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공실률인 게시물 표시

2025년 2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

이미지
2025년 2분기 상업용 부동산 시장, 오피스 상승 vs 상가 하락 심화 한국부동산원 에서 발표한, 2025년 2분기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최신 동향을 쉽고 재미있게 알려드릴게요. 복잡한 숫자와 그래프 대신, 핵심만 쏙쏙 뽑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번 조사는 전국 오피스와 상가(중대형, 소규모, 집합)를 대상으로 임대료 변동, 투자 수익률, 그리고 빈 점포 비율(공실률) 등을 꼼꼼하게 살펴보았어요. 과연 우리 주변의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요? ▲ 2025년 2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 시도별 투자수익률 지도 상업용 부동산 시장, 오피스와 상가의 온도차! 2025년 2분기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오피스와 상가가 서로 다른 모습을 보였어요. 마치 한쪽은 따뜻하고, 다른 한쪽은 쌀쌀한 날씨 같다고 할 수 있죠. 먼저, 오피스(사무실) 시장 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경기 지역의 오피스는 낮은 공실률이 유지되면서 대형 오피스를 중심으로 임대료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어요. 서울의 도심, 강남, 여의도마포 같은 주요 업무 지구는 프라임급 오피스의 선호 현상이 강해지며 임대인 우위 시장이 지속되고 있고, 국제업무지구 개발이 진행 중인 용산은 신축 오피스를 중심으로 임대료 상승세를 보이며 서울의 임대가격지수는 전분기 대비 1.06% 상승했어요. 경기 지역의 판교·분당 지역도 IT 업계의 오피스 수요 대비 공급 부족으로 임대료 상승이 지속되고 있어 전분기 대비 0.45% 상승했습니다. 다만, 지방 시도는 수도권으로의 기업 집중 현상에 따른 오피스 임차 수요 감소로 인해 임대료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어요. 전국 오피스의 평균 임대료는 1제곱미터당 18,600원 수준이며, 투자 수익률은 1.36%를 기록했어요. 빈 사무실은 전국 평균 8.6%인데, 충북(31.1%), 강원(24.1%), 경북(23.8%) 등 지방은 빈 사무실이 많은 편이에요. 반면에, 상가 시장 은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2020년 3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결과 발표

이미지
한국감정원 은 전국 상업용부동산에 대한 2020년 3분기(9.30. 기준) 투자수익률, 공실률, 임대료 등 임대시장 동향을 조사․발표했다. * 오피스(일반 6층 이상), 중대형 상가(일반 3층 이상이거나 연면적 330㎡ 초과), 소규모 상가(일반 2층 이하이고 연면적 330㎡ 이하), 집합 상가의 4개 건물유형으로 구분‧조사 2020년 3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결과를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오피스 및 모든 상가 유형에서 전분기 대비 임대료, 투자수익률이 하락하고, 상가의 공실률이 다소 증가했다. (임대가격지수) 시장임대료 변동을 나타내는 임대가격지수는 전분기 대비 오피스는 0.19%하락, 상가는 중대형 0.41%, 소규모 0.41%, 집합 0.27% 하락했으며, 전국 평균 임대료는 오피스(3층 이상 평균)가 17.1천원/㎡, 상가(1층 기준)는 집합 27.7천원/㎡, 중대형 26.5천원/㎡, 소규모 19.8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투자수익률) 오피스 투자수익률은 1.32%, 중대형 상가는 1.14%, 소규모 상가는 1.08%, 집합 상가는 1.15%로 나타났다. 임대이익을 나타내는 소득수익률은 오피스 0.82%, 중대형 상가 0.72%, 소규모 상가 0.68%, 집합 상가 0.95%로 나타났으며, 자산가치 변동을 나타내는 자본수익률은 오피스 0.50%, 중대형 상가 0.41%, 소규모 상가 0.40%, 집합 상가 0.19%로 나타났다. (공실률) 전국 평균 공실률은 오피스는 11.2%, 중대형 상가는 12.4%, 소규모 상가는 6.5%로 나타났다. (지역 동향) 서울지역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매출부진 및 공실증가가 지속되며 임대료가 하락했다. 광주지역은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시행으로 휴업 및 공실이 증가하고, 신규 임차수요는 감소하며 전분기 대비 임대료가 하락했다. * (서울 임대가격지수, 전기대비)중대형 0.44%, 소규모 0.57%, 집합 0.23%↓ * (광주 임대가격지수, 전...

2020년 2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결과 발표

이미지
한국감정원 은 전국 상업용부동산에 대한 2020년 2분기(6.30. 기준) 투자수익률, 공실률, 임대료 등 임대시장 동향을 조사․발표했다. * 오피스(일반 6층 이상), 중대형 상가(일반 3층 이상이거나 연면적 330㎡ 초과), 소규모 상가(일반 2층 이하이고 연면적 330㎡ 이하), 집합 상가의 4개 건물유형으로 구분‧조사 2020년 2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결과를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오피스 및 모든 상가 유형에서 전분기 대비 임대료, 투자수익률이 하락하고 공실률이 다소 증가했다. (임대가격지수) 시장임대료 변동을 나타내는 임대가격지수는 전분기 대비 오피스는 0.23%하락, 상가는 중대형 0.26%, 소규모 0.25%, 집합 0.31% 하락했으며, 전국 평균 임대료는 오피스(3층 이상 평균)가 17.1천원/㎡, 상가(1층 기준)는 집합 27.8천원/㎡, 중대형 26.6천원/㎡, 소규모 19.9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투자수익률) 오피스 투자수익률은 1.33%, 중대형 상가는 1.18%, 소규모 상가는 1.09%, 집합 상가는 1.27%로 나타났다. 임대이익을 나타내는 소득수익률은 오피스 1.05%, 중대형 상가 0.95%, 소규모 상가 0.84%, 집합 상가 1.11%로 나타났으며, 자산가치 변동을 나타내는 자본수익률은 오피스 0.28%, 중대형 상가 0.23%, 소규모 상가 0.25%, 집합 상가 0.15%로 나타났다. (공실률) 전국 평균 공실률은 오피스는 11.3%, 중대형 상가는 12.0%, 소규모 상가는 6.0%로 나타났다. (지역 동향) 서울지역은 명동, 동대문 상권을 중심으로 관광객 감소, 오프라인 매장 수요 감소로 인한 입점업체의 매출부진 등으로 상권 침체가 지속되며 임대료가 하락했다. 대구지역은 코로나19의 지역 내 확산 진정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와 전분기 임대료 급락에 대한 기저효과로 임대료가 상승했다. * (서울 임대가격지수, 전기대비)중대형 0.28%, 소규모 0.34%, 집합 0.35%↓ * (대구 임대가격지수, 전...

