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바이오산업인 게시물 표시

2024년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수출·투자 모두 두자릿수 성장

이미지
2024년 국내 바이오산업, 다시 성장의 길로 산업통상부 는 한국바이오협회와 함께 실시한 ‘2025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2024년 기준)’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2024년 국내 바이오산업은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도 생산 9.8%, 수출 17.1%, 투자 46.1% 증가하며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바이오기술이 의료, 식품, 에너지 등 산업 전반으로 확산되며 본격적인 ‘바이오경제 시대’가 도래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입니다.     바이오의약이 산업 성장의 중심 2024년 전체 생산 규모는 22조 9,216억 원으로, 특히 바이오의약 부문이 전년 대비 33.2% 성장해 전체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바이오서비스(5.0%)와 바이오식품(6.1%)도 안정적인 상승세를 유지한 반면, 바이오화학·에너지는 10.5% 감소했습니다. 수출 부문에서는 치료용항체 및 사이토카인제제와 바이오위탁생산 서비스(CMO)가 전체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구분 2023년 2024년 증감률 생산 20조 8,713억 원 22조 9,216억 원 +9.8% 수출 11조 7,081억 원 13조 7,109억 원 +17.1% 총 투자 3조 7,520억 원 5조 4,821억 원 +46.1% 시설투자 1조 1,332억 원 2조 7,797억 원 +145.3% 글로벌 경쟁 속에서의 미래 전략 산업통상부 는 불확실한 통상환경 속에서도 바이오산업이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앞으로 정부는 연구개발(R&D)과 수출 확대를 적극 지원하고, 시설투자 중심의 성장 기반을 강화해 글로벌 바이오 허브로 도약할 계획입니다. ▲ 바이오산업 수출입 변화 추이[2023~2024년, 단위 : 억원, %] (출처: 산업통산부) 이처럼 2024년 성과는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로, 우리나라가 ‘바이오강국’으로 도약할 기반을 굳건히 다졌다는 신호로 볼 수...

경기도, 바이오 클러스터 확장…시흥·광교·북부로 미래산업벨트 완성

이미지
경기도, 미래 성장의 중심에 ‘바이오 클러스터’ 경기도 가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해 바이오산업을 핵심 축으로 삼고 있습니다. 화성·성남에 이어 시흥과 수원 광교, 그리고 경기북부(고양·파주·연천)까지 연결하는 광역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김동연 지사의 ‘100조+α 투자유치’ 전략을 통해 R&D, 인재양성, 창업지원 등 산업 생태계 전반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시흥·광교, 바이오 혁신 허브로 부상 시흥은 바이오의약품 국가첨단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되어 4조 7천억 원 규모의 투자가 진행 중이며, 서울대병원 분원과 종근당의 복합 연구단지 조성이 병행됩니다. 수원 광교는 ‘광교테크노밸리’ 내 유휴부지를 활용해 바이오기업과 대학·병원이 협력하는 클러스터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들 지역은 바이오 인재양성센터와 창업지원 허브를 통해 산업 생태계를 견인할 핵심 거점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지역 주요 내용 완공 목표 시흥 서울대병원 분원 착공, 종근당 복합연구단지, 특화단지 지정 2029년 수원 광교 바이오허브 조성, GH 현물출자 승인, 글로벌 연계 추진 2026년 고양·파주·연천 정밀의료·그린바이오·혁신의료 연구단지 조성 2026~2028년 ‘성장 VISION ON 경기도’ 인포그래픽 아래 인포그래픽은 경기도의 광역 바이오 클러스터 추진 현황을 한눈에 보여줍니다. 시흥·파주·연천·고양·성남·광교 등 6개 지역의 추진 계획과 투자 규모를 시각화해, 바이오산업이 경기도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경기도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 및 미래먹거리 성장 VISION 경기도 인포그래픽 대한민국 바이오 허브로의 도약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뉴 ABC(우주·바이오·기후기술)를 중심으로 미래산업을 선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경기도는 이미 국내 바이오산업의 34%를 차지하며 전국 1위를 기록 중입니다. 향후 시흥에서 연천까지 이어지는 바이오 클러스터 벨트...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