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경기동향인 게시물 표시

2025년 9월 산업활동동향 요약: 생산↑ 투자↑ 소비는 숨고르기

이미지
2025년 9월 산업활동, 생산 늘고 소비는 숨고르기 국가데이터처 가 발표한 ‘2025년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우리 경제는 전반적으로 생산이 늘고 소비는 소폭 둔화 된 가운데, 투자와 경기 지표가 개선세를 보이며 회복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번 통계는 산업 전반의 움직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주요 자료로, 경제 체온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평가됩니다. 생산: 서비스업이 견인, 반도체가 중심 9월 전산업생산은 전월보다 1.0% 증가 했습니다. 광공업 생산이 자동차(-18.3%)와 기계장비(-6.9%) 부진으로 1.2% 줄었으나, 서비스업 생산이 1.8% 늘며 전체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특히 반도체(19.6%) 가 생산 확대를 주도했고, 전년동월대비로는 전체 생산이 6.7% 증가 했습니다. 구분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전산업생산 +1.0 +6.7 광공업 -1.2 +11.6 서비스업 +1.8 +6.2 소비: 내구재는 선전, 의복은 주춤 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월보다 0.1% 감소 했습니다.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는 3.9% 증가 했으나, 의복(-5.7%) 등 준내구재와 차량연료(-0.1%) 등 비내구재 소비가 줄었습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승용차 등 내구재 판매가 11.1% 늘어, 소비심리가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있습니다. 투자: 설비·건설 모두 큰 폭 증가 기업의 투자 움직임은 활발했습니다. 9월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12.7% 증가 했으며, 특히 반도체 제조용 기계와 운송장비 투자가 대폭 늘었습니다. 건설기성도 11.4% 증가 해, 5개월 만에 반등했습니다. 다만 건설수주는 전년보다 8.6% 감소해 향후 변동성은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경기: 완만한 회복 흐름 지속 경기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는 전월보다 0.2포인트 상승 하며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갔습니다. 선행지수도 0.1포인트 올랐는데, 이는 수출입 가격 비...

2025년 3월 산업활동 동향

이미지
통계청 이 발표한 2025년 3월 전산업 생산은 서비스업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광공업 등에서 증가하여 전월 대비 0.9% 증가하였습니다. 소매판매는 통신기기·컴퓨터 등의 판매 부진으로 전월 대비 0.3% 감소하였고, 설비투자는 기계류 투자의 감소로 전월 대비 0.9% 감소, 건설기성은 토목 및 건축 공사 실적 부진으로 전월 대비 2.7% 감소하였습니다. 전산업생산지수 경기 측면에서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3p 상승,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2p 상승하였습니다. 주요 산업별 동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 의약품 등의 호조에 힘입어 전월 대비 2.9% 증가하였으나, 기계장비에서는 감소가 나타났습니다. 서비스업 생산은 보건·사회복지 분야에서는 증가했으나, 도소매, 금융·보험 등에서 감소하여 전월 대비 0.3% 감소하였습니다. 소매판매에서는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와 의복 등 준내구재의 판매가 늘었지만,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의 판매가 줄어 전체적으로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에서는 증가했으나, 기계류에서 투자가 줄어 감소하였고, 건설기성은 토목 및 건축 모두에서 공사실적이 줄었습니다. ▲ 2025년 3월 산업활동 동향 인포그래픽(출처:통계청)

2020년 3/4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이미지
1. 시·도 서비스업생산 2020년 3/4분기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서울은 증가하였으나, 15개 시․도에서는 감소 인천(-11.6%), 제주(-8.7%), 강원(-5.6%) 등은 운수·창고, 숙박·음식점, 예술·스포츠·여가, 도소매 등에서 부진하여 감소 (인천) 운수‧창고(-39.3%), 숙박·음식점(-20.5%), 교육(-7.0%), 도소매(-4.2%), 예술·스포츠·여가(-33.8%) 등에서 감소 (제주) 도소매(-14.8%), 운수‧창고(-21.5%), 예술‧스포츠‧여가(-42.3%), 숙박·음식점(-13.8%), 교육(-6.7%) 등에서 감소 (강원) 예술·스포츠·여가(-45.7%), 숙박·음식점(-19.5%), 운수·창고(-12.6%), 교육(-3.4%), 도소매(-1.8%) 등에서 감소 서울(2.2%)은 금융·보험(27.6%), 부동산(16.2%)에서 호조를 보여 증가 2. 시·도 소매판매 2020년 3/4분기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8개 시·도에서 증가하였으나, 8개 지역에서는 감소 전남(3.4%), 충남(1.7%), 경남(1.3%) 등은 승용차·연료소매점, 슈퍼·잡화·편의점 등에서 판매가 늘어 증가 제주(-30.4%), 인천(-9.4%), 서울(-7.8%), 부산(-2.5%), 광주(-1.7%) 등은 백화점, 면세점, 전문소매점 등에서 판매가 줄어 감소 (제주) 면세점(-79.4%), 전문소매점(-16.8%)에서 주로 감소 (인천) 면세점(-89.5%), 전문소매점(-2.8%)에서 주로 감소 (서울) 전문소매점(-13.6%), 면세점(-17.3%), 백화점(-4.8%)에서 주로 감소 (부산) 면세점(-72.7%), 전문소매점(-5.9%)에서 주로 감소 (광주) 전문소매점(-5.4%), 백화점(-12.8%)에서 주로 감소 첨부파일 출처:  통계청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