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보금자리론인 게시물 표시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총정리: 대출·전세 규제 한눈에 보기

이미지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요약 10월 15일, 금융위원회 는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새로운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아파트 중심의 투기 수요 억제와 실수요자 보호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재건축 조합원 양도 제한, 대출 규제 강화 등이 주요 내용입니다. 특히 오피스텔과 상가 등 비주택은 허가구역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어 혼란을 줄였습니다.     규제 지역 및 대출 변화 신규 규제지역으로 지정되면 주택담보대출의 LTV와 DTI 한도가 강화됩니다. 일반 무주택자는 LTV 70% → 40~50%로 낮아지며, 서민·실수요자는 일정 요건을 충족할 경우 60%까지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정책성 대출도 일부 조정되어, 보금자리론은 LTV 70%에서 60%로 하향되었습니다. 구분 비규제지역 규제지역 일반 무주택자 LTV 70% 조정지역 50%, 투기과열지구 40% 서민·실수요자 LTV 70% LTV 60% 보금자리론 아파트 70% 아파트 60% 재건축 및 전세대출 규제 투기과열지구 내 재건축 단지에서는 조합설립인가 이후 조합원 지위 양도가 원칙적으로 금지됩니다. 다만 장기 거주자, 질병·이주 등 불가피한 사유는 예외적으로 허용됩니다. 또한 전세대출을 보유한 상태에서 3억 원 초과 아파트를 구입할 경우 대출이 회수되며, 기존 세입자가 있을 경우 임대차 계약 종료 시점까지만 유예됩니다. 향후 전망 이번 대책은 투기 억제보다는 실수요자 중심의 시장 질서 회복에 방점을 두고 있습니다. 향후 정부는 주택 가격 안정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세부 제도 보완을 이어갈 계획이며, 실수요자 지원책 또한 단계적으로 강화될 전망입니다. 10.15 주택시장 대책 FAQ 자세히 보기

2020년 9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

이미지
1. 개요 2020.9월중 全금융권 가계대출은 10.9조원 증가하였습니다.[전월(+14.3조원)대비 3.4조원 축소, 전년동월(+3.2조원)대비 7.7조원 확대] * 全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액(조원) : (2020.7월)9.4 (2020.8월)14.3 (2020.9월)10.9(2018.9월)4.4 (2019.9월)3.2  (2020.9월)10.9 2020.9월말 全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전년동월대비 6.8% 증가하였습니다. * 全금융권 9월 가계대출 증가율(전년동월대비) : (2018)6.1% (2019)4.4% (2020)6.8% 2. 금융업권별 동향 (은행권) 2020.9월중 은행권 가계대출은 9.7조원 증가하였습니다.[전월(+11.8조원) 대비 2.1조원 축소, 전년동월(+4.8조원)대비 4.9조원 확대] *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조원) : (2020.7월)7.6 (2020.8월)11.8 (2020.9월)9.7(2018.9월)5.1 (2019.9월)4.8  (2020.9월)9.7 (제2금융권) 2020.9월중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1.1조원 증가하였습니다. [전월(2.5조원) 대비 1.4조원 축소, 전년동월(△1.6조원) 대비 2.7조원 확대] * 제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액(조원) : (2020.7월)  1.8 (2020.8월)  2.5 (2020.9월)1.1(2018.9월)△0.7 (2019.9월)△1.6 (2020.9월)1.1 3. 대출항목별 동향 (주택담보대출) 2020.9월중 7.1조원 증가하였습니다. [전월(+6.3조원) 대비 0.8조원 확대, 전년동월(+2.7조원) 대비 4.4조원 확대] * 全금융권 주담대 증가액(조원) : (2020.7월)4.3 (2020.8월)6.3 (2020.9월)7.1(2018.9월)3.2 (2019.9월)2.7 (2020.9월)7.1 (은행권) 전세자금대출(+3.5조원), 일반주담대(정책모기지 포함, +2.0조원) 증가 등으로 6.7조원 증가하였습니다.[전월(+6.1조원) 대비 0.6조원 확대, 전년 동월(+3.8조원...

