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자동차통계인 게시물 표시

2025년 8월 자동차산업, 수출·내수·생산 모두 상승세

이미지
2025년 8월, 자동차산업이 역대 최고 기록을 새로 썼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에 따르면, 2025년 8월 자동차산업은 수출, 내수, 생산 모두에서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보이며 2개월 연속 상승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특히 전기차를 포함한 친환경차의 성장세가 두드러졌으며, 수출액과 누적 수출액 모두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였습니다.     수출액은 역대 최고치, 친환경차가 주도 자동차 수출액은 55.0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8.6% 증가하며 역대 8월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전기차 수출은 무려 78.4% 증가한 22,528대를 기록했고, 모델 중에서는 EV3와 인스터(캐스퍼 수출명)가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유럽 지역 수출은 전기차 수요에 힘입어 54%나 증가하며 전체 수출을 견인했습니다.   2025년 8월 자동차 수출 동향 전체 수출액: 55.0억 달러 (▲8.6%) 전기차 수출: 22,528대 (▲78.4%) EU 지역 수출: 7.92억 달러 (▲54.0%) 친환경차 전체 수출: 69,497대 (▲26.6%) 내수·생산도 동반 상승, 친환경차 점유율 50% 돌파 내수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8.3% 증가한 13.9만대를 기록하였으며, 이 중 친환경차는 7만대로 전체 내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전기차는 내수에서 55.7% 증가한 24,319대를 기록해 눈에 띄는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자동차 생산 역시 32.1만대로 7.1% 증가하며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8월 생산량을 달성했습니다. 향후전망 전기차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차 수요는 지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9월 중 전기차 누적 내수 판매량은 지난해 연간 판매량을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자동차산업은 중장기적으로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되며, 국내외 시장에서 한국 자동차의 경쟁력은 더욱 강화될 전망입니다.

2024년 자동차 주행거리로 읽는 삶의 변화와 도시의 움직임

이미지
2024년 자동차 주행거리, 단순 통계일까? 우리 삶을 바꾸는 신호일까? 한국교통안전공단 이 발표한 2024년 자동차 주행거리 통계를 보면, 그저 수치만 담겨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조금만 더 들여다보면, 그 속엔 우리의 삶과 도시의 모습이 바뀌고 있다는 징후가 숨어 있습니다. 자동차 등록대수 현황 왜 자동차 주행거리는 계속 늘어날까? 3430억 km . 2024년 우리나라 모든 차가 달린 거리입니다. 전년보다 2.3%나 더 달렸습니다. 왜 늘었을까요? 전기차가 많아지며 주행 부담이 줄었기 때문 택배, 배달, 출장 등 비대면 시대의 생활 방식이 만든 변화 지역 간 인프라 차이로 차량 이동의 중심이 도시 밖으로 이동 중 그림 하나로 보는 변화 아래 이미지는 최근 10년간 자동차 등록대수, 연간 주행거리, 평균 유가 의 흐름을 한눈에 보여줍니다. 등록대수는 꾸준히 늘었고, 유가는 요동쳤지만, 주행거리는 다시 증가세를 탔습니다. ▲ 2024년 자동차 등록대수 및 주행거리 통계 그래프 같은 데이터를 표 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연도 자동차 등록대수 (천 대) 연간 주행거리 (백만 km) 평균 유가 (원) 2015 20,548 298,323 1,405 2020 24,023 332,024 1,285 2023 25,757 335,460 1,601 2024 26,134 343,127 1,575 통계가 말하지 않는 것: 우리 사회의 변화 이제 자동차는 ‘소유’보다 ‘활용’의 도구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는 차량 유지비 부담이 낮아, 실제로 많이 운전되는 경향 이 강합니다. 2024년엔 기타연료 차량 주행거리 25.5% 증가 라는 수치가 이를 뒷받침합니다. 아래 표를 보면, 연료별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명확히 볼 수 있습니다: 연료 유형 등록대수 증감률 주행거리 증감률 전기·수소 등 기타연료 +28.1% +25.5% 경유 -3.4% -2.8%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