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국화인 게시물 표시

상강(霜降)의 의미와 풍속: 가을이 깊어지는 절기 이야기

이미지
가을이 깊어지는 징후, 상강이란 무엇인가요? 이른 아침 ‘서리’가 내린다는 뜻의 상강 (霜降)은 24절기 가운데 가을의 끝자락에 해당합니다. 보통 양력 10월 23일경에 찾아오며, 기온이 빠르게 낮아지고 밤낮 일교차가 커지는 시기입니다. 상강의 기후 변화와 자연 징후 상강이 되면 낮은 기온이 쌓여 지표면에 서리가 맺히고, 공기는 건조해지며 맑은 날이 많아집니다. 식물은 잎을 떨구기 시작하고, 곡식 수확이 마무리되어 겨울 준비가 본격화됩니다. 상강 무렵의 전통 풍습과 의미 우리 전통에서는 상강 즈음 국화전이나 국화차 등을 즐기며, 국화를 장수와 관련짓기도 했습니다. 또한 삼후(三候)로 나누어 곤충이 땅속으로 들어가는 현상 등을 묘사하기도 했습니다. 농사에서는 보리 파종이나 겨울 작물 준비가 이 시기에 맞춰집니다. 후세대가 바라보는 상강의 가치 현대 기후 변화가 진행되면서 상강의 기후 특징이 흐릿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상강은 계절의 흐름을 감지하고 자연과 인간의 삶이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앞으로는 전통 절기의 의미를 보존하며 기후 변화에 대한 감수성을 유지하는 노력이 중요할 것입니다. 절기 속 24절기와 상강의 위치 절기 시기 간단 요약 입춘 2월 4일경 봄의 시작 우수 2월 19일경 눈 녹고 비 내림 경칩 3월 5일경 개구리가 겨울잠 깸 춘분 3월 20일경 낮과 밤이 같음 청명 4월 4일경 날씨 맑고 높음 곡우 4월 20일경 비와 농사 시작 입하 5월 6일경 여름 기운 시작 소만 5월 21일경 만물이 자람 망종 6월 6일경 모내기 적기 하지 6월 21일경 낮이 가장 김 소서 7월 7일경 덥기 시작 대서 7월 22일경 무더위 극성 입추 8월 7일경 가을 기운 시작 처서 8월 23일경 더위 누그러짐 백로 9월 8일경 하얀 이슬...

찬이슬이 맺히는 가을의 문턱, 한로 이야기

이미지
찬이슬이 맺히는 계절의 전환 한로(寒露) 는 24절기 중 열일곱 번째 절기 로, 태양 황경이 195°에 이르는 시기입니다. 보통 양력 10월 8일경이며, 의미 그대로 ‘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가을의 기운이 짙어지며 기온이 점점 내려가고 밤과 낮의 온도 차가 커집니다. 농업적으로는 수확을 마무리해야 할 시기이기도 합니다. 절기 속 24절기와 한로의 위치 절기 시기 간단 요약 입춘 2월 4일경 봄의 시작 우수 2월 19일경 눈 녹고 비 내림 경칩 3월 5일경 개구리가 겨울잠 깸 춘분 3월 20일경 낮과 밤이 같음 청명 4월 4일경 날씨 맑고 높음 곡우 4월 20일경 비와 농사 시작 입하 5월 6일경 여름 기운 시작 소만 5월 21일경 만물이 자람 망종 6월 6일경 모내기 적기 하지 6월 21일경 낮이 가장 김 소서 7월 7일경 덥기 시작 대서 7월 22일경 무더위 극성 입추 8월 7일경 가을 기운 시작 처서 8월 23일경 더위 누그러짐 백로 9월 8일경 하얀 이슬 맺힘 추분 9월 23일경 밤이 길어짐 한로 10월 8일경 찬 이슬 맺히기 시작 상강 10월 23일경 서리 내릴 무렵 입동 11월 7일경 겨울 시작 소설 11월 22일경 눈 오기 시작 대설 12월 7일경 눈 많이 옴 동지 12월 22일경 밤이 가장 김 풍속과 자연의 변화 한로 무렵에는 기러기가 남쪽으로 날아가고 겨울새의 이동이 시작된다고 여겨졌습니다. 절후(三候)로는 홍안래빈(鴻雁來賓), 작입대수화위합(雀入大水化爲蛤), 국유황화(菊有黃華) 등이 전해집니다. 풍습으로는 머리에 붉은 수유 열매를 꽂아 잡귀를 쫓고, 국화전을 부치거나 국화술을 담그는 일이 있었습니다. 음...

