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모아타운인 게시물 표시

서울시, 4개 모아타운 확정…3,570세대 공급으로 주거환경 새롭게

이미지
서울시, 노후 주거지 개선 위해 4개 모아타운 확정 서울시 는 노후 저층주거지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주택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종로구 구기동, 관악구 난곡동, 동작구 노량진동, 서대문구 홍제동 등 4개 지역을 ‘모아타운’으로 최종 확정했습니다. 이번 결정으로 총 3,570세대 규모의 새 주택이 공급되며, 그중 852세대는 임대주택으로 포함됩니다. 공공참여를 통해 높이 규제 완화, 용도지역 상향, 기반시설 확충 등을 추진해 각 지역의 개발 속도를 높일 계획입니다.     종로·관악 지역, 자연과 어우러진 친환경 주거지 조성 종로구 구기동(797세대)은 자연경관지구·고도지구 규제 완화를 통해 북한산·북악산이 어우러진 주거지로 탈바꿈합니다. 진흥로 주변 도로 확폭과 보행로 신설로 주민 안전도 강화됩니다. ▲ 종로구 구기동 100-48일대 모아타운, 정비후 (예시도) 관악구 난곡동(1,056세대)은 목골산 자락에 위치해 단차가 크지만, 공공참여로 사업성을 확보했습니다. 용도지역 상향과 공원·복지시설 확충을 통해 ‘숲세권’ 단지로 거듭날 예정입니다. 또한 관악산 근린공원과 연계된 보행로 확충으로 주민과 방문객 모두 편리한 접근성을 누릴 수 있습니다. ▲ 관악구 난곡동 697-20일대 모아타운, 정비후(예시도) 동작·서대문 지역, 지형 맞춤형 개발로 실현성 강화 동작구 노량진동(834세대)은 노량진역 인근의 입지적 장점을 살려 지형순응형 단지로 개발됩니다. 최대 40m 단차를 고려한 입체형 공간 조성으로 쾌적한 생활환경이 기대됩니다. ▲ 동작구 노량진동 221-24일대 모아타운, 정비후(예시도) 서대문구 홍제동(883세대)은 경사가 심한 구릉지로 개발이 지연됐으나, 공공참여로 사업구역이 두 배로 확대되며 추진력이 강화되었습니다. 도로 확폭, 어린이공원 확대, 공공보행통로 설치 등으로 안산을 품은 친환경 주거지로 재탄생합니다. ▲ 서대문구 홍제동 322일대 모아타운, 정비후(예시도) 지역 세대수(임대 포함) 특징 종로구 구기동 79...

서울시, 모아타운·모아주택 4곳 본격 착수…4,093세대 공급

이미지
서울시, 모아타운·모아주택 4곳 본격 추진 서울시 가 노후 저층주거지의 주거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모아타운’과 ‘모아주택’ 사업을 본격 추진합니다. 이번에 확정된 사업지는 강북구, 구로구, 서대문구, 중랑구 총 4곳으로, 이들 지역에 총 4,093세대의 주택 이 새롭게 공급될 예정입니다. 특히 임대주택 796세대를 포함해 주거 취약계층의 주거안정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사업별 주요 내용 강북구 미아동은 기존 105세대에서 175세대로 주택이 늘어나며, 송중초 인근에는 공원도 조성됩니다. 구로구 구로동은 1,317세대가 공급되며, 보행로와 가로활성화 공간이 확대됩니다. 서대문구 홍은동은 북한산 인근 저층 밀집지역으로, 인도 확폭과 도로 정비가 병행됩니다. 중랑구 망우3동은 2,280세대의 대규모 공급과 더불어 어린이공원, 공동이용시설 등 주민 편의시설이 강화됩니다. 강북구 미아동 송중초 인근에 175세대 공급 예정이며, 공원 조성과 도로 정비로 주거환경 개선이 기대됩니다. 전체 세대의 20% 이상은 임대주택으로 구성됩니다. ▲ 강북구 미아동 90-45번지 일대 모아주택 조감도     구로구 구로동 1,317세대가 공급되며, 보행공간 확장과 연도형 가로활성화 시설을 통해 안전하고 활기찬 생활환경을 조성합니다. ▲ 구로구 구로동 511일대 모아타운 위치도     서대문구 홍은동 총 321세대를 공급하며, 북한산 근린공원 인근 도로 확폭 및 인도 정비로 주민 편의를 높입니다. ▲ 서대문구 홍은동 10-18 일대 모아타운,정비후 예시도 중랑구 망우3동 2,280세대의 대규모 공급과 함께 어린이공원 및 공동이용시설이 마련되어 주민 삶의 질 향상이 기대됩니다. ▲ 중랑구 망우3동 474-29 일대 모아타운, 정비후 예시도      지역발전과 시민 삶의 질 향상 이번 사업은 단순한 주택공급을 넘어, 지역 내 교육환경 개선, 보행 인프라 확대, 공...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