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재혼인 게시물 표시

2020년 혼인‧이혼 통계

이미지
1. 혼인통계 1) 혼인건수 및 조(粗)혼인율 2020년 혼인건수는 21만 4천 건으로 전년대비 10.7%(-2만 6천 건) 감소함. 조혼인율(인구 1천 명당 혼인건수)은 4.2건으로 전년대비 0.5건 감소함. 2) 종류(초‧재혼)별 혼인 남자의 경우 전체 혼인 중 초혼이 84.3%, 재혼이 15.6%임. 전년대비 초혼은 9.7%, 재혼은 15.7% 각각 감소함. 여자의 경우 전체 혼인 중 초혼이 82.0%, 재혼이 17.8%임. 전년대비 초혼은 9.7%, 재혼은 14.5% 각각 감소함. 남녀 모두 초혼은 78.2%, 남녀 모두 재혼은 11.8%를 차지함. 전년대비 초혼과 재혼 모두 감소했으며, 남자 재혼+여자 초혼(-19.0%)이 가장 많이 감소함. 3) 혼인연령 평균초혼연령은 남자 33.2세, 여자 30.8세로 전년에 비해 남자는 0.1세 하락, 여자는 0.2세 상승함. 10년 전에 비해 남자는 1.4세, 여자는 1.9세 각각 상승함. 평균재혼연령은 남자 50.0세, 여자 45.7세로 전년에 비해 남자는 0.4세, 여자는 0.6세 상승함. 10년 전에 비해 남자는 3.9세, 여자는 4.1세 각각 상승함. 남녀 간의 평균초혼연령 차이는 2.5세로 전년에 비해 0.3세 하락함. 연령차별 초혼 건수는 남자 연상 부부는 10만 9천 건, 동갑 부부는 2만 7천 건, 여자 연상 부부는 3만 1천 건임. 전년대비 남자 연상 부부(-11.2%), 동갑 부부(-6.2%), 여자 연상 부부(-4.4%) 순으로 감소함. 초혼 부부 중 남자 연상 부부는 65.3%, 여자 연상 부부는 18.5%, 동갑 부부는 16.2%를 차지함. 남자 연상 부부 비중은 전년보다 1.5%p 감소한 반면, 여자 연상 부부 비중은 전년보다 0.9%p 증가함. 동갑 부부 비중은 16.2%로 전년보다 0.5%p 증가함. 연령차별 혼인 비중은 남자 3~5세 연상(25.7%)이 가장 많고, 남자 1~2세 연상(25.6%), 동갑(16.2%), 여자 1~2세 연상(12.5%) 순으로 많음. 4) 성‧연령별

2018년 기준 신혼부부, 132만 2천 쌍 전년대비 4.2% 감소

이미지
▲  2018년 기준 신혼부부 통계 1. 기본현황 2018년 11월 1일 기준 신혼부부는 132만 2천 쌍으로 전년대비 4.2% 감소 재혼부부의 비중은 20.3%로 전년 대비 0.3%p 상승 신혼부부의 거주지역은 경기(27.7%), 서울(18.7%), 경남(6.4%) 순이고, 전년대비 세종만 신혼부부 수가 유일하게 증가 2. 가구 구성 함께 살고 있는 신혼부부 비중은 86.8%로 전년대비 0.1%p 하락(혼인종류별로는 초혼부부는 88.5%, 재혼부부는 80.7%가 함께 거주) 3. 출산 및 보육(초혼부부) 초혼 신혼부부 중 자녀가 없는 부부의 비중은 40.2%로 전년대비 2.6%p 상승 평균 출생아 수는 외벌이 부부(0.83명)가 맞벌이 부부(0.66명)보다 주택을 소유한 부부(0.81명)가 무주택 부부(0.69명)보다 많음 만 5세 이하 자녀의 보육은 어린이집 보육 48.4%, 가정양육 45.6% 순이고, 전년대비 어린이집 보육은 상승(2.4%p)한 반면, 가정양육은 하락(-2.1%p) 4. 경제활동 현황(초혼부부) 맞벌이 부부의 비중은 전체의 47.5%로 전년대비 2.7%p 상승 부부 합산 평균 소득(연간)은 5,504만원으로 전년대비 4.3% 증가 금융권 대출잔액을 보유한 부부는 85.1%이며, 중앙값은 1억원임 금융권 대출잔액의 중앙값은 맞벌이 부부가 외벌이 부부보다 약 1.3배 높고, 주택을 소유한 부부가 무주택 부부보다 약 1.8배 높음 5. 주거 현황(초혼부부) 가장 많이 거주하는 거처 유형은 아파트(67.6%)로 전년대비 1.4%p 상승 주택을 소유한 신혼부부는 43.8%로 전년대비 0.2%p 상승 6. 종단면 분석(초혼부부) * 동일한 집단(혼인 4년차 신혼부부)을 대상으로 시간변화에 따른 변화상을 분석, 시간 경과에 따라 주택을 소유한 부부 비중(14.8%p)과 출산한 부부의 비중(54.5%p)은 점차 상승하고, 맞벌이 부부 비중은 혼인 3차년도까지 하락(-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