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소비자동향인 게시물 표시

2025년 9월 소비자심리지수 하락…향후 경기 우려 확대

이미지
2025년 9월 소비심리, 하락세로 전환 2025년 9월 한국은행 이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0.1로 전월 대비 1.3포인트 하락 했습니다. 이는 장기평균인 100을 상회하는 수치이지만,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소비자의 경제 심리가 다소 위축된 모습입니다.     경기전망과 소비전망 동반 하락 이번 조사에서는 향후 경기전망 지수가 3포인트 하락하며 97을 기록했고, 소비지출전망 역시 1포인트 낮아진 110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취업기회전망과 금리전망 모두 하락세를 보이며, 소비자들이 경제 전반에 대해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2025년 소비자심리지수 월별 추이 아래 표는 2025년 1월부터 9월까지의 소비자심리지수(CCSI)와 그 구성지수의 월별 기여도 변화를 정리한 자료입니다. 전반적으로 상반기에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으나, 9월에는 주요 지수들이 일제히 하락하며 심리 위축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특히 향후경기전망 과 소비지출전망 의 하락은 향후 소비 둔화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항목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소비자심리지수 91.2 95.2 93.4 93.8 101.8 108.7 110.8 111.4 110.1 전월 대비 지수차 3.0 4.0 △1.8 0.4 8.0 6.9 2.1 ...

소비심리 '111.4' 회복…한국경제에 훈풍 부나

이미지
소비심리 '111.4' 회복…한국은행 발표에 주목 한국은행 에 발표에 따르면, 2025년 8월 소비자심리지수(CCSI)가 111.4로 전월 대비 0.6포인트 상승 하였습니다. 이는 6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소비자들의 경기 인식이 장기평균을 상회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장기 기준선인 100을 웃도는 수치는 국민들이 경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신호로, 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구성지수 안정, 경기 회복 기대감 주요 구성지수 중 ‘현재경기판단’은 93으로 7포인트 상승해 최근 회복세를 뚜렷이 보여주었고, ‘물가수준전망’과 ‘주택가격전망’도 각각 2포인트씩 상승하였습니다. 반면, ‘향후경기전망’은 6포인트 하락하며 향후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남아 있음을 나타냅니다. 전체적으로는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 2025년 8월 소비자심리지수 추이 2003∼2024년 중 장기평균치를 기준값 100으로 하여 100보다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관적임을,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    물가와 기대인플레이션의 흐름 물가상승 기대 요인으로는 농축수산물(56.1%), 공공요금(40.3%), 공업제품(32.1%)이 지목되었으며, 향후 1년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6%로 전월 대비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실질 구매력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향후 금리 결정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향후전망 소비자심리지수의 꾸준한 상승은 내수 경기의 회복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다만 향후 경기전망과 취업기회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는 만큼, 정책 당국은 소비심리의 하방 리스크를 경계하며 거시경제 운용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입니다. 다음 달 발표에서 소비지표가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지 주목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