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보건통계인 게시물 표시

2024년 사망원인통계로 본 대한민국의 건강 경고등

이미지
2024년 사망원인통계로 본 대한민국의 건강 경고등 우리나라에서 한 해 동안 얼마나 많은 사람이, 어떤 원인으로 생을 마감하는지 아시나요? 통계청 이 발표한 ‘2024년 사망원인통계 결과’는 대한민국의 보건·복지 현실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고령화가 본격화되면서 사망자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만성질환과 정신건강 문제가 주요 원인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 통계는 단순한 숫자 이상으로, 우리가 앞으로 어디에 관심을 두고 대비해야 할지를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2024년 사망, 고령사회가 만든 큰 변화 2024년 대한민국에서 총 35만8천여 명이 사망해 전년 대비 1.7% 증가하였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조사망률은 702.6명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80세 이상 고령층이 전체 사망자의 54.1%를 차지하며, 고령사회 진입이 사망 통계에 본격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사망의 주요 원인이 고연령층에서 발생하고 있는 만큼, 고령자 건강 정책 강화가 절실합니다. ▲ 사망자 수 및 조사망률 추이, 1983-2024)(좌), 연령별 사망자 수 구성비(우) 암, 심장질환, 폐렴…여전히 흔한 사망 원인 사망 원인 1위는 암으로, 인구 10만 명당 174.3명에 달했습니다. 전체 사망자의 24.8%가 암으로 인해 생을 마감했고, 그 뒤를 심장 질환(65.7명), 폐렴(59.0명)이 이었습니다. 자살은 5위(29.1명)로, 전년보다 6.6% 증가하며 심각성을 더했습니다. 이 세 가지 원인이 전체 사망의 42.6%를 차지했습니다. ▲ 사망원인 순위 추이    순위 사망원인 사망률(명/10만명) 전년 대비 1 암 174.3 +4.5% 2 심장질환 65.7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