우리 국화 ‘백마’, 연중 생산 체계 구축 사계절 일본 수출

이미지
농촌진흥청 은 우리 국화 '백마' 품종의 생산 체계 구축으로 사계절 일본 판매가 가능하게 됐다고 밝혔다. 일본은 연간 약 20억 송이의 국화를 소비하고, 약 3억 송이를 수입하는 큰 시장이다. 그러나 난방비 부담으로 겨울철 생산이 어려웠던 '백마'는 주로 여름철(8월~9월)에만 수출했다. * 일본 국화 수요 성수기인 8월(오봉절)과 9월(추분절)을 중심으로 집중 생산해 수출하고 있음. 2004년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했으며, 꽃이 풍성한 대형 품종이다. 꺾은 꽃(절화) 수명도 한 달 정도로 길어 국화 종주국인 일본에서 좋은 평을 받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중국 하이난에 '백마' 생산기지를 만들어 겨울철 비용 부담을 덜 수 있는 연중 생산 체계를 갖췄다. 연구진은 '백마'의 중국품종보호권 전용실시 업체인 주식회사 로즈피아와 2015년 12월부터 3년 간 중국 현지에서 시범 재배했다. * 중국품종보호권: (국외 품종보호등록) 품종에 대한 보호는 품종보호권을 획득한 나라에 한정되게 되어 있어 우리 품종이 해외에서 보호받기 위해서는 해당 국가에 품종보호권을 설정(등록)해야 함. 초기에는 현지 생산자의 기술과 품종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상품성 좋은 꽃 생산이 어려웠으나 반복적인 기술 지도로 극복할 수 있었다. 꽃은 하이난에서, 묘는 쿤밍에서 생산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안정화한 결과다. 이를 통해 지난 2월, 일본에 1만 송이 수출에 이어 4월까지 모두 14만 송이를 실어 보냈다. 지난 3월에는 일본의 국화 수요가 가장 많은 춘분절과 맞물리면서 수입 관계자, 장례업체 등 다양한 소비층의 평가를 받았다. 이들은 '순백색에 꽃이 크고 꽃잎이 많으며, 꺾은 꽃 수명도 다른 품종의 2배 정도'인 점을 높이 사 성수기마다 받아보길 원했다. * 춘분절: 본 주요 명절 중 하나. 농촌진흥청은 올 5월과 10월~12월에는 중국, 6~9월에는 국내 생산 기술을 지원하며, ...

농촌진흥청, 고양국제꽃박람회 기간 동안 화훼류 70품종 평가회

이미지
농촌진흥청 은 2019 고양국제꽃박람회(4. 26.~5. 12.)에서 국산 화훼류 작품을 소개하고, 카네이션과 거베라, 장미 등 새 품종을 알리는 전시회와 평가회를 연다. 박람회 기간 동안 세계화훼교류관의 농촌진흥청 전시관에는 국화와 선인장 등 대표적인 국산 화훼 8품목을 활용한 꽃장식과 조형물을 감상할 수 있다. 5월 3일부터 8일까지는 거베라 '브리즈', '하모니'를 비롯한 25품종과 계통을, 카네이션 '마블매직', '퍼플뷰티' 등 15품종과 계통을 소개하는 평가회도 마련된다. 이어 9일부터 12일까지는 현장을 찾은 시민들에게 장미 '옐로우썬', '핑크뷰티' 등 40여 품종과 계통을 소개하며 반응을 조사한다. 거베라 '브리즈'는 녹심(중심이 초록색)의 자주색 반겹꽃 품종으로 꽃 지름이 큰 대륜계이며 꽃대가 곧고 튼튼하고 절화(꺾은 꽃) 수량이 많다. 카네이션 '퍼플뷰티'는 흰색 바탕에 꽃잎 가장자리가 보라색으로 결혼식과 졸업식 등 사계절 내내 활용할 수 있다. 줄기가 튼튼하고 수량이 많아 농가에서 좋아한다. 장미 '핑크뷰티'는 분홍색의 스탠다드품종으로 수확량이 많고 절화 수명이 길며, ‘레드윙’은 소화(작은 꽃) 수가 많고 가시가 없는 붉은색의 스프레이 품종이다. * 스탠다드 품종: 줄기 한 대에 하나의 꽃을 피우는 형태. * 스프레이 품종: 줄기 한 대에 여러 개의 작은 꽃을 피우는 형태 신품종 전시관과 원당화훼 단지에서도 장미 등 6품목 20품종을 선보인다. 이 자리에는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새로운 화훼 품종 경연대회를 열고 우수 신품종을 선정한다. 지난해에는 농촌진흥청에서 육성한 국화 '백강', 카네이션 '마블매직', 거베라 '써니데이'가 우수 품종상을 받았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원희 화훼과장은 "새로운 품종 선발부터 ...

