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소비자원인 게시물 표시

가정용 핸디형 피부관리기 안전실태 결과 요약: 소비자 주의 필수

이미지
가정용 피부관리기, 편리하지만 안전은 꼭 확인해야 합니다 최근 한국소비자원 은 가정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핸디형 피부관리기’ 10개 제품의 안전성을 조사했습니다. 피부 탄력 개선과 리프팅 효과를 내세운 제품들이 많지만, 일부는 피부 자극이나 과열 우려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조사 결과, 대부분은 안전했지만 일부 제품은 자극 우려 실효전류(전류 세기)와 표면온도는 대부분 기준을 충족했으나, 1개 제품(케어클 CLB 콜라겐 부스터)은 EMS와 고주파 기능이 동시에 작동해 피부에 강한 자극을 줄 가능성이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3개 제품은 기기 표면온도가 정상 체온(37℃)을 넘어 최대 40℃까지 올라가, 장시간 사용 시 주의가 필요했습니다. 제품명 작동방식 주파수(Hz) 실효전류(mA) 비고 케어클 CLB 콜라겐 부스터 EMS + 고주파 4,348,000 59 과도한 자극 우려 프라엘 멀티코어 미세전류+고주파 1,001,000 69 온도 40℃ 펄케어 뉴소닉 미세전류 101 3 온도 40℃ 앞으로의 기준 마련과 소비자 유의사항 유럽연합(EU)은 이미 피부관리기 전류 세기를 2.5mA 이하로 제한하는 국제 기준을 마련했습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 도 국내 안전기준 제정을 관계부처에 요청할 계획입니다. 소비자께서는 제품 사용 전 권장시간과 사용부위를 반드시 확인하고, 자극이나 뜨거움이 느껴지면 즉시 사용을 중단하시기 바랍니다. 가정용 핸디형 피부관리기 안전실태 자세히보기

새치커버 제품 비교: 발림성부터 색상 지속력까지 한눈에

이미지
쉽고 고르게 바르는 새치커버, 제품별 차이 있다 최근 한국소비자원 이 새치커버 제품 10종(스틱형 6개, 쿠션형 4개)을 대상으로 발림성, 색상 유지력, 가격 등을 평가한 결과, 제품 간 성능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새치커버는 간편하게 흰머리를 가릴 수 있는 제품으로 소비자의 관심이 높지만, 실제로는 사용성이나 지속력에서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사용성·색상 유지력은 어떤 제품이 좋았나 평가 결과, 발림성은 스틱형 제품이 대체로 우수했으며, 색상이 뭉치지 않고 고르게 발리는 정도는 쿠션형 제품에서 높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맥퀸뉴욕’ 제품은 사용성과 색상 발림성 모두에서 최고 등급(★★★)을 받았습니다. 반면 빗물이나 마찰에 의한 색상 유지력에서는 ‘모에타’, ‘유니드칼라’, ‘댕기머리’ 제품이 4점 이상으로 우수했습니다. 제품명 발림성 (쉽게/고르게) 색상유지력 (빗물/마찰) 묻어남 1g당 가격(원) 나틴다 ★★ / ★ 3.4 / 1.5 4.3 2,720 댕기머리 ★★★ / ★★ 4.3 / 4.0 1.8 1,483 라헨느 ★★ / ★ 3.7 / 2.3 2.0 644 모에타 ★★★ / ★★ 4.5 / 2.9 1.3 1,400 유니드칼라 ★★★ / ★★ 4.4 / 2.7 2.2 875 카라 ★★★ / ★★ 4.4 / 3.4 2.1 1,429 로브로제 ★★ / ★★★ 3.3 / 2.8 4.4 3,433 맥퀸뉴욕 ★★★ / ★★★ 4.0 / 3.2 3.1 6,720 모다모다 ★ / ★★ 3.3 / 3.4 4.7 4,571 563랩 ★ / ★★ 3.3 / 3.6 4.7 5,160 가격 대비 성능, 꼼꼼히 비교하세요 단위당 가격은 라헨느 제품이 644원으로 가장 저렴했으며, 맥퀸뉴욕 제품은 6,720원으로 가장 비쌌습니다. 유해물질은 전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일부 제품은 내용량 부족 또는 표시사항 누락으로 기준에 미달한 점...

멀티탭·콘센트 사고 급증! 어린이 안전사고 절반 차지

이미지
멀티탭·콘센트 사고, 어린이에게 더 위험합니다 멀티탭과 콘센트는 우리 일상에 꼭 필요한 전기용품입니다. 그러나 사용이 늘어나면서 안전사고도 함께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 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관련 사고는 387건에 달하며, 특히 10세 미만 어린이 사고가 절반을 차지 해 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화재·감전이 절반, 대부분 가정에서 발생 멀티탭 관련 사고의 70%는 전기적 원인이나 과열, 화재였습니다. 그중 감전, 합선 같은 전기적 문제는 전체의 44.7%로 가장 많았고, 피해자 중 절반이 화상을 입었습니다. 놀라운 점은 사고 장소의 85%가 ‘가정’이라는 것입니다. 특히 에어컨이나 온열기 같은 고전력 제품은 반드시 단독 콘센트에 연결해야 합니다.  ※ 연도별 접수 건수: (2020년) 79건 → (2021년) 52건 → (2022년) 62건 → (2023년) 93건 → (2024년) 101건 어린이 사고, 멀티탭 사용습관 점검 필요 사고 피해자 중 절반이 10세 미만 어린이였습니다. 젓가락을 콘센트에 꽂거나, 플러그를 만지다 감전되는 사고가 실제로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멀티탭에 멀티탭을 또 연결하는 '문어발식 사용'은 절대 금물입니다. 가정에서는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멀티탭을 설치하고, 전선이 눌리거나 꺾이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소비자 안전사고 위해사례 (4세, 남) 멀티탭에 젓가락을 꽂아 감전되시고 손에 화상을 입으셨습니다. (28세, 성별 미상) 온풍기, 스마트폰 충전기, 컴퓨터를 연결해 사용하시던 멀티탭이 폭발하여 스파크(불꽃) 및 연기가 발생하였습니다. (49세, 여) 세탁기, 건조기를 연결해 사용하시던 멀티탭에서 스파크(불꽃) 및 연기가 발생하였습니다. (연령‧성별 미상) 에어컨, 전기제품이 연결된 멀티탭에서 과부하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 (1세, 여) 콘센트 단자 돌출 부위에 부딪혀 출혈 및 이마에 열상이 발생하였습니다. (7세, 남) 태권...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