2020년 3월 가계대출 9.1조원, 전년 동월 대비 8.2조원 증가

이미지
1. 개요 2020년 3월말 기준 全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전년동기대비 5.6% 증가하였으며, 3월중 9.1조원 증가하였습니다.(전년 동월(+0.9조원)대비 8.2조원 확대, 전월(+9.3조원)대비 0.2조원 축소) * 全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율(전년동기대비) : (2018.3월)7.4% (2019.3월)4.9% (2020.3월)5.6%全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액(조원) : (2018.3월)+5.0 (2019.3월)+0.9 (2020.3월)+9.1 2. 금융업권별 동향 (은행권) 전년동기대비 9.2% 증가하였으며, 3월중 9.6조원 증가하였습니다.(전년 동월(+2.9조원) 대비 6.7조원 확대, 전월(+9.3조원) 대비 0.3조원 확대) * 은행권 3월 가계대출 증가율(전년동기대비) : (2018)8.7% (2019)7.4% (2020)9.2%은행권 3월중 가계대출 증가액(조원) : (2018)+4.3 (2019)+2.9 (2020)+9.6 (제2금융권) 전년동기대비 0.4% 감소하였으며, 3월중 0.5조원 감소하였습니다. (전년 동월(△2.0조원) 대비 1.5조원 확대, 전월(+0.05조원) 대비 0.5조원 축소) * 제2금융권 3월 가계대출 증가율(전년동기대비) : (2018)5.4% (2019)1.2% (2020)△0.4%제2금융권 3월중 가계대출 증가액(조원) : (2018)+0.7 (2019)△2.0 (2020)△0.5 3. 대출항목별 동향 (주택담보대출) 전년동기대비 5.5% 증가하였으며, 3월중 5.2조원 증가하였습니다.  (전년 동월(+1.2조원) 대비 4.0조원 확대, 전월(+6.9조원) 대비 1.7조원 축소) * 全금융권 3월 주담대 증가율(전년동기대비) : (2018)6.8% (2019)4.3% (2020)5.5%全금융권 3월중 주담대 증가액(조원) : (2018)+2.8 (2019)+1.2 (2020)+5.2 (은행권) 일반주담대(정책모기지 포함, +3.0조원), 전세자금대출 (+3.0조원) ...

2019년 12월 가계대출 7.6조원, 전년 동월 대비 1.0조원 증가

이미지
▲ 가계대출 증감 추이 1. 개요 (12월중) 2019.12월중 全금융권 가계대출은 7.6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6.6조원) 대비 1.0조원 확대(전월 +6.7조원 대비 0.9조원 확대) * 全금융권 12월 가계대출 증가액(조원) : (2017)+6.0 (2018)+6.6 (2019)+7.6 (1~12월) 2019년중 全금융권 가계대출은 56.0조원 증가(+4.1%)하여 전년(+75.2조원) 대비 19.2조원 축소 * 연도별 가계대출 증가규모(전년동기 대비 증가율) (단위 : 조원, %) :(2015)+109.6(11.5)→(2016)+123.2(11.6)→(2017)+90.5(7.6)→(2018)+75.2(5.9)→(2019)+56.0(4.1) 2. 금융업권별 동향 (은행권) 2019.12월중 7.2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5.4조원) 대비 1.8조원 확대, 전월(+7.0조원) 대비 0.2조원 확대(2019년중 +60.8조원, 전년말대비 +7.4%) * 은행권 12월 가계대출 증가액(조원) : (2017)+4.1 (2018)+5.4 (2019)+7.2 * 은행권 연중 가계대출 증가액(증가율) (조원, %) : (2017)+58.8(8.3) (2018)+60.5(7.9) (2019)+60.8(7.4) (제2금융권) 2019.12월중 0.4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1.3조원) 대비 0.9조원 축소, 전월(△0.2조원) 대비 0.6조원 확대(2019년중 △4.8조원, 전년말대비 △0.9%) * 제2금융권 12월 가계대출 증가액(조원) : (2017)+1.9 (2018)+1.3 (2019)+0.4 * 제2금융권 연중 가계대출 증가액(증가율) (조원, %) : (2017)+31.7(6.7) (2018)+14.7(2.9) (2019)△4.8(△0.9) 3. 대출항목별 동향 (주택담보대출) 2019.12월 중 4.6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4.3조원) 대비 0.3조원 확대, 전월(+3.8조원) 대비 0.8조원 ...