국화 작품 전시 및 품종 평가회

이미지
꽃 소비 확대를 위해 국산 국화로 만든 다양한 아이디어 작품들이 전시된다. 농촌진흥청은 국화 품종을 이용한 색다른 작품 전시와 더불어 국산 국화의 새 품종을 평가하는 자리를 30일 우리나라 화훼유통 중심지인 서울 aT화훼공판장에서 갖는다. 더불어, 화훼 중·도매인을 대상으로 한 평가회는 경매가 진행되는 31일 새벽 시간(00:00~07:00)에 동일 장소에서 실시한다. 이날 선보이는 아이디어 작품은 국산 국화 '백마'와 '백강' 등 15품종을 이용해 만들었다. 국화를 이용해 만들 수 있는 꽃바구니와 동그란 모양의 화환 및 새로운 화환 형태, 그리고 장례용 제단 등 25작품이 소개된다. 이러한 작품 전시를 통해 국화의 다양한 활용 형태를 보여줌으로써 유통·소비시장에서 꽃 소비 확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평가회에선 국산 국화 15품종과 우수한 특성의 25계통이 소개된다. 재배 농가, 유통업체, 종묘업계 등 이날 참석자들의 기호도 평가 점수가 높은 계통은 앞으로 품종 이름을 달고 시장에 유통된다. 올해 첫 선을 보이는 '원교B1-194'은 진분홍색에 꽃 중심이 녹색을 띠는 홑꽃 계통이다. 꽃이 일찍 피고 고온기에도 잘 자라 재배농가뿐만 아니라 유통업체와 소비자에게도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자주색 계통인 '원교B1-195'은 꽃 모양이 예쁘고 생육이 고르며 줄기가 튼튼하게 잘 자란다. 흰녹병에도 강해 안정적으로 연중 재배가 가능하다. 또한 국내시장에 많이 유통되고 있는 스프레이 품종으로 연녹색 '그린다이아몬드'와 '필드그린', 그리고 둥근 공 모양의 '핑크팡팡'과 '퍼플팡팡' 등도 선보인다. * 스프레이: 줄기 한 대에 여러 개의 꽃을 피우는 형태 / 스탠다드: 줄기 한 대에 하나의 꽃만 피우는 형태 국화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또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화훼작물 중 하나다. 우리나라 절화류 시장의...

경기도 농기원, 제8회 장미·국화 생생전시회 개최

이미지
▲ 2017년 장미·국화 생생전시회(코엑스)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자체 육성한 장미, 국화 신품종 보급 확대와 로열티 절감을 위해 11일부터 14일까지 서울역에서 제8회 장미·국화 생생전시회를 개최한다. 2011년부터 시작한 장미·국화 생생전시회는 화훼 경매에 참여하는 중도매인들에게 국산품종의 우수성을 홍보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생생한 꽃과 함께하는 상상속 기차여행을 주제로 22종의 장미, 국화 신품종을 선보인다. 전시 품종을 살펴보면 에콰도르와 케냐 등 해외에서 로열티를 받고 있는 장미 ‘딥퍼플’, 꽃색이 주황색으로 선명하고 화려한 ‘쇼걸’, 국내시장에서 인기가 높은 진분홍색의 ‘보보스’, 빨리 자라고 파스텔톤으로 고급스런 느낌을 주는 ‘핑크하트’, 꽃이 큰 ‘스위트스킨’ 등 농업기술원이 개발한 대표적인 장미품종이 있다. 가을정취를 물씬 풍기는 국화도 만나볼 수 있는데 기온이 높은 여름에도 잘 자라 일본시장을 겨냥해 재배중인 노란색 ‘펄키스타’ 와 흰색의 ‘밀키스타’, 분홍색의 ‘디어스타’, 꽃의 모양과 색상이 좋아 국내에서 인기가 많은 ‘드림라운드’ 등의 절화용 품종이 전시된다. 분화용으로는 꽃색이 진하고 풍성한 ‘마이엘프’, ‘마이노블’, ‘마이페어리’ 등을 만나볼 수 있다. 개막식은 전시가 시작되는 11일 목요일 11시에 열릴 예정이며, 개막식 직후 화훼소비확대를 위해 장미꽃과 분화국화 100개를 나누어 주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박인태 경기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은 “전시된 품종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를 조사해 향후 품종선발 과정에 반영할 예정”이라며 “소비자, 산업관계자와 함께하는 전시회를 만들겠다”라고 말했다. 출처: 경기도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