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수출·투자 모두 두자릿수 성장

2024년 국내 바이오산업, 다시 성장의 길로

산업통상부는 한국바이오협회와 함께 실시한 ‘2025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2024년 기준)’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2024년 국내 바이오산업은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도 생산 9.8%, 수출 17.1%, 투자 46.1% 증가하며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바이오기술이 의료, 식품, 에너지 등 산업 전반으로 확산되며 본격적인 ‘바이오경제 시대’가 도래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입니다.

2024년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수출·투자 모두 두자릿수 성장   

바이오의약이 산업 성장의 중심

2024년 전체 생산 규모는 22조 9,216억 원으로, 특히 바이오의약 부문이 전년 대비 33.2% 성장해 전체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바이오서비스(5.0%)와 바이오식품(6.1%)도 안정적인 상승세를 유지한 반면, 바이오화학·에너지는 10.5% 감소했습니다.

수출 부문에서는 치료용항체 및 사이토카인제제와 바이오위탁생산 서비스(CMO)가 전체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구분 2023년 2024년 증감률
생산20조 8,713억 원22조 9,216억 원+9.8%
수출11조 7,081억 원13조 7,109억 원+17.1%
총 투자3조 7,520억 원5조 4,821억 원+46.1%
시설투자1조 1,332억 원2조 7,797억 원+145.3%


글로벌 경쟁 속에서의 미래 전략

산업통상부는 불확실한 통상환경 속에서도 바이오산업이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앞으로 정부는 연구개발(R&D)과 수출 확대를 적극 지원하고, 시설투자 중심의 성장 기반을 강화해 글로벌 바이오 허브로 도약할 계획입니다.

바이오산업 수출입 변화 추이[2023~2024년, 단위 : 억원, %]
▲ 바이오산업 수출입 변화 추이[2023~2024년, 단위 : 억원, %] (출처: 산업통산부)

이처럼 2024년 성과는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로, 우리나라가 ‘바이오강국’으로 도약할 기반을 굳건히 다졌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