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일자리정책인 게시물 표시

서울시니어일자리지원센터 성과 요약: 634명 취업한 이유는?

이미지
서울시 시니어 일자리 확대의 핵심 흐름 서울시 는 올해 개소한 서울시니어일자리지원센터를 통해 단기간에 높은 취업 성과를 냈습니다. 센터는 60세 이상 시민에게 상담, 직무교육, 인턴십까지 한 번에 지원하며 초고령사회 대응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방문자분들께서 이 주제의 핵심을 빠르게 파악하시도록 주요 데이터를 표로 정리해드렸습니다. 구분 성과(’25.10 기준) 취업 인원 634명 시니어 인턴십 337명 참여 누적 구직 등록 2,770명 취업 상담 6,669건 협력 기업 457개 기관 시니어 취업을 돕는 핵심 프로그램 서울시는 ‘시니어 취업사관학교’와 AI 기반 ‘시니어 인력뱅크’를 통해 교육부터 매칭·취업까지 이어지는 체계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특히 진로 탐색→직무훈련→인턴십의 3단계 교육 과정은 시니어의 직무 적응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기업 수요에 기반한 교육을 제공해 실제 고용으로 이어지는 구조가 강점입니다. ▲ 도보배달원(인턴십) 활동 모습 민간 협력 기반의 새로운 시니어 직무 발굴 서울시는 457개 공공·민간기업과 연계해 ‘시니어 전문셀러’, ‘그린홈컨설턴트’, ‘도보배송원’ 등 15개 신규 적합 직무를 개발했습니다. 특히 판매·상담 등 사람을 다루는 직무에서 시니어의 강점이 돋보이며, 실제 취업 전환율도 높게 나타났습니다. 경력 공백이나 생계 부담을 가진 분들에게도 재취업 사례가 속속 나오고 있습니다. ▲ 그린홈 컨설턴트 직무교육 과정 향후 전망 앞으로 서울시는 민간 협력 확대와 전문 교육 기반을 강화해 어르신 맞춤형 일자리 모델을 지속적으로 늘릴 계획입니다. 특히 AI 직무 매칭과 실전형 교육이 자리 잡으면 더 많은 시니어가 안정적으로 새로운 경력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서울 시니어 일자리 성과 자세히 보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