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경상수지인 게시물 표시

2025년 9월 국제수지, 134.7억 달러 흑자…수출·배당소득이 견인

이미지
2025년 9월, 경상수지 134.7억 달러 흑자 기록 한국은행 이 발표한 2025년 9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경상수지는 134.7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같은 달보다 흑자 폭이 확대된 것으로, 반도체 등 수출 호조와 배당 중심의 본원소득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특히 상품수지는 142.4억 달러 흑자로 전년 대비 36.4% 증가하며 전체 수지 개선을 이끌었습니다. 구분 2024년 9월 2025년 9월 전년동월 대비 경상수지 112.9억달러 134.7억달러 +19.3% 상품수지 106.7억달러 142.4억달러 +33.5% 서비스수지 -21.0억달러 -33.2억달러 적자 확대 본원소득수지 31.0억달러 29.6억달러 소폭 감소 수출 호조, 상품수지 개선의 핵심 요인 9월 수출은 672.7억 달러로 전년 대비 9.6% 증가했으며, 반도체와 선박, 전자제품 수출이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특히 반도체 수출은 22.1% 늘어나며 수출 총액의 약 25%를 차지했습니다. 한편 수입은 4.5% 증가한 530.2억 달러로, 자본재와 소비재 수입이 확대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상품수지는 큰 폭의 흑자를 기록하며 전체 경상수지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서비스 적자 지속, 본원소득은 배당 중심으로 견조 서비스수지는 여행과 기타사업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33.2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본원소득수지는 배당소득(23.6억 달러)을 중심으로 29.6억 달러 흑자를 보였습니다. 이는 해외투자 배당금 수취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전소득수지는 4.2억 달러 적자로, 해외 송금 증가가 주요 요인입니다. 향후전망 향후 경상수지는 수출 회복세와 해외투자 수익 지속으로 안정적인 흑자 기조를 유지할 전망입니다. 다만 서비스수지 적자가 지속되고 글로벌 유가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흑자 폭은 다소 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2025년 연간...

2025년 한국경제, 반도체 덕에 버티는 성장…내년은 괜찮을까?

이미지
요즘 경제, 불안한데… 진짜 상황은? 한국은행 이 발표한 ‘2025년 10월 경제상황 평가’에 따르면, 한국경제는 생각보다 탄탄하게 버티고 있습니다. 건설투자가 주춤했지만 소비가 살아나고, 반도체 수출이 사상 최대치를 찍으며 전체 성장을 이끌고 있죠. 올해 성장률은 0.9%로 예상되며, 이는 8월 전망치와 거의 같습니다. 물가는 환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2% 수준에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어, 장바구니 물가 걱정도 다소 덜한 상황입니다.     반도체는 효자, 관세는 복병 요즘 반도체가 한국경제의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AI 열풍으로 고성능 메모리(HBM) 반도체 수요가 폭발하면서 9월 통관수출은 659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고율 관세가 자동차·철강 같은 비(非)IT 품목에 타격을 주며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결국 “AI 반도체가 수출을 살리고, 관세가 발목을 잡는 구조”인 셈입니다. 소비는 정부 지원과 심리 회복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수출 의존도가 높아 외부 변수에 여전히 민감한 상황입니다.     📊 주요 경제지표 한눈에 보기 2025년 2026년 전망 경제성장률 0.9% 내수 중심 완만한 회복 소비자물가 2.0% 1.9% 내외 경상수지 1,100억 달러 흑자 850억 달러 흑자 예상 취업자수 증가 +17만 명 +13만 명 향후전망: AI의 파도 위에서 내년 한국경제는 내수 중심으로 점진적인 회복세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다만 미국의 관세 정책이 강화되고, 글로벌 반도체 경기가 조정기에 들어서면 수출 기여도는 줄어들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비관만 할 필요는 없습니다. AI·전기차·로봇 등 새로운 산업이 본격화되면서 ‘AI 경제’의 파도가 이미 우리를 덮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는 반도체 의존도를 줄이고, 전력 인프라와 신성장 산업에 집중하는 것이 한국경제의 다음 생존 전략이 될 것입니다. 2025년 10월 경제상황 자세히 보기

한국은행, 2025년 6월 국제수지 동향

이미지
2025년 6월 국제수지 현황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2025년 6월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142.7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전년 동월보다 개선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상품수지가 큰 폭의 흑자를 유지했고, 본원소득수지도 배당소득 증가 덕분에 확대되었습니다. 다만 서비스수지는 여행과 기타사업서비스 부문의 적자가 지속되었습니다. ▲ 2025년 6월 경상수지 (억달러, %)     세부 동향 상품수지는 수출 603.7억 달러, 수입 472.1억 달러로 131.6억 달러 흑자를 보였습니다. 수출은 반도체와 선박이 증가세를 이끌었으며, 수입은 자본재와 소비재의 증가가 두드러졌습니다. 금융계정에서는 내국인의 해외 주식 투자와 외국인의 국내 채권 투자가 늘어 순자산이 172.9억 달러 증가했습니다. 향후전망 하반기에도 반도체와 선박 수출 호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글로벌 경기 둔화와 원자재 가격 변동이 부담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서비스수지 개선을 위해 관광산업 활성화와 고부가가치 서비스 수출 확대가 필요하며, 금융시장의 변동성에도 대비한 안정적 외환 운용이 중요해질 전망입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