.9%) 등에서 생산이 늘어 4.9% 증가 2. 소비 (소매판매) 승용차 등 내구재(-1.0%) 판매가 줄었으나, 의복 등 준내구재(5.8%), 의약품 등 비내구재(1.0%) 판매가 늘어 전월대비 1.4% 증가 * 전월 판매감소의 기저, 프로모션 진행 등으로 하절기 의류 판매 증가 * 코로나19 백신 접종 증가로 인한 관련 의약품 수요 증가 영향 전년동월대비로는 승용차 등 내구재(-3.3%) 판매가 줄었으나, 차량연료 등 비내구재(3.4%), 의복 등 준내구재(5.0%) 판매가 늘어 1.6% 증가 (소매업태별 판매) 전년동월대비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3.6%), 슈퍼마켓 및 잡화점(-8.6%), 대형마트(-1.7%), 전문소매점(-0.3%)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무점포소매(11.2%), 백화점(13.6%), 면세점(19.2%), 편의

통계청, 2021년 5월 산업활동 동향

이미지
1. 생산 (전산업생산) 광공업, 건설업, 서비스업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공공행정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1%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광공업, 서비스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7.3% 증가 (광공업생산) 반도체(5.3%)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자동차(-6.6%), 기계장비(-5.6%)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0.7% 감소 * 자동차: 차량용 반도체 등 부품 수급 차질에 따른 생산 감소 * 기계장비: 반도체조립장비, 웨이퍼가공장비 등 반도체장비 생산 조정 전년동월대비로는 기타운송장비(-11.1%)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반도체(26.9%), 자동차(32.1%) 등에서 생산이 늘어 15.6% 증가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0.1% 증가, 전년동월대비 4.9% 감소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3.8%로 전월과 동일한 수준 (서비스업생산) 숙박·음식점(2.5%)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도소매(-1.3%), 금융·보험(-1.0%)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0.2% 감소 * 도소매: 의복, 음식료품, 가전제품 등의 판매가 줄어 생활용품도매업, 종합소매업 등 감소 * 금융·보험: 주식 등 금융상품 거래가 줄어 금융지원서비스업 등의 감소 영향 전년동월대비로는 협회·수리·개인(-3.6%)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금융·보험(7.4%), 운수·창고(10.3%) 등이 늘어 4.4% 증가 2. 소비 (소매판매) 승용차 등 내구재(1.0%) 판매가 늘었으나, 의복 등 준내구재(-8.8%),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0.4%) 판매가 줄어 전월대비 1.8% 감소 * 의복: 최근 판매증가의 기저, 잦은 강수 등으로 하절기 의류 판매 감소 영향 * 음식료품: 외부활동 및 외식수요 증가에 따른 가정내 음식료품 수요 감소 영향 전년동월대비로는 화장품 등 비내구재(2.7%), 가전제품 등 내구재(3.2%), 의복 등 준내구재(4.2%) 판매가 모두 늘어 3.1% 증가 (소매업태별 판매) 전년동월대비 슈퍼마켓 및 잡화점(-13.6%), 전문소매점(-3.7%)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무점포소매(12