2019년 4분기 및 연간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결과 발표

이미지
▲ 상업용부동산 임대시장동향, 2019년 연간 시도별 투자수익률 및 권리금 현황 한국감정원 은 전국 상업용부동산에 대한 2019년 4분기(12.31.기준)  공실률, 임대료, 투자수익률 등 임대시장 동향을 조사․발표했다. * 오피스(일반 6층 이상), 중대형 상가(일반 3층 이상이거나 연면적 330㎡ 초과), 소규모 상가(일반 2층 이하이고 연면적 330㎡ 이하), 집합 상가의 4개 건물유형으로 구분‧조사 ▣ 2019년 4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2019년 4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결과, 오피스는 전분기 대비 임대료와 공실률 모두 소폭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상가는 공실률이 상승한 가운데, 모든 유형에서 임대료가 하락하였다. (공실률) 전분기 대비 오피스는 0.4%p 하락한 11.5%로 나타났으며, 중대형 상가는 0.2%p 상승한 11.7%, 소규모 상가는 0.3%p 상승한 6.2%로 나타났다. (임대료) 임대료 변동추이를 나타내는 임대가격지수는 전분기 대비 오피스는 0.07% 하락하였으며, 상가의 경우 중대형 0.12%, 소규모 0.21%, 집합 0.10% 하락한 가운데, 전국 평균 임대료는 오피스(3층 이상 평균)가 17.1천원/㎡, 상가(1층 기준)는 집합 28.2천원/㎡, 중대형 28.0천원/㎡, 소규모 20.3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투자수익률) 3분기 재산세 납부 등 일시적 운영경비 증가 영향이 사라지면서 소득수익률이 개선된 가운데, 전분기 대비 오피스는 0.28%p 상승한 2.10%, 중대형 상가는 0.26%p 상승한 1.69%, 소규모 상가는 0.16%p 상승한 1.43%, 집합 상가는 0.40%p 상승한 1.76%로 나타났다. * (소득수익률)오피스 1.07%, 중대형 상가 1.01%, 소규모 상가 0.89%, 집합 상가 1.17% 자본수익률은 오피스 1.03%, 중대형 상가 0.68%, 소규모 상가 0.53%, 집합 상가 0.60%로 자산가치의 상승을 나타냈다. (지역 동향)...

2019년 3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결과 발표

이미지
▲ 2019년 3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 한국감정원 은 전국 상업용부동산에 대한 2019년 3분기(9.30.기준) 투자수익률, 공실률, 임대료 등 임대시장 동향을 조사․발표했다. * 오피스(일반 6층 이상), 중대형 상가(일반 3층 이상이거나 연면적 330㎡ 초과), 소규모 상가(일반 2층 이하이고 연면적 330㎡ 이하), 집합 상가의 4개 건물유형으로 구분‧조사 2019년 3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결과를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오피스 및 상가 모든 유형에서 전분기 대비 임대료 및 투자수익률이 하락했으며, 소규모 상가의 공실률이 전분기 대비 다소 상승했다. 전국 평균 공실률은 오피스는 11.8%, 중대형 상가는 11.5%, 소규모 상가는 5.9%로 나타났다. 시장임대료 변동을 나타내는 임대가격지수는 전분기 대비 오피스는 0.18%하락, 상가는 중대형 0.18%, 소규모 0.17%, 집합 0.19% 하락했으며, 전국 평균 임대료 수준은 오피스(3층 이상 평균)가 17.1천원/㎡이며, 상가(1층 기준)는 집합 28.2천원/㎡, 중대형 28.0천원/㎡, 소규모 20.4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3분기는 재산세 납부 등으로 인해 운영경비가 증가하여 소득수익률이 하락하면서 오피스 및 상가 투자수익률은 전분기 대비 하락했으며, 피스는 전분기 대비 0.01%p 하락한 1.83%, 중대형 상가는 0.10%p 하락한 1.43%, 소규모 상가는 0.13%p 하락한 1.27%, 집합 상가는 0.19%p 하락한 1.36%로 나타났다. 임대이익을 나타내는 소득수익률은 오피스 0.87%, 중대형 상가 0.80%, 소규모 상가 0.75%, 집합 상가 0.84%로 나타났으며, 자본수익률(자산가치 변동)은 오피스 0.96%, 중대형 상가 0.63%, 소규모 상가 0.52%, 집합 상가 0.52%로 자산가치 상승을 나타냈다. 강원은 강릉‧속초중앙시장 상권 등에서 주요시장 및 테마거리를 중심으로 유동인구 및 상권 매출액 증가 등 상권활성화로 임대료가 상...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1~2022 한국관광 100선을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