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어린이코스튬인 게시물 표시

해외직구 어린이 코스튬 절반 이상 ‘국내 안전기준 불합격’… 부모 주의 필요

이미지
해외직구 어린이 코스튬 절반, 국내 안전기준 미달 최근 핼러윈 시즌을 맞아 해외직구로 어린이 코스튬을 구매하는 부모님들이 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소비자원 조사 결과, 해외직구 플랫폼(알리익스프레스·테무)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 코스튬 17종 중 절반 이상(52.9%)이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일부 제품은 환경호르몬 검출, 화재 위험, 삼킴 위험 등 안전문제가 확인되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해외직구 어린이 코스튬 부적합 제품 국내 기준 초과한 유해물질과 화재 위험 조사 결과, 3개 제품에서는 환경호르몬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0.1%)보다 최대 624배 초과 검출되었으며, 1개 제품에서는 납이 기준치의 2.3배 이상 나왔습니다. 또한 조사대상 15개 제품 중 40%는 불에 쉽게 타거나 경고표시가 없었습니다. 촛불이나 폭죽 등에 노출될 경우 화상과 화재 위험이 커집니다. 주요 부적합 항목 비율(%) 문제 내용 작은 부품 경고 미표시 35.3% 삼킴·질식 위험 있음 프탈레이트·납 검출 17.6% 환경호르몬 및 중금속 초과 화염전파속도 기준 초과 40% 불에 잘 타 화상 위험 높음 앞으로의 소비자 대응과 안전한 선택법 한국소비자원은 해당 결과를 해외직구 플랫폼에 공유하고, 위해 제품의 판매를 차단하도록 권고했습니다. 소비자께서는 구매 전 제품 설명에 안전 인증(어린이제품안전확인 마크)이 있는지 확인하고, 경고표시가 없는 저가 코스튬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이상 증상이 있는 제품은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을 통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안전성과 품질을 모두 고려한 현명한 소비가 필요합니다. 해외직구 어린이 코스튬 안전실태 자세히 보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