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대량증식인 게시물 표시

진주바위솔, 2024년 6월 이달의 정원식물 선정

이미지
국립수목원 은 2024년 6월의 정원식물로 '진주바위솔'을 선정했습니다. 이 식물은 진주시와 지리산 일부 지역에서 자생하며, 그 아름다움과 희소성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늦가을에 꽃을 피워 더욱 특별한 매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 2024년 6월 이달의 정원식물 진주바위솔 진주바위솔의 소개 '진주바위솔'은 보석이 아닌 진주시의 이름을 딴 식물입니다. 이 식물은 늦가을에서 겨울에 꽃을 피우며, 잎끝이 뾰족하고 잎가장자리와 꽃밥이 자주색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잎이 붉게 변하는 시기에 관상적 가치가 매우 높아 많은 정원에서 사랑받고 있습니다. 자생지와 특성 진주바위솔은 진주시와 지리산 일부 지역에서만 자생합니다. 자생지에서는 남획으로 인해 극소수의 개체만 남아있는 상황입니다. 국립수목원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1년부터 진주바위솔의 증식 연구를 시작했고, 2023년 대량증식에 성공했습니다. 이로 인해 진주바위솔의 보전과 복원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관상적 가치와 재배법 진주바위솔은 관상적 가치가 뛰어나며, 물빠짐만 주의하면 재배가 용이합니다. 돌 틈, 기와, 담장 등을 활용한 실외 정원뿐 아니라 실내에서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앞으로 더욱 많은 사랑을 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보전 및 복원 노력 국립수목원은 진주시와 협력하여 진주바위솔의 보전과 복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자생식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전 및 복원 연구를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소중한 자원들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진주바위솔과 같은 소중한 자생식물들이 사라지지 않도록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맺음말 진주바위솔은 그 희소성과 아름다움으로 정원식물로서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국립수목원의 노력 덕분에 이 식물의 보전과 대중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소중한 자생식물들을 지속적으로 보호하고 연구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국립수목원의 지속적인 연구와 협력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진주

국립수목원, 희귀·특산식물 ‘설앵초’ 등 6종 대량 증식

이미지
산림청 국립수목원 은 2011년부터 자생식물의 대량증식법 개발 관련 과제를 수행하면서 쌓아온 증식 및 재배기술을 바탕으로 희귀·유용식물인 설앵초와 선모시대, 고본, 승마, 노랑투구꽃, 나도생강 등 6종의 대량증식법을 개발했다. 설앵초와 선모시대, 고본, 승마, 노랑투구꽃, 나도생강은 모두 희귀·유용 식물로서 자생지 탐사와 조사를 통해 자생지별 종자를 수집하고, 종자의 휴면 유형을 구명한 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증식에 성공하였다. 그동안 증식에 걸림돌인 종자의 휴면 유형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분흡수, 저온층적 처리, 배/종자 비율 측정, 계절변화에 따른 종자의 발달 과정 관찰 연구(Move-along test), 호르몬 처리 등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번에 증식한 식물 중 설앵초는 위기종(Endangered: EN)이며, 노랑투구꽃은 멸종위기종(Critically endangered: CR), 나도생강은 취약종(Vulnerable)으로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2012년) 목록에 등록되어 있다. 특히, 설앵초와 선모시대는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특산식물로서 매우 중요한 식물 자원으로 자생지별 증식 개체들을 현지 내 복원 및 보존원 조성을 위한 재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정재민 박사는“기후변화로 인한 자생식물의 멸종과 멸절 방지를 위해 희귀식물들을 우선으로 매년 증식과 재배기술 개발을 통해 보전 노력을 수행하고 있으며, 자생식물의 종 다양성 보전을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다방면의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출처:  산림청

경기도농업기술원 희귀 다육식물 대량증식 기술개발

이미지
▲ 에케베리아(라우이), 하월시아(만상) 경기도 농업기술원이 희귀 다육식물 대량증식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경기도농업기술원은 멕시코 국립 아우토노마대학교와 공동으로 번식이 어려운 희귀 다육식물 대량증식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다육식물은 소비자들로부터 높은 인기를 누리며, 최근 국내.외 화훼시장을 주도 하고 있는 작목이다. 그 중에서도 에케베리아, 하월시아 등 몇 종은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영양번식이 어렵고 생장속도가 느려 대량생산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하월시아 ‘만상’의 경우 생장이 느리고 종자에서 성체가 되기까지 5년 이상이 소요돼 농가들이 생산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에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지난 2016년부터 멕시코 아우토노마대학교와 3년간국제공동연구를 진행한 끝에 다육식물 조직 배양기술을 이용한 증식기술 체계를 확립했다. 이에 따라 생육이 느리고 번식이 어려운 하월시아속 ‘옥선’, ‘만상’과 멕시코멸종위기종인 에케베리아속 ‘엘레강스’, ‘라우이’ 등 4종의 다육식물을 대량생산해낼 수 있게 됐다. 이번에 개발된 대량증식 기술의 핵심은 다육식물의 생장을 유도하는 최적의 식물호르몬 조합과 재배 환경을 발견한 데 있다. 농기원은 NAA, TDZ, BA 등 식물호르몬의 조합을 통해 식물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완전한 식물체를 생산할 수 있는 조직배양 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다육식물의 생장에 적합한 조직배양묘의 용토 및 차광조건 등을 선발하는 등 다육식물의 증식기술 체계를 확립했다. 김석철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은 “이번 개발된 기술이 다육식물의 소비 촉진과 재배농가의 소득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고부가가치를 가진 다육식물의 증식기술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출처: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