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미분양주택인 게시물 표시

2025년 7월 미분양 주택 6만2천호…수도권·지방 모두 감소세

이미지
2025년 7월 미분양 주택, 다시 감소세 전환 국토교통부 가 발표한 2025년 7월 말 기준 자료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 수는 총 62,244호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월보다 2.3% 감소한 수치로, 연초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며 시장 안정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 2025년 7월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수도권·지방 모두 감소…준공 후 미분양은 증가 수도권의 미분양은 13,283호로 전월 대비 4.7% 줄었으며, 지방도 48,961호로 1.7%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7,057호로 1.3% 증가해, 공급 이후에도 수요가 뒷받침되지 않는 상황이 일부 지역에서 지속되고 있습니다. 서울은 오히려 소폭 증가했고, 경기는 5.2% 줄어든 모습이 눈에 띕니다. 면적별 격차 뚜렷…대형 평형은 증가 85㎡를 초과하는 대형 평형 미분양 주택은 전월보다 4.3% 증가한 10,166호로 집계된 반면, 85㎡ 이하 소형 평형은 3.5% 감소한 52,078호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실수요자들이 상대적으로 접근 가능한 중소형 주택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주택시장 향후 전망 전국적으로 미분양 물량이 감소세를 보이는 가운데, 일부 지역의 준공 후 미분양 증가와 대형 평형의 누적은 주택시장 회복이 지역과 면적에 따라 상이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향후 금리 변화와 정책 방향에 따라 미분양 흐름은 유동적일 수 있으며, 예의주시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2025년 6월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이미지
미분양 주택, 하락세 이어질까? 국토교통부 의 발표에 따르면  최근 전국 미분양 주택 수가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6월 말 전국 미분양 주택은 63,734호로 전월 대비 4.4% 감소했고, 수도권과 지방 모두 감소했습니다. 특히 수도권은 8.9% 줄며 감소폭이 두드러졌습니다. ▲ 2025년 6월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수도권 미분양 급감, 지방도 회복세 수도권 미분양 주택은 13,939호로 전달 대비 1,367호 줄어, 감소율이 높았습니다. 반면 지방은 3.1% 감소한 49,795호였습니다. 준공 후 미분양 또한 전국적으로 감소하며 부동산 시장의 점진적인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향후전망 당분간 전국 미분양 감소세는 계속될 전망입니다. 특히 수도권 중심의 수요 회복으로 시장 안정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지역별로 편차가 크기 때문에, 지역 맞춤형 정책 대응이 필요합니다. 미분양 통계보기

2020년 2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39,456호 전월 대비 8.8% 감소

이미지
국토교통부 는 2020.2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총 39,456호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전월(43,268호) 대비 8.8%(3,812호), 전년 동월(59,614호) 대비 33.8%(20,158호) 각각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국 미분양 주택은 2019.6월(63,705호) 이후 8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19.6월 63,705호 → 2019.9월 60,062호 → 2019.12월 47,797호 → 2020.2월 39,456호 준공 후 미분양은 2월말 기준으로 전월(17,500호)대비 0.8%(146호) 감소한 총 17,354호로 집계되었다. * 2019.11월 19,587호 → 2019.12월 18,065호 → 2020.1월 17,500호 → 2020.2월 17,354호 지역별로 수도권 미분양은 4,233호로 전월(4,901호) 대비 13.6%(668호) 감소하였고, 지방은 35,223호로 전월(38,367호) 대비 8.2%(3,144호) 감소하였다. 특히, 지방 미분양은 2019.8월(52,054호) 이후 6개월 연속 감소하였으며, 전년 동월(51,887호) 대비 32.1%(16,664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신규 등 증가분 : 2020.1월 1,882호 → 2020.2월 947호(수도권 344호, 지방 603호) * 기존 미분양 해소분 : 2020.1월 6,411호 → 2020.2월 4,759호(수도권 1,012호, 지방 3,747호) 규모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전월(3,565호)대비 12.5%(446호) 감소한 3,119호로 집계되었고, 85㎡ 이하는 전월(39,703호) 대비 8.5%(3,366호) 감소한 36,337호로 나타났다. 이 같은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은 국토교통부 국토교통통계누리( http://stat.molit.go.kr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국토교통부

2019년 12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47,797호 전월 대비 10.8% 감소

이미지
▲ 2019년 12월말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국토교통부 는 2019.12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총 47,797호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전월(53,561호) 대비 10.8%(5,764호), 전년 동월(58,838호) 대비 18.8%(11,041호) 각각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국 미분양 주택은 2019.6월(63,705호) 이후 6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19.6월 63,705호 → 2019.8월 62,385호 → 2019.10월 56,098호 → 2019.12월 47,797호 준공 후 미분양은 12월말 기준으로 전월(19,587호)대비 7.8%(1,522호) 감소한 총 18,065호로 집계되었다. * 2019.9월 19,354호 → 2019.10월 19,439호 → 2019.11월 19,587호 → 2019.12월 18,065호 지역별로 수도권 미분양은 6,202호로 전월(8,315호) 대비 25.4%(2,113호) 감소하였고, 지방은 41,595호로 전월(45,246호) 대비 8.1%(3,651호) 감소하였다. 특히, 지방 미분양은 2019.8월(52,054호) 이후 4개월 연속 감소하였으며, 전년 동월(52,519호) 대비 20.8%(10,924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신규 등 증가분 : 2019.11월 3,402호 → 2019.12월 2,746호(수도권 484호, 지방 2,412호) * 기존 미분양 해소분 : 2019.11월 5,939호 → 2019.12월 8,660호(수도권 2,597호, 지방 6,063호) 규모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전월(4,429호)대비 13.5%(596호) 감소한 3,833호로 집계되었고, 85㎡ 이하는 전월(49,132호) 대비 10.5%(5,168호) 감소한 43,964호로 나타났다. 이 같은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은 국토교통부 국토교통통계누리( http://stat.molit.go.kr )에서 확인...

2019년 11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53,561호 전월 대비 4.5% 감소

이미지
▲ 2019년 11월말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국토교통부 는 11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총 53,561호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전월(56,098호) 대비 4.5%(2,537호), 전년도 동월(60,122호) 대비 10.9%(6,561호) 각각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국 미분양 주택은 2019.6월(63,705호) 이후 5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19.8월 62,385호 → 2019.9월 60,062호 → 2019.10월 56,098호 → 2019.11월 53,561호 준공 후 미분양은 11월말 기준으로 전월(19,439호)대비 0.8%(148호) 증가한 총 19,587호로 집계되었다. * 2019.8월 18,992호 → 2019.9월 19,354호 → 2019.10월 19,439호 → 2019.11월 19,587호 지역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수도권 미분양은 8,315호로, 전월(8,003호) 대비 3.9%(312호) 증가하였고, 지방은 45,246호로, 전월(48,095호) 대비 5.9%(2,849호) 감소하였다. * 신규 등 증가분 : 2019.10월 1,452호 → 2019.11월 3,402호(수도권 1,768호, 지방 1,634호) * 기존 미분양 해소분 : 2019.10월 5,416호 → 2019.11월 5,939호(수도권 1,456호, 지방 4,483호) 규모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전월(4,573호)대비 3.1%(144호) 감소한 4,429호로 집계되었고, 85㎡ 이하는 전월(51,525호) 대비 4.6%(2,393호) 감소한 49,132호로 나타났다. 이 같은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은 국토교통부 국토교통통계누리( http://stat.molit.go.kr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국토교통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