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건강식단인 게시물 표시

2025년 11월 이달의 수산물, 삼치와 홍가리비 — 가을 입맛 돋우는 건강 별미

이미지
11월의 수산물, 삼치와 홍가리비 선정 해양수산부 는 2025년 11월 ‘이달의 수산물’로 삼치와 홍가리비를 선정하였습니다. 두 수산물 모두 영양이 풍부하고 조리법이 다양해 가을철 밥상에 건강과 맛을 더해줍니다. 특히 삼치는 고단백·저지방 식품으로 다이어트와 체력 회복에 좋으며, 홍가리비는 뼈 건강과 피부 노화 방지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가 가득합니다. 영양 가득한 삼치의 효능 삼치는 담백하고 비린내가 적어 회, 조림, 찜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됩니다. 니아신이 풍부하여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필수아미노산이 많아 간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줍니다. 특히 가을철에는 소금간을 살짝 하여 노릇하게 구운 삼치구이가 제격입니다. ▲ 2025년 11월 이달의 수산물 포스터 (출처:해양수산부) 홍가리비의 풍미와 건강 효과 ‘단풍 가리비’라고도 불리는 홍가리비는 껍질이 붉고 속살이 부드러우며 달큰한 맛이 특징입니다. 칼슘과 마그네슘이 풍부해 뼈 건강에 도움을 주고, 셀레늄이 많아 노화 방지에 좋습니다. 치즈와 버터를 곁들여 구우면 더욱 진한 풍미를 느낄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별미입니다. 구분 주요 영양소 건강 효능 삼치 단백질, 니아신, 필수아미노산 심혈관 질환 예방, 간 기능 개선 홍가리비 칼슘, 마그네슘, 셀레늄 뼈 건강, 스트레스 완화, 노화 방지 맺음말 정부는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제철 수산물 소비 활성화 캠페인을 지속 추진하고 있습니다. 11월의 삼치와 홍가리비는 영양과 맛 모두 뛰어나 지역 어가의 소득 증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도 해양수산부는 계절별 대표 수산물을 통해 국민에게 신선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농촌진흥청 개발 건강 식단 관리프로그램 ‘메뉴젠’ 개선

이미지
농촌진흥청 은 식품 영양 정보와 음식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건강 식단 관리프로그램인 ‘메뉴젠’ 기능을 개선했다고 밝혔다. 메뉴젠(MenuGen)은 농촌진흥청이 2004년 식단관리, 영양분석과 영양교육 상담 등에 활용해 국민건강 증진을 도울 목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식단’(menu)과 ‘창조’(genesis)를 조합해 만든 단어이다. 이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식단을 국가표준식품성분표 와 연계해 영양성분 함량을 분석하고,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을 바탕으로 1일 영양소 섭취량을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 * 국가표준식품성분표: 1970년 UNICEF (유엔아동기금), FAO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 WHO (세계보건기구)에서 지원하는 한국응용영양사업의 일환으로 농촌진흥청이 국내외 영양정보를 수집해 처음 발간한 이후 1981년부터 5년 주기로 발간하고 있다. 2019년부터는 신속한 정보 제공을 위해 데이터 공개 주기를 기존 5년에서 1년으로 변경했다. 국가표준식품성분 DB 9.2개정(2020년)에는 식품 3,088점에 대한 영양성분 130종 정보가 수록돼 있다. 농촌진흥청은 지난해 행정안전부에서 실시한 2020 공공데이터 뉴딜사업을 통해 서비스 품질 개선을 추진하게 됐다. 우선 농촌진흥청 연구로 확보된 음식 정보를 재가공해 메뉴젠 음식 데이터베이스를 1,174건에서 2,489건으로 2배 이상 확대했다. 이와 함께 사용자 정보와 연계해 작성된 식단에 알레르기 유발 원인 식품 포함 여부를 알려줘 사용자가 쉽게 식단을 작성할 수 있도록 했다. * 알레르기 유발 원인 식품(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난류(가금류), 우유, 메밀, 땅콩, 대두(콩), 밀, 고등어, 게, 새우, 돼지고기, 복숭아, 토마토, 아황산류, 호두, 닭고기, 쇠고기, 오징어, 조개류(굴·전복·홍합 포함), 잣 또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작성한 식단의 영양소 섭취량을 평가하고, 1일 영양소 섭취 권장량보다 부족하거나 과다하게 포함된 영양소를 조정해 대체 음식을 추천한다. 대체 음식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