2021년 5월 자동차산업 국내 월간 동향

이미지
1. 자동차 (총괄) 2021년 5월 자동차 생산은 10.9%, 수출은 57.5%(수출액 93.7%) 증가하였으나, 내수는 △10.1%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 車반도체 수급차질에도 불구, 수출이 크게 증가하여 생산 증가를 견인 내수는 전년 동월 개별소비세 인하 확대 시행에 따른 역기저 효과 등으로 △10.1% 감소하였으나, 일평균은 역대 5월 중 3위로 상대적 선방 * 일평균 현황: 1위 8,885대(20.5월) > 2위 8,314대(16.5월) > 3위 7,984대(21.5월) (생산) 차량용 반도체 수급차질에 따른 생산량 조정에도 불구, 수출 확대 등으로 10.9% 증가(256,272대), 2개월 연속 증가 * 휴업현황: (현대) 울산 3공장 5.17/18/20, 울산 4공장 5.6~7, 울산5공장 5.17~18, 아산공장 5.24~26 / (기아) 소하리2공장 5.17~18 / (한국 GM) 부평‧창원공장 5.1~31 50% 감산 (글로벌 車생산국 동향) 2021.1~4월 기준 세계 10대 생산국 중 전년 동기 생산 감소세가 큰 폭으로 확대되었던 중국, 인도 제외시 한국은 주요국 대비 가장 큰 생산 증감률(+52.2%) 시현, 이는 국내 완성차社의 글로벌 판매 호조세에 따른 수출 확대 등에 기인 * (2020.1~4월) 생산 증감률(%) : (중국)△33.5, (일본)△16.3, (미국)△33.0, (독일)△43.1, (인도)△42.3, (멕시코)△29.6 * (2021.1~4월) 생산 증감률(%) : (중국)+54.0, (미국)+28.5, (일본)+10.7, (인도)+59.9, (독일)△30.1 (내수) 신차 효과(GV70, K8 등) 및 친환경차 판매 확대(+56.5%)에도 불구하고 역기저 효과 등으로 △10.1% 감소한 151,699대 판매 이번 달 베스트 셀링카(승용) TOP5는 모두 국산차가 차지 (국산차) 친환경차 판매 확대(전기차 +139%, 수소차 180%)에도 불구, 전반적인 공급량 감소 등으로 △14.5% 감소한 123,81

2021년 4월 산업활동동향

이미지
1. 생산 (전산업생산) 서비스업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광공업, 건설업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1.1%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서비스업, 광공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8.8% 증가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0.1% 감소, 전년동월대비 4.2% 감소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3.8%로 전월대비 1.1%p 하락 (서비스업생산) 운수·창고(-2.2%)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도소매(0.8%), 숙박·음식점(3.1%)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4% 증가 * 의복, 화장품, 음식료품 등의 판매가 늘어 종합소매업, 섬유·의복·신발소매업 등 증가 * 영업제한·집합금지 완화 효과 지속으로 음식점업, 숙박업 등 모두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금융·보험(12.3%), 도소매(9.3%), 운수·창고(15.9%) 등 모든 업종에서 생산이 늘어 8.4% 증가 2. 소비  (소매판매) 화장품 등 비내구재(2.4%), 의복 등 준내구재(4.3%),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0.7%) 판매가 모두 늘어 전월대비 2.3% 증가 * 따뜻한 날씨로 외부활동 증가, 소비심리 개선 영향 등  (소매업태별 판매) 전년동월대비 슈퍼마켓 및 잡화점(-8.9%), 대형마트(-1.2%)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무점포소매(15.3%), 전문소매점(7.8%), 백화점(30.6%), 면세점(51.6%),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3.5%), 편의점(8.0%)에서 판매가 증가 3. 투자 (설비투자)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3.0%) 및 항공기 등 운송장비(5.0%) 투자가 모두 늘어 전월대비 3.5% 증가 * 반도체 제조용 기계 수입(일평균, 백만달러, 관세청): (2020.4) 55.2 → (2021.3) 99.2 → (4) 106.8 * 항공기 수입(일평균, 백만달러, 관세청): (2020.4) 11.0 → (2021.3) 7.2 → (4) 23.4 전년동월대비로는 자동차 등 운송장비(-0.6%) 투자가 줄었으나,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23.9%) 투자가 늘어 16.8% 증가 (국내기계수주) 공공(-22.7%

