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휠체어 충전시설 25% 관리 미흡, 화재·접근성 문제 드러나
전동휠체어 충전시설, 의무화 앞두고 안전관리 '빨간불'
올해 12월부터 공중이용시설에는 교통약자를 위한 전동휠체어·스쿠터 충전시설 설치가 의무화됩니다. 그러나 한국소비자원이 서울과 경기 지역의 충전시설을 조사한 결과, 일부 시설의 안전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조사 대상 27개 충전기 중 일부는 고장 상태였으며, 충전 케이블이 벗겨지거나 단자가 부식된 사례도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실외 충전기의 25%가 부식 또는 오염되어 관리가 필요했습니다.
화재·접근성 문제 속속 드러나
이번 조사에 따르면 충전단자 52개 중 19.2%가 부러지거나 부식되었고, 충전선 9.6%는 피복이 벗겨져 내부 전선이 노출돼 있었습니다. 또한 비상연락처가 부착되지 않은 충전기가 26.9%, 안내표지판이 없는 경우가 무려 92.4%에 달했습니다. 이용자 설문에서도 “충전시설의 위치를 알기 어렵다(46.7%)”는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항목 | 정상 | 고장·훼손 |
|---|---|---|
| 충전단자 | 80.8% | 19.2% |
| 충전선 | 90.4% | 9.6% |
| 비상연락처 부착 | 73.1% | 26.9% |
| 위치안내표지판 | 7.6% | 92.4% |
향후전망
전동휠체어 충전시설은 장애인과 노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하는 필수 기반시설입니다. 그러나 이번 조사처럼 관리 부실이 이어질 경우 화재나 감전 등의 안전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전문가들은 충전기 청결 유지, 비상연락망 구축, 명확한 위치 안내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시설 설치뿐 아니라 주기적 점검·보수를 제도화하여, 교통약자가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