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주택현황인 게시물 표시

2024년 주택소유통계 요약: 개인·가구 소유 변화 한눈에 보기

이미지
2024년 주택소유 변화 한눈에 보는 핵심 요약 국가데이터처 가 발표한 2024년 주택소유통계는 우리나라 주택 보유 구조 변화를 한눈에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전체 주택의 약 86%가 개인 소유로 나타났으며, 어느 지역에서 누가 얼마나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간단히 해소해드립니다. 구분 2023 2024 개인 소유 주택(만호) 1,674.2 1,705.8 주택 소유자(만명) 1,561.8 1,597.6 가구 주택소유율(%) 56.4 56.9 개인·가구의 주요 주택 소유 특징 개인 소유 주택은 전년보다 31.6만호 증가해 1,705.8만호를 기록했습니다. 주택을 1건만 보유한 사람은 전체의 85.1%이며, 2건 이상 보유한 비중은 14.9%로 소폭 감소했습니다. 가구 기준에서는 전체 일반가구 중 56.9%가 주택을 소유했으며, 평균 자산가액은 약 3억 3천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연령·지역별 뚜렷한 소유 구조 50대와 60대는 전체 개인 소유자의 약 절반을 차지해 중·장년층 중심의 소유 형태가 이어졌습니다. 지역별로는 울산, 전남, 경남 등에서 가구 주택소유율이 높았으며, 서울은 48.1%로 가장 낮은 편에 속했습니다. 또한 제주와 충남은 2주택 이상 보유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4년 주택소유통계 개인 기준 통계 (출처: 국가데이터처) ▲ 2024년 주택소유통계 가구 기준 통계 (출처: 국가데이터처) 향후전망 주택 보유율은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고령층 중심의 주택 자산 집중 현상도 계속될 전망입니다. 특히 지역별 수요 차이와 다주택 보유자의 변화는 향후 정책 방향에 중요한 기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 주택소유통계 자세히 보기

2019년 3월말 전국 미분양 62,147호, 전월대비 4.2% (2,533호) 증가

이미지
▲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2019년 3월 국토교통부 는 3월말 기준으로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전월(59,614호) 대비 4.2%(2,533호) 증가한 총 62,147호로 집계되었다고 밝혔다. * 2018.12월 58,838호 → 2019.1월 59,162호 → 2019.2월 59,614호 → 2019.3월 62,147호 준공 후 미분양은 3월말 기준으로 전월(18,492호)대비 0.8%(154호) 감소한 총 18,338호로 집계되었다. * 2018.12월 16,738호 → 2019.1월 17,981호 → ‘19.2월 18,492호 → 2019.3월 18,338호 지역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수도권의 미분양은 10,529호로, 전월(7,727호) 대비 36.3%(2,802호) 증가하였고, 지방은 51,618호로, 전월(51,887호) 대비 0.5%(269호) 감소하였다. * 신규 등 증가분 : 2019.2월 3,121호 → 2019.3월 4,702호(수도권 3,525호, 지방 1,177호) ** 기존 미분양 해소분 : 2019.2월 2,669호 → 2019.3월 2,169호(수도권 723호, 지방 1,446호) 규모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전월(5,680호)대비 5.8%(329호) 증가한 6,009호로 집계되었고, 85㎡ 이하는 전월(53,934호) 대비 4.1%(2,204호) 증가한 56,138호로 나타났다. 이 같은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은 국토교통부 국토교통통계누리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국토교통부

2019년 2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 전월 59,162호 대비 0.8%(452호) 증가

이미지
▲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2019년 2월 국토교통부 는 2월말 기준으로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전월(59,162호) 대비 0.8%(452호) 증가한 총 59,614호로 집계되었다고 밝혔다. * 2018.11월 60,122호 → 2018.12월 58,838호 → 2019.1월 59,162호 → 2019.2월 59,614호 준공 후 미분양은 2월말 기준으로 전월(17,981호)대비 2.8%(511호) 증가한 총 18,492호로 집계되었다. * 2018.11월 16,638호 → 2018.12월 16,738호 → 2019.1월 17,981호’ → 19.2월 18,492호 지역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수도권의 미분양은 7,727호로, 전월(8,153호) 대비 5.2%(426호) 감소하였고, 지방은 51,887호로, 전월(51,009호) 대비 1.7%(878호) 증가하였다. * 신규 등 증가분 : 2019.1월 3,889호 → 2019.2월 3,121호(수도권 554호, 지방 2,567호) ** 기존 미분양 해소분 : 2019.1월 3,565호 → 2019.2월 2,669호(수도권 980호, 지방 1,689호) 규모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전월(5,745호)대비 1.1%(65호) 감소한 5,680호로 집계되었고, 85㎡ 이하는 전월(53,417호) 대비 1.0%(517호) 증가한 53,934호로 나타났다. 이 같은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은 국토교통부 국토교통통계누리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국토교통부

2019년 1월말 전국 미분양 주택 59,162호, 전월 58,838호 대비 324호 증가

이미지
국토교통부 는 2019년 1월말 기준으로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전월(58,838호) 대비 0.6%(324호) 증가한 총 59,162호로 집계되었다고 밝혔다. * 2018.10월 60,502호 → 2018.11월 60,122호 → 2018.12월 58,838호 → 2019.1월 59,162호 준공 후 미분양은 1월말 기준으로 전월(16,738호)대비 7.4%(1,243호) 증가한 총 17,981호로 집계되었다. * 2018.10월 15,711호 → 2018.11월 16,638호 → 2018.12월 16,738호 → 2019.1월 17,981호 지역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수도권의 미분양은 8,153호로, 전월(6,319호) 대비 29.0%(1,834호) 증가하였고, 지방은 51,009호로, 전월(52,519호) 대비 2.9%(1,510호) 감소하였다. * 신규 등 증가분 : 2018.12월 2,167호 → 2019.1월 3,889호(수도권 2,037호, 지방 1,852호) ** 기존 미분양 해소분 : 2018.12월 3,451호 → 2019.1월 3,565호(수도권 203호, 지방 3,362호) 규모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전월(5,388호)대비 6.6%(357호) 증가한 5,745호로 집계되었고, 85㎡ 이하는 전월(53,450호) 대비 0.1%(33호) 감소한 53,417호로 나타났다. 이 같은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은 국토교통부 국토교통통계누리( http://stat.molit.go.kr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국토교통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