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인구동향, 출생 증가·사망 감소로 인구감소폭 완화

2025년 8월, 인구 감소세 완화의 신호

2025년 8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 구조에 긍정적인 변화의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통계에 의하면, 출생아 수는 2만 867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8% 증가했습니다.

사망자는 2만 8,971명으로 9.8% 감소하며, 자연감소 인구 규모는 –8,105명으로 완화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혼인은 늘고, 이혼은 줄어들며 전반적인 사회 회복세가 감지됩니다.

2025년 8월 인구동향, 출생 증가·사망 감소

구분 2024년 8월 2025년 8월 증감률(%)
출생아 수20,103명20,867명+3.8%
사망자 수32,121명28,971명-9.8%
혼인 건수17,527건19,449건+11.0%
이혼 건수7,616건7,196건-5.5%
자연증가(명)-12,018-8,105감소폭 완화

출생률 회복과 혼인 증가의 의미

출생아 수가 20개월 만에 꾸준히 상승세를 보인 것은 저출산 완화의 신호로 평가됩니다. 특히 서울과 경기 지역의 출생 증가율이 각각 9.3%, 7.6%로 높았으며, 첫째아 비중이 62.9%로 2%p 증가했습니다.

이는 결혼과 첫 출산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혼인 건수 또한 전년 대비 11% 증가해, 2021년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2025년 8월 인구동향: 출생․사망
▲ 2025년 8월 인구동향: 출생․사망 (출처: 국가데이터처)

사망자 감소와 사회 회복세

올해 여름 폭염과 감염병 영향에도 불구하고 사망자 수는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2025년 8월 사망자 수는 2만 8,971명으로, 2024년 대비 약 3,150명 줄었습니다.

특히 고령층 사망률이 안정세를 보이며, 의료 접근성과 예방의료 확대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편, 이혼율은 1.7로 낮아져 가족 관계 유지율이 개선된 모습입니다.

2025년 8월 인구동향: 혼인․이혼
▲ 2025년 8월 인구동향: 혼인․이혼 (출처: 국가데이터처)

향후전망

이번 인구동향은 인구 감소세가 다소 완화되는 초기 징후로 평가됩니다. 다만 자연감소는 여전히 지속 중이므로 출산 장려정책, 주거·보육 지원, 청년 결혼 인센티브 등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국가데이터처는 앞으로도 월별 통계를 통해 인구구조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계획이며, 이번 상승세가 일시적 반등이 아닌 구조적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