2019년 10월 가계대출 동향, 전년 동월 대비 2.3조원 축소

이미지
▲ 가계대출 증감 추이 1. 개요 (10월중) 2019.10월중 全금융권 가계대출은 8.1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10.4조원) 대비 2.3조원 축소(전월 +3.2조원 대비 4.9조원 증가) * 全금융권 10월 가계대출 증가액(조원) : (2017)+10.0 (2018)+10.4 (2019)+8.1 (1~10월) 2019년 1~10월 중 증가규모(+41.6조원)는 전년 동기(+60.5조원) 대비 18.9조원 축소되며 2017년 이후 증가세 둔화 지속 * 全금융권 1~10월 중 가계대출 누적증감(조원) : (2017)+74.4 (2018)+60.5 (2019)+41.6 2. 금융업권별 동향 (은행권) 2019.10월중 7.2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7.7조원) 대비 0.5조원 축소, 전월(+4.8조원) 대비 2.3조원 확대 * 은행권 10월 가계대출 증가액(조원) : (2017)+6.8 (2018)+7.7 (2019)+7.2 (제2금융권) 2019.10월중 1.0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2.7조원) 대비 1.7조원 축소, 전월(△1.6조원) 대비 2.6조원 확대 * 제2금융권 10월 가계대출 증가액(조원) : (2017)+3.1 (2018)+2.7 (2019)+1.0 3. 대출항목별 동향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개별대출 증가(+4.8조원), 집단대출 순감(△0.1조원)으로 4.6조원 증가(전년동기대비 1.1조원 확대) * 은행권 10월 개별(전세포함)/집단대출 증감(조원) : (2017) +1.3/+2.1 (2018) +2.4/+1.1 (2019) +4.8/△0.1 개별대출 증가규모 확대는 보금자리론, 전세대출 수요 증가에 기인 * 은행권 보금자리론(미유동화 잔액) 증가 추이(조원) : (2018.8) +0.1 (2018.9) +0.0 (2018.10) △0.1 / (2019.8) +0.7 (2019.9) +0.9 (2019.10) +2.2 ※ (참고) 은행권 보금자리론 증가요인 서민형 안심...

2019년 3월 가계대출 1조원 증가, 전년 동월 대비 4조원 축소, 전월 대비 0.3조원 축소

이미지
▲ 가계대출 증감 추이 (금감원 속보치 기준, 조원) (개 요) 2019.3월중 全금융권 가계대출은 +1.0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월(+5.0조원) 대비 △4.0조원 축소(전월 +1.3조원 대비 △0.3조원 축소) 이는 全금융권 기타대출 감소(+2.2조원→△0.2조원) 및 제2금융권 주담대 감소(+0.0조원→△1.7조원)에 기인 (은행권) 2019.3월중 증가규모는 +2.9조원으로 전년 동월(+4.3조원) 대비 △1.4조원 축소, 전월(+2.5조원) 대비 +0.4조원 확대 (주담대 : +2.8조원) 전년 동월(+2.8조원)과 동일 수준, 전월(+2.4조원) 대비 +0.4조원 확대 * 은행권 주담대 증감 현황(조원) : (2018.1) +1.3 → (2018.2) +1.8 → (2018.3) +2.8 / (2019.1) +2.7 → (2019.2) +2.4 → (2019.3) +2.8 ** 2019.3월중 은행권 주담대는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중소기업 취업청년을 위한 버팀목 전세대출 취급액(+0.5조원)이 기금이 아닌 은행재원으로 취급된 부분 포함(이를 제외할 경우 2019.3월중 증가규모는 전년 동월(+2.8조원) 보다 감소한 +2.3조원 수준) (기타대출 : +0.1조원) 전년 동월(+1.5조원) 대비 △1.4조원 축소, 전월(+0.0조원) 대비 +0.1조원 확대 기타대출 중 신용대출은 △0.1조원 감소하여 전년 동월(+0.4조원) 대비 △0.5조원, 전월(+0.2조원) 대비 △0.3조원 축소 (제2금융권) 2019.3월중 △1.9조원 감소하여 전년 동월(+0.7조원) 대비 △2.6조원 축소, 전월(△1.2조원) 대비 △0.7조원 축소 (주담대 : △1.7조원) 전년 동월(+0.0조원) 대비 △1.7조원 축소, 전월(△1.4조원) 대비 △0.3조원 축소 * 제2금융권 주담대 증감 현황(조원) : (2018.1) +0.1 → (2018.2) +0.2 → (2018.3) +0.0 / (2019.1) △1.7 → (2019....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