2021년 4월 자동차산업 국내 월간 동향

이미지
1. 자동차 (총괄) 2021년 4월 자동차 생산은 11.8%, 수출은 52.8%(수출액 73.4%) 증가하였으나, 내수는 △3.8%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 금년 4월은 전 세계적인 차량용 반도체 수급 애로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전년 동월 기저 효과를 뛰어 넘는 호조세를 시현하며 생산 증가를 견인 * 2021.1분기까지는 한국GM(2021.2월~)만이 생산차질을 겪었으나, 4월부터는 현대, 기아, 쌍용 등 여타 업체도 생산 차질 발생 내수는 소폭 감소하였으나, 역대 4월 중 2위 실적 기록 (생산) 차량용 반도체 공급 상황에 따른 업체별 조업 조정에도 불구하고, 생산 차질 최소화 노력 및 수출 호조 등으로 11.8% 증가한 323,644대 * 공장 가동중단 현황:(현대) 울산 1공장 4.7~14 중단, 아산공장 1.12~13/19~20 중단 (기아) 화성공장 특근취소, (한국GM) 부평공장 (휴업) 4.19~23, (50% 감산) 4.26~30 (쌍용) 4.8~16 중단 (내수) 개소세 효과 감소 등으로 △3.8% 감소한 161,097대를 판매하였으나, 월간 판매대수는 2020.4월(16.7만대)에 이어 역대 두 번째 판매대수를 기록 * 20.3~6월 개별소비세 70% 감면 등 / 2021.1~6월 개별소비세 30% 감면 신차(제네시스 등) 호조와 친환경차 판매 확대(전기차 +18.8%, 수소차 59.1%)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 (국산차) 제네시스 등 신차 효과로 전년 월평균(13.3만대)을 상회하였으나, 부품공급(車반도체 등) 차질 등으로 △6.3% 감소한 135,146대 판매 * 20년 내수판매는 역대 최다 판매대수를 기록 (수입차) 대다수 브랜드의 판매 호조로 12.1% 증가한 25,951대 * 독일계 브랜드 : 벤츠(+11.0%), BMW(+1.7%) 등 판매 호조로 10.1% 증가 * 미국계 브랜드 : 포드(79.2%), 링컨(115.9%) 등 판매 호조로 18.5% 증가 * 국가별 판매 증감률(%) : 미국 18.5, 영국 △0.6, 스웨덴 12.0

2021년 3월 산업활동동향

이미지
1. 생산 (전산업생산) 광공업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서비스업, 건설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8%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광공업, 서비스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5.8% 증가 (광공업생산) 반도체(4.3%)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자동차(-4.8%), 기계장비(-3.0%)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0.8% 감소 * 차량용반도체 등 부품 수급 차질에 따른 생산량 조정 * 포장및충진기, 프레스기 등 기계장비 품목 생산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기타운송장비(-18.5%)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반도체(25.3%), 화학제품(8.2%) 등에서 생산이 늘어 4.7% 증가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1.2% 감소, 전년동월대비 3.5% 감소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5.0%로 전월대비 2.4%p 하락 (서비스업생산) 금융·보험(-3.1%)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운수·창고(5.8%), 숙박·음식점(8.1%)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1.2% 증가 *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지속, 수출입물량 증가 등으로 여객운송, 화물운송 등의 증가 * 영업제한·집합금지 완화 효과 지속으로 숙박업, 음식점업 등 모두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부동산(-0.7%)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도소매(8.8%), 금융·보험(9.5%) 등에서 생산이 늘어 7.8% 증가 2. 소비 (소매판매) 가전제품 등 내구재(-1.0%) 판매가 줄었으나, 의복 등 준내구재(9.1%), 화장품 등 비내구재(1.5%) 판매가 늘어 전월대비 2.3% 증가 * 온화한 날씨 및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외부활동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의복 등 준내구재(35.5%), 가전제품 등 내구재(12.7%),  화장품 등 비내구재(2.3%) 판매가 모두 늘어 10.9% 증가 (소매업태별 판매) 전년동월대비 슈퍼마켓 및 잡화점(-11.7%)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전문소매점(17.2%), 백화점(61.0%), 무점포소매(9.6%),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7.5%), 면세점(28.4%), 편의점(7.2%), 대형마트(0.2%)에서 판매가 증가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