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일~10일 수출입: 반도체 호조 속 무역적자 확대

9월 초 수출입 실적, 수출 증가에도 불구 무역적자 관세청 은 2025년 9월 1일부터 10일까지의 수출입 통계를 발표하였습니다. 해당 기간 동안 수출은 192억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8% 증가한 반면, 수입은 204억 달러로 11.1%나 증가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12억 달러의 무역적자가 발생하며,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입의 급증으로 무역수지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도체·선박 수출 호조, 미국·EU 수출은 감소 이번 실적에서 반도체 수출은 28.4% 증가해 전체 수출의 23.2%를 차지하며 주력 품목의 위상을 재확인했습니다. 선박(55.3%), 자동차 부품(2.1%)도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승용차와 석유제품은 각각 1.9%, 21.1% 감소하였습니다. 국가별로는 베트남(24.0%), 대만(31.2%) 등 아시아권 수출이 크게 증가했으나, 미국(△8.2%), 유럽연합(△21.6%)으로의 수출은 줄어들었습니다. 에너지 및 장비 수입 증가…에너지 가격 부담 가중 수입 부문에서는 반도체 제조장비(55.9%)와 가스(49.3%), 기계류(17.6%) 등의 증가가 두드러졌습니다. 특히 에너지 자원인 원유·가스·석탄의 총 수입액이 9.4% 증가하며, 에너지 가격 상승이 수입 확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됩니다. 주요 수입국 중에서는 중국(16.2%), 베트남(23.3%), 일본(8.1%)이 눈에 띄는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향후전망 반도체 수출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에너지 가격 상승과 글로벌 수요 둔화는 무역수지 회복에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특히 미국과 유럽연합과의 교역 감소는 단기적인 수출 성장에 제약을 줄 수 있어, 국가별 맞춤형 수출 전략과 수입 다변화 노력이 요구됩니다. 관세청의 후속 통계 발표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