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국제유가인 게시물 표시

2025년 10월 수출입물가지수: 환율·IT 가격이 만든 변화

이미지
10월 수출입 물가 흐름 한눈에 보기 이번 달 한국 경제는 세계 원자재 가격과 환율 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습니다. 특히 한국은행 이 발표한 2025년 10월 수출입물가지수는 방문자분들이 한 번에 이해하실 수 있도록 정리해보았습니다. 전체적으로 환율 상승이 수출·수입 가격에 영향을 주며 물가가 동반 상승한 점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수출·수입 가격 변화의 핵심 포인트 수출물가는 전월보다 4.1% 오르며 반등하였고, 특히 컴퓨터·전자·광학기기 가격이 10% 이상 상승해 전반적인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반면 수출물량은 1.0% 줄어 해외 출하 규모는 소폭 감소했습니다. 수입물가도 1.9% 증가했는데, 국제유가는 하락했지만 원/달러 환율 상승 영향이 더 크게 작용했습니다. 구분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수출물가 +4.1% +4.8% 수입물가 +1.9% +0.5% 수출물량 - -1.0% 수입물량 - +1.0% ▲ 수입물가지수 등락률 ▲ 2025년 9~10월 원/달러 평균환율 그래프 앞으로 예상되는 경제 흐름 환율 변동이 지속되는 만큼 수출·수입 가격의 불안정성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IT·전자 품목 중심의 수출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어 기업 실적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향후 국제유가 흐름과 환율 방향성이 우리 무역지표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2025년 10월 수입물가 환율 자세히 보기

2020년 12월 수출입물가지수

이미지
1. 수출물가지수 2020년 12월 수출물가는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는 가운데 석탄및석유제품은 올랐으나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등이 내려 전월대비 0.1% 하락(전년동월대비 5.4% 하락) * 원/달러 평균환율 : 2020.11월 1,116.76 → 12월 1,095.13(전월대비 1.9% 하락, 전년동월대비 6.9% 하락) 농림수산품:전월대비 1.8% 하락 공산품 :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운송장비 등이 내려 전월대비 0.1% 하락 ※ 계약통화기준 수출물가는 전월대비 1.6% 상승(전년동월대비 0.7% 상승) 2020년 수출물가는 전년대비 5.3% 하락(계약통화 기준 6.5% 하락) 2. 수입물가지수 2020년 12월 수입물가는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광산품, 석탄 및 석유제품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1.8% 상승(전년동월대비 10.2% 하락) * 두바이유가(월평균, 달러/bbl) : 2020.11월 43.42 → 12월 49.84(전월대비 14.8% 상승, 전년동월대비 23.2% 하락) 원재료 : 광산품이 올라 전월대비 6.9% 상승 중간재 : 석탄 및 석유제품, 제1차금속제품이 올라 전월대비 0.8% 상승 자본재 및 소비재 : 전월대비 각각 0.7%, 1.0% 하락 ※ 계약통화기준 수입물가는 전월대비 3.5% 상승(전년동월대비 4.9% 하락) 2020년 수입물가는 전년대비 8.7% 하락(계약통화 기준 9.9% 하락) 첨부파일 출처:  한국은행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